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08/22 21:51:35
Name 바인랜드
Subject [LOL] 그 어느때보다 픽밴 통한 중후반 조합 싸움이 중요한 메타인듯 (수정됨)
슼팬으로서 샌박전, 그리고 특히 이번 젠지전 1세트에서 특히 뼈저리게 느낀 건데

전력이 팽팽한 팀 사이의 대결에

초반에만 올인하면서 중후반 맛은 떨어지는 조합을 고르는 순간

인게임에서는 절대 초반 조합의 컨셉만큼 밀어 붙이지 못하고

중반부터 슬금슬금 따라잡히며 후반부터 무너지는 그림이 계속 나옵니다



포탑 골드와 전령, 그리고 현상금을 통해 따라잡을 수 있는 골드가 워낙 크기 때문에

중후반, 라이너들이 2코어 이상 갖추는 페이즈가

확실히 예전 게임보다 훨씬 빨리 찾아오는 양상 때문이랄까요



물론 농심의 경우엔 끝끝내 탑의 라인전 한계가 담원전에서 발목을 잡긴 했지만

반대로 농심이 현재 위치까지 올라갈 수 있었던 것도

결국 중후반 힘을 뿜을 수 있는 조합이 최고인 지금 메타를 잘 활용해왔던 게 크다고 보네요



슼팬으로서는 담원 상대로는 제발

이번 젠지전 1세트 같은 원코인 초반 주도권 원툴 조합을 꺼내지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플옵이라는 특수한 상황상 정규 시즌 경기보다 훨씬 중압감이 크고

이런 압박감 때문에 시종일관 밀어붙여야하는 초반 조합은

절대 컨셉 만큼 인게임에서 살릴 수 없는 것 같거든요

플옵인 이상 상대들이 정규리그에서 상대하는 하위권 만만한 팀도 아니고

엄연히 수위권의 강팀들일수록 이런 건 더 커질 것 같구요



샌박전에서는 전반적인 우리팀의 조합 밸류는 살리고, 적팀 조합 밸류는 떨어뜨리는 픽밴 잘 보여줬는데

이번 젠지전 1세트는 정말로... 픽밴 끝나자마자 경기 흐름이 보여서 탄식을 했습니다

물론 천만다행으로 2,3,4세트는 피드백을 잘 하기도 했고,

한편 젠지가 알아서 미끄러지는 밴픽과 인게임 플레이를 보여준 덕분도 크다고 봐서...



어쨌든 담원 상대로는 정말 스크림에서 얼마나 결과가 좋았든지간에

초반 원툴 조합은 꺼내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담원 상대로 상대전적이 좋지 않은 느낌인 것도

초반에 밀어붙여서 끝내야하는 조합을

특히 바텀에서 테디가 고스트를 만만하게 보는 느낌이 있어서 자주 꺼내들고 (ex 칼리스타)

결국 일정 수준 이상 못 밀어붙여서 망하는 게 대부분인 느낌이라...

물론 이즈 트런들 같은 해괴한 조합으로 초반 주도권을 완전 놓는 일도 없어야 하겠지만



결론적으로는

1) 초반 주도권은 일정 이상 가져갈 수 있으면서

2) 중후반 한타에서 조합의 맛도 크게 뒤쳐지지 않고

3) 우리 조합의 맛은 살리되, 상대 조합의 맛은 최대한 떨어뜨리는
(우리 할 것만 생각하지는 않는)

그 어느 때보다 기본에 충실하고 밸런스 있는 밴픽을 가져가는 게

무척 중요한 메타라고 생각합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레넥톤(+칼리스타)이 현재 최악의 함정픽이라고 봅니다.
스크림에서 어떤 결과가 나오고 있든지간에 그냥 꺼내지 말았으면... 크크...
르블랑이 지금 좋은 것도 예전과 달리 후반이 강력한 왕귀형 포킹챔이 된 게 크다고 보구요)



그냥 롤 오래 보기만 한 최고티어 골딱이 팬의 사견일 수 있으니

반박하시겠다면 그 말씀 다 맞습니다 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애플리본
21/08/22 21:55
수정 아이콘
어? 이거 완전 1픽 레넥톤……
바인랜드
21/08/22 21:57
수정 아이콘
레넥톤이 더 최악인 건 이번 젠지전 1세트처럼 슼 딴에는 스왑픽이라고 꺼내는데, 어차피 이 악어녀석 탑으로 가든 미드로 가든 초반 교전에서 깡패로 못 크는 순간부터 푹푹 썩기 시작해서 하나도 안 무섭다고 보거든요... 그러고보니 상대가 별로 껄끄러워하지 않는 스왑픽을 가져오면서 혼자서 쉐도우복싱 심리전... 이거 안했으면 좋겠네요... 더불어 스크림에서 아무리 좋은 결과가 나오든지간에 스크림은 결국 스크림이라는 걸 레넥 같은 픽이 여실하게 보여준다고 생각...
애플리본
21/08/22 21:59
수정 아이콘
아 제 얘긴 19 롤드컵 4강 얘기였습니다. 국밥 안하고 초반 강캐 골랐다가 중요무대서 못굴리고 져서…
바인랜드
21/08/22 22:02
수정 아이콘
그쵸 중요무대인걸 감안하고 상대에게도 자신들에게도 좀 겸허해지는 조합을 생각하는게 필수라고 봄... 팬들에겐 좀 죄송스럽지만 젠지가 이런 경향이 좀 강해보이는게 선수들이 픽밴에서 내세우는 목소리나 자존심이 강하면 강할수록 상기해둔 픽밴의 기본기를 간과하고 우리가 인게임만 잘하면 이겨! 이런 마인드로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거든요. 19 롤드컵 4강 테디가 자야 상대 카이사 고집했던 것도 결국은 같은 흐름이었죠...
21/08/22 21:56
수정 아이콘
일단 1세트는 레넥톤으로 간 보자
태양의맛썬칩
21/08/22 21:56
수정 아이콘
국밥챔프가 좋죠
바인랜드
21/08/22 21:57
수정 아이콘
대신 국밥이어도 설렁탕처럼 푹 고은 챔프는 안되고 매콤한 맛을 아예 배제하진 않는 국밥이어야 하는 것 같아요 크크...
21/08/22 21:57
수정 아이콘
레넥톤만 좀 안했으면 좋겠네요 개인적으로 애쉬도 싫.......
바인랜드
21/08/22 21:59
수정 아이콘
애쉬는 매를 통한 적정글 체크와 궁 이니시라는 유틸성이 워낙 특출난 챔프라 조금 다르다고 봅니다. 챔프 자체의 중후반 밸류도 칼리스타보단 훨씬 나아요. 대신 얼핏 애쉬랑 비슷한 것 같은 진 이 녀석은 반대로 상대 땡땡한 녀석들 나오는 순간 또 푹푹 썩어서 절대 안된다고 보구요... 크크...
Hudson.15
21/08/22 22:04
수정 아이콘
전 바루스보다는 애쉬가 나아 보입니다. 요즘 바루스 포킹 아프지도 않던데!
21/08/22 22:05
수정 아이콘
저도 포킹 바루스를 더 못 쓰는거 같아요..
올해는다르다
21/08/22 22:06
수정 아이콘
데프트가 쓰는거 보니까 겁나 아프던데요 크크.. 아직도 쑤심
바인랜드
21/08/22 22:09
수정 아이콘
데프트가 정말 잘 쓰기도 했지만 그때 슼 조합도 무척 별로지 않았나요 얼마나 지났다고 정확하게 기억이 안 나긴 하는데... 크크
21/08/22 23:01
수정 아이콘
저도 애쉬가 더 좋은듯 오늘 새벽부터 lec플옵부터 lsc lck lpl경기중 바루스 한10경기 나온거 같은데 edg4경기말곤 이긴거 못본거 같습니다
바인랜드
21/08/22 22:08
수정 아이콘
그렇죠 아펠 상대로 꺼내드는데 사거리 싸움으로 아펠을 누르려면 현재 바루스 포킹뎀으로는 무시무시해지기보단 어중간해지는 상황이 좀 더 많이 보이던 것 같습니다 아예 직스 같은 걸 꺼내는게 훨씬 맛이 좋죠
이라세오날
21/08/22 21:59
수정 아이콘
울프 방송으로 봤는데 오늘 계속 코인 얘기만 하더군요.
그런데 저도 그게 맞다고 봅니다.
국밥조합은 확실히 안정적이에요.
21/08/22 22:05
수정 아이콘
코인 이야기 하니 한화 대 샌박 생각나네요.
그렇게 게임상 스코어차 벌어져도 아직 괜찮다 괜찮다 하는데 결국 코인 다 소진하고 참패하던....
라프텔
21/08/22 21:59
수정 아이콘
담원팬으로썬 확실히 젠지보단 슼이 까다로워요. 그래도 오늘 경기 보니까. 담원이 잘 준비해올거 같아서 명승부 나올 것을 기대합니다.
선발전에선 어떻게 대진이 짜여지든 담젠티농이 최근 경기력은 가장 좋고 롤드컵 진출할거 같습니다. (한화가 설마?)
올해는다르다
21/08/22 22:01
수정 아이콘
초중후반 다좋은 사기픽, 초반만 사기픽보다 좋은 픽, 후반만 사기픽보다 좋은 픽

이렇게 세 종류가 대회픽인데 당연히 사기픽 도배하면 좋지만 상대도 보통 생각이 있으니 그건 불가능하고 누구한테는 초반픽, 누구한테는 후반픽 줘야하는건 다 똑같은데 그 배분을 어떤 선수에게 잘해주냐가 중요해보여요.
21/08/22 22:02
수정 아이콘
요새 특히 밴픽이 정말 중요한거 같습니다.
밴픽에서 한쪽으로 기운다고 느끼면 거의 그대로 승부가 나오는거 같아요.
오늘도 1세트 이렐리야, 4세트 카밀등등 밴픽을 보면 '이걸 이길수가 있나?' 의구심들면 백퍼 지는 결과 나오네요.
공항아저씨
21/08/22 22:02
수정 아이콘
레넥 니달리는 정말 아닌거 같습니다. 우선 현재 t1의 선수들이 스노우볼을 빡빡하게 잘 굴리는 운영을 잘 못해요.
자꾸 어디서 물이 줄줄 샙니다.
21/08/22 22:04
수정 아이콘
T1의 레넥톤하면 상대는 그거 보고 세트 뽑아서 망하는 게임들만 떠오르네요.
공항아저씨
21/08/22 22:08
수정 아이콘
1세트때 젠지가 너네 탑게임하잖아. 미드에 리소스풀면서 게임 잘 안하잖아 선언하면서 미드 후벼파던데
픽이뭐든 2,3세트도 그렇게 했으면 젠지가 3:0으로 끝냈을거라 생각해서 긴장 많이했습니다. 다행이도 라이즈로 잘 버텼네요..
바인랜드
21/08/22 22:06
수정 아이콘
정규시즌때 잘 굴릴 때는 정말 파괴적으로 잘 굴리는 모습 보여줬죠. 근데 플옵에서도 그런 식으로 접근해서... 이번 젠지전 1세트 같은 원코인 조합을 해버리면 플옵인 이상 알게 모르게 선수들에게 압박감이 작용할 거고 그에 따라 그만큼 과감한 플레이를 하는 건 더욱 더 난이도가 올라간다고 봐서... 조합의 난이도도 어려운데 인게임의 난이도까지 올라가는 이중고랄까요. 본문에도 적은 것처럼 포골 전령 현상금의 삼위일체가 그런 스노우볼의 양면성을 더 부추기기도 하구요. 그리고 맞습니다. 중반부터 미끄러지는 일이 정말 왕왕 나오는데 이런 건 우리 실수를 줄이기보단 우리 실수 좀 해도 괜찮아! 가 가능한 조합이 심리적으로도 인게임적으로도 지금 메타에선 더 좋다고 봅니다. 이번 시즌 화제였던 밈 중에 "따서 갚으면 된다" 가 있었는데 한편으론 이 말이 현재 메타의 그런 양상을 잘 보여준다고 봐요.
21/08/22 22:08
수정 아이콘
무조건 주도권 내가 만들 수 있는거 잡아야 되요. 이번 시즌 메타가 그건가봐요.
서포터마저도 메이킹이 되는걸 해야지 뒤에서 봐주는 거나 만들기만 하고 끝내는거 원툴하면 무조건 집니다.
바인랜드
21/08/22 22:14
수정 아이콘
주도권을 분명하게 가져갈 수 있거나 또는 과하게 밀리지 않는 최소한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한타나 메이킹 같은 데에선 반대로 가능한 또 괜찮아야 하는... 다재다능한 챔피언들이 좋은 걸로 보입니다. 무게추는 그래도 중후반에 더 쏠려있으면 좋구요.
21/08/22 22:17
수정 아이콘
네네. 울프의 방송으로 봤는데, 울프 국밥론이 옳은 것 같아요...
레넥톤 / 미드 서포터 / 진 / 세나 .....제발 하지 말아주세요 ㅠㅠ
쿼터파운더치즈
21/08/22 22:07
수정 아이콘
진짜 요즘 모든 대회양상이 다 그렇습니다
작년 서머 라인전 스노우볼링 굴리면서 전령 빠르게 먹고 돈 쫙 땡겨 벌고 왕귀한 정글러가 다 패고다니는
그런 느낌의 게임양상으로 임하면 꼭 신화템 완성되고 오브젝트 앞에서 꽝 붙을때 박살나고 역전당해서 글골게이지 부따빔 비트코인마냥 떡락하고 고전하더군요
사이드 돌며 돈벌라고 버프는 해놨는데 사이드챔하면 한타에 먹혀버리는 모습 곧잘 나오구요
롤드컵 최종 패치를 어떻게 할지 모르겠는데 신화템때문에 한타 반전 나오기 정말 쉬운게임이 되었어요 17 롤드컵 향로같은 템이 여기저기 다 쏠려있는 느낌. 근데 또 한타메타인데 원딜보다 상체 완력이 더 중요한 요상한 메타..
바인랜드
21/08/22 22:12
수정 아이콘
사이드 챔 현상금 붙이며 키웠다가 줄타기 한번 미끄러지는 순간 그 현상금 한타 더 강력한 상대에게 들어가서 순식간에 맛이 떨어지는... 그런 모습 자주 보이는 것 같아요 한타를 등한시하는 조합으론 사실상 못 이긴다고 봐야
쿼터파운더치즈
21/08/22 22:13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최상위권팀 경기에서도 정말 자주 나오죠 요즘따라
강나라
21/08/22 22:08
수정 아이콘
굴리더라도 한타 조합은 생각하면서 뽑아야지 2세트 젠지픽처럼 한타 생각안하고 자르반에 조이, 세트 꺼내서 굴려보겠다 하다가 한번 넘어지면 복구 못하는거죠.
헤나투
21/08/22 22:20
수정 아이콘
완전 공감합니다
예전처럼 경기내내 빡빡하게 굴려서 원사이드하게 이기는 경기가 거의 안나와요. 해외리그를 봐도 마찬가지구요
인게임내에서 플레이를 잘해서 굴릴순있어도 초중반에만 강한 챔프로 굴리려는 밴픽은 절대 하면 안되는거 같아요.
21/08/22 22:21
수정 아이콘
사실 이번에 젠지는 전혀 우승할수가 없는 시기였죠. 탑이 기복도 기복이지만 제이스를 못하는데 어떻게 이번 메타에서 우승을 합니까 크크
프테라양날박치기
21/08/22 22:54
수정 아이콘
좀전에 lpl 경기 보고오니 이거 레알... 어떻게 제이스를 못함. 그거 하나때문에라도 탑 버돌나와도 이해합니다 젠지.
아이폰텐
21/08/23 00:56
수정 아이콘
한화가 롤드컵을 못갈거같은 가장 큰 이유
21/08/23 01:34
수정 아이콘
그렇게 쵸비가 미드 제이스를 꺼내고 마는데..
그래프
21/08/22 22: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티원의 레넥 문제는 6렙이후 강신타이밍에 나오는 첫 전령 싸움에서 별다른 소득을 못보거나 손해만 보는 경우가 많아서 생기는 문제인데 이게 구마유시나올때는 문제가 없었죠 즉 인게임내의 속도와 합류싸움인데 오늘 테디나와서 다시생기는거보면 글쎄요? 테디 단점 못고치면 아마 담원전은 대떡 날거같습니다 오늘의 후반 힘싸움은 대장군 소리가 나올만했지만 담원은 젠지만큼 느리진 않아서 대장군이 될때까지 줄건주면 1경기꼴 나기 쉽상이라고 봅니다.
바인랜드
21/08/22 23:12
수정 아이콘
아뇨. 지금 포인트를 맞추고 있는 건 줄건 줘 식의 운영을 하란 말이 아니라... 초반 주도권 싸움에서 밀리지 않을 한도 이내에서, 중후반 밸류는 최대한으로 가져갈 수 있는 픽밴이 베스트라는 겁니다. 거기에 더불어 그런 식의 초반 화끈한 스노우볼 주도권 정규리그에선 얼마든지 가능하지만 플옵, 나아가 결승전이라는 무대에선 알게 모르게 분명한 압박감이 선수들 심리에 자리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초반 주도권 픽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적극적인 플레이가 펼쳐지기엔 분명히 제약이 걸리죠. 그리고 그런 조합일수록 한번 브레이크가 걸리는 순간 밑도 끝도 없이 썩어버리구요. 여기에 더해 아무리 주도권 잘 잡아서 리드하다가도 몇천골 차이 정도는 한타에서 현상금 한번 쓸어담기는 순간 순식간에 뒤집히죠. 무엇보다 이 현상금 시스템이 초반 주도권 조합보다 중후반 한타 조합에게 더 웃어준다고 봅니다. 초반 조합은 한번 미끄러지는 순간부터 중후반 조합에게 잡아먹힐 수밖에 없도록 설계가 돼있는 것 같아요. 지금 게임은.
그래프
21/08/23 00:06
수정 아이콘
일단 1경기는 초반 주도권 원툴 조합이 아닙니다 레넥은 라인전에서 주도적으로 밀수는 있지만 핵심은 주도적인 오브젝트 싸움입니다 궁극기 강신에서 오는 힘을 이용한 전령싸움이 핵심입니다 1경기의 문제 점은 바텀 주도권이 나가면서 오브젝트 싸움에서 진게 핵심이고 빠르게 레넥이 썩고 미드픽인 이렐크질 못한게 핵심이죠 3경기내내 아펠 쓰레쉬때문에 게임 주도권이 나갈뻔했어요 아마 담원이 적이였으면 오늘 테디 엔딩 나기전에 넥서스 터졌을겁니다.
만약 티원 1경기가 초중반에 힘을 준 조합이면 미드에 이렐 안쓸거라고봅니다. 이렐은 성장이 필요한 픽이지 초중반에 날뛸수있는 픽은 아니죠
바인랜드
21/08/23 00:17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면 1세트는 레넥에 대한 안 좋은 기억에 더불어 집요한 미드 후벼파기에 당했던 이렐에 대한 기억만 강렬하게 남았지 그런 장면 연출되게 줄곧 주도권을 내주는 양상을 보였던 바텀 라인전 영향력을 간과했네요. 1세트에선 특히 엄청 두드러지긴 했죠... 어떻게 보면 나머지 2,3,4세트에서 이겼기에 망정이지 초반 바텀 라인전 주도권은 줄곧 젠지가 가지고 있던 것 같기도 하고... 사실 저도 오늘은 테디 선수가 굉장한 캐리를 보여준 건 맞지만 한편으로 담원 고스트 베릴 상대로는 테디 선수가 기묘하게 상성상 밀리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기도 해서 구마유시 선수 교체 준비는 플랜 B로 꼭 해두는 게 좋지 않을까 싶긴 하네요. 물론 이런 점들 다시 보완해서 준비 잘 해낸다면 모르겠지만요. 흠...
21/08/22 22:55
수정 아이콘
만약 오늘 티원이 레넥픽 끝까지 고집했으면 3 대 0으로 지고 겜게 댓글, 온 커뮤에서 페이커가 욕받이 잔뜩하고 끝났을거임. 한두번 본거도 아니라서 새삼스럽지도 않죠. 빠르게 레넥 포기한게 정말 다행이다 싶었죠. 레넥 자체도 꼭 가져가야 할 정도로 메리트가 그렇게 크지 않고 조건을 탄다고 봐야 하는데, 심지어 이팀은 레넥 선픽 되게 좋아해요. 1세트 왕창 망한게 다행이다 싶음
Dena harten
21/08/22 23:03
수정 아이콘
사실 23세트 이겨서 그렇지 아펠쓰레시 3연으로 준것도 굉장히 싸했습니다....
21/08/22 23:09
수정 아이콘
솔직한 평가는 2, 3세트 진짜 원딜 폼차이로 억지로 이긴거 같음. 젠지가 레드에서 한번 던져준거 그웬 라이즈가 받아먹은 2세트 그 장면이 이번 시리즈를 갈랐다고 봅니다.
21/08/22 23:11
수정 아이콘
이건 T1이 룰러 폼 안 좋다고 판단하고, 그거 주는 대신 딴 거 좋은 거 가져오자는 판단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시즌 말에 룰러 폼이 많이 내려갔던 건 사실이니까요.
21/08/22 23:12
수정 아이콘
저는 아펠-쓰레쉬 말고 다른거 줬으면 더 쉽게 이겼을거라 봄. 아펠-쓰레쉬가 룰러 라이프의 2라 막바지-오늘 폼을 보면 최후의 보루 같았어요. 근데 그걸 주고 초반에 그 고생을 했는데 결국 바텀차이가 났으니 룰러-라이프 폼이 생각하던거보다 더 심하구나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21/08/22 23:00
수정 아이콘
제발 티원은 레넥 좀 안골랐으면 좋겠네요. 팬들이나 울프 갱맘같은 중계해주는 사람들도 다 아는데 왜 자기들만 좋다고 선픽해놓고 털리는 게임을 반복하는지 모르겠네요. 레넥 니달리를 뽑아서 이긴적도 있긴하지만 그 픽의 맛을 살린 적은 없잖아요. 제발 이제 그만.
올해는다르다
21/08/22 23:08
수정 아이콘
레넥톤은.. 이미 교전 개시 잘하는 곳에서는 잘 써먹고 있고
티원도 간접적인 언급,정황들로 봤을 때 스크림에서는 강세를 보이고 초반에 펑펑 터뜨리는 게임을 잘하는 거 같지만
그걸 실전에서 연결을 못시키는, 전형적인 과도기에 있는 애매한 강팀의 모습 같네요.
21/08/22 23:11
수정 아이콘
서머 시즌 중에는 레넥으로 재미보는 게임들도 분명 있었죠. 그런데 업앤다운이 정말 심합니다. 레넥이라는 픽자체가 어쨌든 몸빵으로 돌진하는 챔이라서 리스크가 항상 있어요. 특히 요즘처럼 cc조합에다 포킹챔프 난무하는 메타에 조합 안보고 뽑을만큼 좋은 픽은 절대 아니죠. 안풀리면 바로 바보되고 진짜 겜 지옥으로 끌고 들어감... 괜히 레넥 니달리 승률이 박살난게 아니죠.
바인랜드
21/08/22 23:17
수정 아이콘
해외리그는 안 보지만 잘 쓰는 팀들은 분명 있겠죠. 슼도 썸머 초중반 양 전 감독 경질 이후엔 미드 레넥으로 재미보는 상황도 꽤 있었구요. 근데 이미 그 잠시 사이 패치에 따라 메타가 또 바뀌었다고 봅니다. 플옵 모든 경기들이 그 양상을 아주 잘 보여줬다고 생각해요. 농심만 해도 그렇게 터진 탑을 데리고도 한타 괴력으로 담원을 따라잡을 뻔 했던 순간을 계속 보여줬으니까요. 여기선 마찬가지로 담원도 농심 못지 않은 한타 괴력을 보여줬기 때문에 이길 수 있었다고 보고... 밀리는 상황에서도 딜러진이 잘 크던 상대 한두번만 끊어서 현상금 받아먹는 순간 2코어 이상 아이템 순식간에 갖춰지고, 레넥은 순식간에 썩습니다. 게임 초반 단계가 예전보다 너무 빨리 끝나고, 중반은 그만큼 빨리 찾아와요.
마이스타일
21/08/22 23:13
수정 아이콘
바루스가 진정한 레넥톤급 함정 카드라고 봅니다
라인전 원툴인데 포텐도 낮아서 최소 전령에 포골까지 못굴리는 순간 후반 승리 가능성을 극도로 낮춰버리는 픽이죠
탑미드에서 개터뜨렸으면 버스는 탈 수 있는데 만약 팽팽하거나 불리해지면 사실상 서렌각
21/08/23 01:21
수정 아이콘
저도 바루스 개똥픽 인정 초반에 이득 못보면 4대5같아요
서지훈'카리스
21/08/22 23:21
수정 아이콘
젠지 밴픽이 이상한 것 같던데
티원은 1세트 이후로 수정했고
젠지는 끝까지 이상한 밴픽
Extremism
21/08/22 23:30
수정 아이콘
코어탬이 쌓이기 시작하면 신화템빨 잘 받는 챔프로 그냥 라인전 좀 지고 들어가도 어느순간 유틸+화력으로 역전하는 패치버전이죠.
키모이맨
21/08/22 23:34
수정 아이콘
이거 제일 잘 보여주는 예시챔프가 제이스라고생각합니다. 템빨을 너무 찰떡으로 받아서 뭐가 어찌됐건 템뜨면
모든 제이스는 다 개쌤
kartagra
21/08/22 23:44
수정 아이콘
신화템 때문에 죽창싸움이 되면서 역전각이 너무 잘나오죠.

이렐같은게 눈에 띄는 이유도 뭔가 별로 못큰거 같은데 어느 순간 킬 한두개 주워먹으면 감당안되는 괴물되는 경우가 많거든요. 3,4세트 카밀 업글버전이나 다름없는데 문제는 이것도 아군 한타 조합이 안되면 그냥 날파리죠 뭐.

도인비 미드 이렐로 캐리할때만 봐도 아군이 케넨,다이애나,브라움,아펠이었습니다. 한타 조합 진짜 살벌한 조합이고 코인 넉넉하죠. 게다가 게임 자체도 미드 위주로 봐줬습니다. 탑 그냥 거의 방치해놓고 브라움이 거의 미드에서 살았어요. 얼마나 브라움이 미드에서 살았으면 순간 같은 서폿끼리 2렙차이나고 그랬습니다. 정글 다이애나도 계속 미드쪽 보고요. 반면 t1전은? 일단 반반가면 팀 자체가 망하는 조합에 바텀은 주도권 없어서 오히려 반대로 상대 바텀이 계속올라왔고 정글은 탑에서 살았죠. 물론 정글이 탑에서 안산다?그럼 레넥 니달리 썩고 망하는거라 어쩔 수 없긴 합니다만, 애초에 탑 터트리기 원툴이라는 것부터가 조합이 개노답이 맞는거죠. 바루스 렐이 징크스 브라움처럼 버티다보면 뭐 아펠 쓰레쉬보다 나은것도 아니고. 렐은 괜찮아도 바루스가 너무 애매했죠. 차라리 바루스 하느니 직스가 나았을 것 같습니다.

레넥/니달리 미끄러지면 바로 망하는 조합에 봇도 바루스 렐이라 라인 주도권 하나도 없고 한타가 좋냐하면 그것도 아니고..물론 이렇게 극단적인 조합은 터트리면 파괴력은 나오겠습니다만, 요새는 터트리기는 예전보다 힘든데 반해 역전이 너무 잘나오죠. t1 플랜은 그냥 탑 터트리고 레넥톤 전령싸움 강하니 전령 먹고 거기서 이렐이 킬 몇개 주워먹으면 괴물될테고 포킹좀 하다가 한타 강한 렐가지고 한타에서 성장차이로 찍어눌러서 그대로 스노우볼 굴려서 끝내버리겠다 이거였는데..너무너무너무 뻔했죠. 제가 봐도 보이는걸 젠지가 못봤을까요? 봇도 라인 주도권 하나도 없으니까 그냥 하루종일 미드 놀러오고 전령도 먼저 먹히고 거기서 플랜 다망가졌죠. 다른 라인에 국밥챔이 있으면 그래도 서로 비비면서 이렐이 기웃기웃 거리다 킬한두개씩 주워먹다보면 초반에 좀 못크든 말든 거의 날먹수준 괴물되는건데 아군이 레넥 니달리에 바루스면 이건 뭐..심지어 상대는 케넨 리신 아지르 아펠 쓰레쉬? 어우..그냥 qq 날파리나 cc맞고 폭사하는거죠 뭐.
바인랜드
21/08/22 23:54
수정 아이콘
와 그렇잖아도 엊그젠가 도인비 미드 이렐 캐리가 대단했단 얘기를 타 커뮤에서 보기는 했습니다만 조합이 저랬으니 이렐도 활개를 칠 수 있었을 것 같네요... 진짜 이런 일개 커뮤 유저들도 알고 있는 포인트들을 프로 선수들이 당연히 모르지는 않을 테고, 단지 방향성을 어떻게 잡느냐의 문제인 것 같은데 암만 봐도 지금은 초반은 베이스로 깔고 중후반 밸류로 다투는 메타가 맞는 것 같아요... 휴... 부디 밴픽 싸움 철저하게 잘 준비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인게임에서 우리가 더 잘하면 돼! 실수를 더 줄이면 돼! 가 절대 전부인 메타가 아니라고 봄... 다시 말하지만, 일단 잃지 않을 수 있으면 더 좋겠지만, 설령 좀 잃더라도 언제든 따서 갚을 수 있는 조합을 보여주면 좋겠네요.
티맥타임
21/08/23 01:08
수정 아이콘
이렐리아 레드5픽이었는데요 페이커가 선택한 픽입니다. 거기서 뭘해도 미드에 압박이 와서 미드는 힘들었을것이다. 틀린말아니지만 그거 버티면서 존버하는 한타챔 해도 되었죠 뭐. 차라리 라인클리어라도 되는 메이지하던가. 아니면 이렐리아로 솔킬 압박 넣으면서 미드주도권 꽉 잡던가. 무슨 조합을 잘못짜서 이렐리아가 망했다 이런것도 다 핑계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론 T1이 이렐리아의 티어를 너무 높게 봐서 1세트에 무조건 이 챔프를 픽하고 이겨서 상대 밴카드를 뽑거나, 견제를 하는 구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게 아닐까.. 저는 페이커가 AD챔프는 더이상 안했으면 좋겠어요. 정글 솔로 AP 몰아주기 도대체 뭐가 좋은지 모르겠습니다.
21/08/23 18:59
수정 아이콘
이렐 픽은 페이커가 선택한 픽인데 비판받는 젠지 픽들도 그럼 선수들이 선택한 픽일까요? 공개된 이야기만 하는 게 낫죠. 페이커가 레넥 1픽 가져가서 5픽 이렐 가져오자 한 게 아니면. 인게임 문제라면 모를까 인터뷰나 다른 루트로 소스가 나오지 않으면 모를 밴픽에 대한 책임까지 다 지워버리는 건 너무 가혹하죠. 애초에 상대 바텀도 먼저 움직여, 리신은 말 그대로 미드에 살아, 근데 이렐로 갱이 와도 2:1 회피가 가능한 아지르를 상대로 솔킬 압박 넣으며 미드 주도권 꽉 잡는 게 가능한 미드는 제가 장담하건대 13년도 페이커가 돌아와도 안됩니다. 어설픈 메이지 갔으면 정글미드 2ap가 되는데, 상대가 그냥 아지르도 아니고 비디디 아지르임을 특히 고려하면, 초반 전령싸움이나 중반까지 헤르메스 신발 하나에 어느 정도 카운터 맞아요. 말 그대로 받아만 먹으면 그나마 계속 압박 가능한 탑 라인의 압박이 불가능해집니다. 페이커가 못한 건 못한 거고 밴픽부터 팀적 설계까지 이렐 쓸 준비가 안되어 있던 건 맞다고 봐야죠. 이걸 단순 변명이라 하면 밴픽 문제고 뭐고 앞으로 그냥 다 선수 탓하면 끝입니다. 1세트 페이커 못했고, 2, 3, 4세트 비디디 못했다 끝. 근데 이게 맞나요?
술라 펠릭스
21/08/23 02:41
수정 아이콘
중 후반보다는 한타가 모든걸 좌우하는 메타인 것 같슾셒슾.

농심의 선전도 사실 이것 때문이고. 한타 잘하는게 라인전 잘하는 것 보다 더 앞서는 메타인 듯.
공항아저씨
21/08/23 07:48
수정 아이콘
이렐리아 할거면 미드정글 ad ap 밸런스 쓸 필요없이 자르반이나 리신 이런 핑퐁챔으로 미드 커버 무한으로 하는 플레이로 해야죠. 오늘 밴은 레오나 밴도하고 이렐리아 할 근거를 차근차근 만들어났는데 레넥니달리 꺼내고 아지르 가져간 비디디를보고 불판에도 미드 이렐은 힘들겠다고 썼거든요. 근데 5픽 이렐 꺼냈으니 보여주나? 했는데 팀적으로 전혀 매치업 이해를 못하고 니달리가 방황하는 모습보면서 많이 아쉬웠습니다.

대신 4세트에는 올라프가 야이애나를 아주 박살내놨죠. 클리드는 진짜 답답했을듯
Polkadot
21/08/23 07:56
수정 아이콘
밴픽을 떠나서 이렐리아같은 뒤가 없는 칼챔은 소수의 선택받은 선수가 선택받은 시간에만 사용할 수 있는 전설의 챔피언 같은거라고 생각해서...
아직 객관화가 덜됐나 싶은 생각도 들었습니다.
21/08/23 10:50
수정 아이콘
요샌 이전에 아무리 잘해놔봤자 한타로 현상금 쓸어먹으면 끝인 메타인거 같아서...
딜 나오는 한타조합이 진짜 짜세인거 같아요. 현상금으로 1킬로 천원씩 들어오니 뭐...
21/08/23 11:04
수정 아이콘
젠지는 벤픽이나 라인전 문제라기보단
뭔가 운영이 안됨
오더 문제거나 다들 따로 노는거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734 [LOL] 라이엇 재그 드디어 밸패팀에서 쫓겨나... [59] 스위치 메이커17579 21/10/27 17579 2
72720 [LOL] 롤드컵 4강 예상이나 해봅시다 [125] 라면13138 21/10/26 13138 0
72665 [LOL] 주관적인 롤드컵 8강기준 챔피언 티어리스트 [37] gardhi13382 21/10/20 13382 6
72625 [LOL] C조 2R 시청 소감 / 한국팀 짧은 평 [54] 조미운14553 21/10/18 14553 3
72593 [LOL] 브실(골)의 시선으로 본 롤드컵 메타 분석 [17] ipa11286 21/10/14 11286 8
72592 [LOL] 2021 Worlds 그룹스테이지 1R 감상 [33] Hestia14818 21/10/14 14818 16
72582 [LOL] 솔랭 패치는 계속된다 11.21 패치 예고 [35] MiracleKid11376 21/10/13 11376 0
72581 [LOL] 11.21패치,전체 채팅 삭제 및 패치 내용 [44] 스위치 메이커10507 21/10/13 10507 0
72521 [LOL] 36살 3년만의 재도전 다이아 달성 후기,마지막 열정 [33] 가치파괴자11935 21/10/06 11935 24
72504 [LOL] 뎁스 vs 시너지, 그 사이의 딜레마 [51] Davi4ever13330 21/10/04 13330 3
72433 [LOL] Nemesis "세계최강의 미드? 비교불가, 그냥 쵸비" [238] carpedieem23313 21/09/24 23313 2
72409 [LOL] 롤드컵 패치버전 11.19가 공개되었습니다 [18] 반니스텔루이17099 21/09/22 17099 0
72266 [LOL] 3대리그 플옵 기준 자주 나온 챔피언들 [7] gardhi13116 21/09/04 13116 6
72109 [LOL] 그 어느때보다 픽밴 통한 중후반 조합 싸움이 중요한 메타인듯 [63] 바인랜드18844 21/08/22 18844 0
72002 [LOL] 2022 프리시즌 개요 [27] 올해는다르다11110 21/08/12 11110 0
71936 [LOL] 슈퍼자르반 빌드(서폿) [영상추가] [39] Cookinie14793 21/07/31 14793 13
71887 [LOL] lpl 정규시즌 막바지, 롤드컵을 꿈꾸는 7순위 팀들 주관적인 평가 [17] gardhi12682 21/07/24 12682 3
71850 [LOL] T1, 이대로만 갑시다. 이대로만 [135] Hestia24149 21/07/18 24149 48
71782 [LOL] 각 챔프의 궁극기를 양자택일로 만들어준다면? [67] GiveLove15268 21/07/08 15268 2
71685 [LOL] 11.13 패치, 대회에 가장 큰 변화를 줄 변화점은? [46] gardhi11177 21/06/26 11177 6
71605 [LOL] 전상욱 + 클템 합방 롤vs스타 토론 방송 [105] 어바웃타임17731 21/06/14 17731 6
71402 [LOL] 매드 라이언스 MSI 이른 감상평 및 간단한 전망 [7] 비역슨14074 21/05/09 14074 10
71142 [LOL] 내맘대로 주는 정규시즌 어워드. [36] aDayInTheLife12303 21/03/28 12303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