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5/09/20 23:04:09
Name Jtaehoon
Subject [스타2] 스포티비 게임즈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5 시즌 종합 기록
총 세트 수
챌린지 - 145세트 (시즌 1 61세트 / 시즌 2 42세트 / 시즌 3 42세트)
본선 - 257세트 (시즌 1 80세트 / 시즌 2 83세트 / 시즌 3 94세트)
종합 - 402세트 (시즌 1 141세트 / 시즌 2 125세트 / 시즌 3 136세트)

평균 경기 시간
챌린지 - 17분 03초 (T vs Z 18분 36초 / Z vs P 18분 32초 / P vs T 18분 20초 / T vs T 17분 57초 / Z vs Z 10분 38초 / P vs P 13분 20초)
본선 - 17분 44초 (T vs Z 23분 42초 / Z vs P 16분 34초 / P vs T 17분 10초 / T vs T 17분 53초 / Z vs Z 15분 58초 / P vs P 15분 09초)
챌린지 + 본선 - 17분 29초 (T vs Z 21분 34초 / Z vs P 17분 11초 / P vs T 17분 36초 / T vs T 17분 55초 / Z vs Z 13분 11초 / P vs P 14분 38초)

챌린지 최장시간 경기 - 스타리그 시즌 1 챌린지 32강 2경기 김도우 vs 김도욱 in 세종과학기지 (39분 25초)
챌린지 최단시간 경기 -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 3 챌린지 24강 9경기 박령우 vs 고석현 in 철옹성 (04분 55초)
본선 최장시간 경기 -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 3 4강 1차전 6세트 전태양 vs 한지원 in 바니연구소 (54분 49초)
본선 최단시간 경기 - 네이버 스타리그 시즌 1 16강 B조 패자전 2세트 이승현 vs 김도우 in 만발의 정원 (04분 43초)

종족별 다승 1위 (세트 기준)
챌린지 테란 다승 1위 - 조성주 6승 2패 (vs P 6승 2패 / vs T 전적 없음 / vs Z 전적 없음)
챌린지 프로토스 다승 1위 - 백동준 9승 4패 (vs P 6승 2패 / vs T 전적 없음 / vs Z 3승 2패) / 챌린지 전체 다승 1위
챌린지 저그 다승 1위 - 이동녕 6승 1패 (vs P 3승 0패 / vs T 3승 1패 / vs Z 0승 0패)
본선 테란 다승 1위 - 조중혁 28승 20패 (vs P 14승 8패 / vs T 3승 5패 / vs Z 11승 7패) / 본선 전체 다승 1위
본선 프로토스 다승 1위 - 김준호 26승 23패 (vs P 13승 11패 / vs T 5승 7패 / vs Z 8승 5패)
본선 저그 다승 1위 - 이승현 21승 18패 (vs P 12승 6패 / vs T 6승 9패 / vs Z 3승 3패)
챌린지 + 본선 테란 다승 1위 - 조성주 32승 15패 (vs P 20승 12패 / vs T 7승 3패 / vs Z 5승 0패) / 챌린지 + 본선 전체 다승 1위
챌린지 + 본선 프로토스 다승 1위 김준호 32승 24패 (vs P 12승 6패 / vs T 9승 10패 / vs Z 11승 5패) / 챌린지 + 본선 전체 다승 1위
챌린지 + 본선 저그 다승 1위 이승현 27승 19패 (vs P 12승 6패 / vs T 12승 10패 / vs Z 3승 3패)

종족별 승수 종합 (챌린지 / 본선)
Terran 113승 108패 (39승 49패 / 74승 59패)
Protoss 180승 176패 (60승 53패 / 120승 123패)
Zerg 109승 118패 (46승 43패 / 63승 75패)

종족전 기록 종합 (챌린지 / 본선)
Terran vs Zerg 39:40 (13:20 / 26:20)
Zerg vs Protoss 46:56 (14:18 / 32:38)
Protoss vs Terran 50:56 (21:18 / 29:38)
Terran vs Terran 18회 (8회 / 10회)
Zerg vs Zerg 23회 (12회 / 11회)
Protoss vs Protoss 74회 (21회 / 53회)

---------------------------------------------------------------------------------------------------------------------------------------------------------------------------------------------------
2014년 12월 18일 김민철 선수와 이병렬 선수의 챌린지 경기로 시작된 스포티비 게임즈 스타리그의 2015년 시즌이자 군단의 심장 마지막 스타리그가 종료되었네요.
아직 GSL의 코드 S 4강 및 결승, 블리즈컨이 남아있지만 스타리그의 한 해를 정리해보고자 올려봤습니다.
매치별 전적은 따로 기록하지 않았기에 모든 승수관련 기록은 세트 기록으로 보시면 될 것 같네요.

과연 공허의 유산으로 진행될 스타리그에서는 어떤 종족이 웃게 될지 기대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저그네버다��
15/09/20 23:07
수정 아이콘
공허의 유산은 저그가 좋다고 말은 많이 나오는데, 막상 올리모리그나 레드불 집정관 모드 같은 대회에서는 거의 멸종 수준이더라구요... 플레이하는 게이머도 거의 없고, 승률도 그닥...
대전신탄진
15/09/20 23:08
수정 아이콘
오 이정도면 거의 엄대엄아닌가요
15/09/21 00:25
수정 아이콘
2015시즌 시즌 1부터 시즌 3 4강 이상 진출자 성적을 정리한다면 이렇게 될 것 같네요.
조성주: 시즌 1 우승, 시즌 2 8강, 시즌 3 16강
조중혁: 시즌 1, 시즌 2 준우승, 시즌 3 16강
이승현: 시즌 1 4강, 시즌 2 8강, 시즌3 16강
김대엽: 시즌 1, 시즌 2 4강, 시즌 3 준우승
김도우: 시즌 2 우승, 시즌 1, 시즌3 16강
김준호: 시즌 3 우승, 시즌 2 4강, 시즌 1 16강
한지원: 시즌 3 준우승, 시즌 2 8강, 시즌 1 챌린지
전태양: 시즌 3 4강, 시즌1 16강, 시즌 2 챌린지 예선
이신형: 시즌 3 4강 , 시즌 2, 시즌 1 챌린지
비상의꿈
15/09/21 23:34
수정 아이콘
시즌 1 조성주 vs 조중혁 테란 vs 테란 동족전
시즌 2 SKT T1 김도우 vs 조중혁 팀킬
시즌 3 CJ ENTUS 김준호 vs 한지원 팀킬

세번의 결승 모두 동족상잔이라는 웃지못할 기록도 함께 얻었습니다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8267 [LOL] 롤챔스 분할 중계에 대한 의문 [302] Demicat13707 15/11/28 13707 4
58266 [LOL] OGN과 스포티비가 공생할수 있는 리그 시스템은 무엇일까? [118] 마빠이9623 15/11/28 9623 1
58031 [LOL] 11월, 12월에 한국팀이 참가하는 리그 및 이벤트 [59] AirQuick8832 15/10/26 8832 2
57997 [스타2] 그래도 해야할 일은 응원 [25] 서쪽으로 gogo~5981 15/10/23 5981 11
57905 [기타] [카트] e스포츠에서 에이스결정전이 갖는 의미 [12] 스펙터6540 15/10/09 6540 5
57834 [스타2] 스포티비의 사과를 요구합니다. [29] 치킨과맥너겟9266 15/10/01 9266 11
57774 [스타2] 스베누 스타리그 2015 시즌3 결승 종료 이벤트 (당첨자 발표) [29] 이니핸스5311 15/09/22 5311 13
57763 [스타2] 스포티비 게임즈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5 시즌 종합 기록 [4] Jtaehoon4563 15/09/20 4563 3
57639 [기타] 철권 外 다른 격투게임들의 국내 대회 개최는 가능할까요? [37] 레이오네7490 15/09/09 7490 2
57427 [스타2] '행갱이'의 사인을 받았습니다. [15] 동중산6558 15/08/15 6558 2
57423 [스타1] OSL 금뱃지를 소개합니다. [6] Jtaehoon11121 15/08/15 11121 2
57399 [LOL] 이젠 LCK를 라이엇이 직접 제작 해야할 때가 아닐까요? [104] 왕삼구12652 15/08/09 12652 12
57385 [스타2] MSI WSL S3 감상평 -부제: 그럼에도 여성리그는 존속되어야 한다- [17] 서쪽으로 gogo~6054 15/08/07 6054 1
57370 [스타2] 예능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희망사항? [11] 서쪽으로 gogo~5467 15/08/05 5467 1
57080 [LOL] 클라우드템플러 이현우는 제가 이스포츠에서 봐왔던 해설중 최고입니다. [67] 만트리안12590 15/06/19 12590 9
56590 [LOL] 흔한 PGR 유저의 LJL 결승 관전기 [12] snoopy5710 15/03/31 5710 1
55880 [스타2] 별명이 사라진 시대 [132] 씨앤더11827 14/12/18 11827 0
55838 [기타] [스타1] 온게임넷의 송출과 스타리그의 부활 [28] 바위처럼8555 14/12/13 8555 2
55832 [스타2] 새로운 스타리그의 첫 시즌, 예선 후기 [66] 민머리요정7569 14/12/11 7569 2
55811 [스타2] Prime을 응원하며.... [16] 삼성전자홧팅5569 14/12/08 5569 2
55736 [스타2] 3년 6개월만의 양대리그 예선 [18] nuri6555 14/11/26 6555 0
55553 [스타2] 잡생각 투척합니다. 2015 WCS, 비한국인 선수들은 어디로 움직일까요? [9] 운명의방랑자4902 14/11/02 4902 0
55547 [스타2] 악의 제국에 대항할 준비를 하라 [69] RinPana9188 14/11/01 9188 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