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05/30 23:45:10
Name arcanumToss
Subject [일반] 갤럭시S 때문에 500만 원 정도의 금전적 손해를 입었네요...
음... 제목 그대로 일반 휴대전화에서 갤럭시S로 기변을 한 다음 500만 원 정도의 금전적 손해를 입었습니다.

제대로 따져 보면 아주 훨씬 큰 손해를 입었고요.

거래처가 떨어져 나갔기 때문이죠.

사연인 즉슨...

1월부터 제 내비게이션에 오작동과 GPS 연결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그리고 비슷한 시기에 휴대전화의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는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했고요.

그래서 당연한 결론이겠지만 스마트폰으로 바꾸기로 결정했고 아이폰과 갤스 사이에서 갈등하다가 아이폰이 전화 기능에 문제가 있다고 해서 갤스로 결정했죠.

그런데 개통한 날부터 이상하게 거래처에서 오는 전화가 급감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바꾸기 전에 쓰던 폰은 비키니폰, 연예인 이름을 딴 폰이었습니다. 모두 3G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가물에 콩 나듯 오는 전화를 받고 달려 가면 '왜 전화를 안 받느냐', '바빠서 일부러 안 받은 것 아니냐' 같은 말들을 듣기 시작했죠.

물론 제가 실수로 전화를 못 받는 경우에 대비해서 골키퍼와 퍼펙트콜 서비스까지 가입을 해 뒀었지만 그런 기록도 남지 않았더군요.

그래서 SKT에 전화를 해서 고객들이 전화를 했다는 시간을 알려주고 그 시간에 기록이 있는지를 찾아봤지만 거기에도 기록이 남지 않았죠.

그리고 그 이유는... 휴대전화가 전혀 반응을 하지 않으면 SKT에도 전혀 기록이 남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면서 갤스 무료 점검을 받아 보라고 하길래 신청을 했고 바로 각종 업그레이드와 수신 점검도 받았습니다.

그 후로 수신이 잘 되는 것 같긴 했지만 수입은 급감했죠(잘 되는 것 같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오늘 알게 됐습니다).

시간을 다투는 일의 특성상 만일 전화가 불통이면 다른 곳에 주문을 하고 그 결과 거래처가 떨어져 나가기 때문에 전화 불통은 치명적입니다.

이런저런 얘기를 하자면 길어지니 결론만 말하자면 수신이 아예 안 되는 증상 때문에 급격한 상향 곡선을 그리던 수입 그래프가 급격한 하향 직선을 그렸고 한달 평균 250만 원 가량 손해를 봤습니다.

거래처가 떨어져 나갔기 때문에 더 큰 손실이 있었죠.

어쨌든 오늘 바로 잘 아는 휴대폰 매장에 가서 2G 휴대전화를 개통했습니다.

2G 휴대전화는 송수신이 잘 되기 때문에 황금 주파수로 불린다더군요.

2G 전화로는 수신만 하고 갤스로는 발신만 하는 것으로 결론짓고 돌아와 글을 남깁니다...

억장이 무너지지만 손해배상을 받을 생각은 안 하고 있습니다.

그냥 신경 끄고 지내려고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Go_TheMarine
11/05/30 23:48
수정 아이콘
2g 서비스 곧 종료되지 않나요?
그냥 개통해도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거북거북
11/05/30 23:53
수정 아이콘
2G 개통이 되시다니... 요즘 엄마폰 바꾸시라고 계속 전화오던데 =_=;;
비디오드롬
11/05/30 23:54
수정 아이콘
이게 제가 아는 한 거의 모든 스마트 폰은 통화에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일반 피쳐폰 보다 상당히 높게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게다가 최근 들어서는 통신망도 전화 상태를 똥으로 만드는 데 일조하고 있죠.

혹시 일하시는 곳이 유동인구가 높은 곳인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으며 전화통화가 사람이 많을 시간에 집중적으로 이뤄진다면 체감 전화 드랍율은 더 떨어질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11/05/30 23:54
수정 아이콘
2G 신규 개통이 아직까지 되나요? 안되는 걸로 아는데...
요즘엔 무조건 010으로 3G만 가능한 걸로...
ArcanumToss
11/05/30 23:59
수정 아이콘
2G 신규 개통 가능합니다.
SKT에서 가능하고 사라지지 않을 것 같다고 하더군요.
통화 품질이 가장 좋기 때문에 영업하시는 분들이 주로 쓰신다고 하더군요.
올빼미
11/05/31 00:02
수정 아이콘
영업하시는 분들 상식아니었나요? 01x번호쓰는거....
11/05/31 00:09
수정 아이콘
뭐.. 사실 저 문제는 겔럭시 S의 문제라기보단..

'특정 지역에 망 부하(전화통화등)가 많은 시간에는'.. 3G를 쓰는 거의 모든 스마트폰에서 발생하는데... 이게 큰 문제가 되는 분들이 있지요..
(해결법은 뭐.. 망 늘리는 수밖에 없는게 현 상태니..)
구하라.
11/05/31 00:21
수정 아이콘
글쓴분께 죄송하지만 제목은 바꾸시는게 어떨까 싶네요. 이 문제가 비단 갤럭시S만의 문제가 아니라 거의 모든 스마트폰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제목에 갤럭시S라고 꼭 집어서 말하는건 오류가 아닐까 싶네요.. 제목만 봐선 갤럭시S에만 문제가 있는것처럼 여길 소지가 다분합니다.
LG.33.박용택
11/05/31 00:23
수정 아이콘
이건 3g 때문이죠.
아, 근데.. 진짜.. 너무 많이 쓰시는 분들은 좀 자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코뿔소러쉬
11/05/31 00:26
수정 아이콘
안타깝네요...
11/05/31 00:33
수정 아이콘
초기엔 그런 말이 상당히 많았죠. 통화만 따지면 피처폰 쓰는게 낫다고요.
전화 한통 한통이 중요하다면 스맛폰 쓰지 말고 피처폰 쓰라고....
근데 스맛폰이 대세가 되다보니까 요즘은 확실히 그런 말은 듣기가 힘들어졌네요.
그래서 최근에는 이런 문제가 없는 줄 알았는데... 아니군요;; [m]
Lonelyjuni
11/05/31 00:35
수정 아이콘
이건 너무 많이 쓰는 사람의 문제로 보아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처음부터 무제한으로 제공한 통신사 문제지요. 무제한으로 공급했으면 망 관리를 잘 해서 완전한 통화 품질을 제공해야 하는데, 그렇지는 못하고 홍보에만 급급해서 이따위로 만들었지요.
앞으로 이 글 보시고 영업하시는 분들 중에 3G 스마트폰 사실 분들은 꼭 명심하세요. 아마 한동안은 계속 그럴테니, 2G 를 쓰시는게 백배 낫습니다.
하루빨리
11/05/31 00:43
수정 아이콘
위에도 적었지만 이게 왜 3G 회선 문제인가요?

1. SKT기록에는 남는 수화기록이 단말기에 없다.
2. 갤스에서 업그레이드와 수신 점검을 받은 이후로 이런 현상이 없다. 수정) 현상이 없었던게 아니라 그렇게 느꼈다고 적혀있군요.

라는것만 봐도 단말기 문제 아닌가요?
ArcanumToss
11/05/31 00:46
수정 아이콘
???
스마트폰으로 바꾸기 전에 쓰던 폰도 비키니폰, 연예인 이름을 딴 폰이었습니다.
모두 3G로 알고 있습니다.
근데 아주 잘 터졌죠.
갤스로 바꾸고 난 후 나타난 문제입니다.
샤르미에티미
11/05/31 00:58
수정 아이콘
대한민국에서 태어나면 자동으로 호갱님...해야 되나 싶은 상황이긴 하죠; 스마트폰을 안 쓰기에는 그 성능이 너무도 좋은 상황이고요.
요금도 싸지도 않은데 충분히 부담이 되는데 통신사는 담합해서 그렇게 수익을 올리는 데도 고객님들 잘못이라고 하는 상황이...참....
11/05/31 00:59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에는 그냥 기기불량 같네요 일명 뽑기 실패
skt는 데이터랑 음성을 분리해서 망관리를 해와서 콜드랍문제는 거의 발생안했었고 갤럭시s도 딱히 문제가 있지는 않았으니까요
요새는 합쳐서 운영한다는거 같긴하던데 최근에 바꾸신건가요?
하루빨리
11/05/31 01:06
수정 아이콘
보통 데이터와 음성을 분리해서 망관리를 하지 않더라도, 3G 회선에 문제가 있음 콜드랍과 데이터 패킷 오류가 같이오죠. 단말기에서 인터넷은 제대로 되는데 음성이 안된다. 하면 3G 회선에 문제가 있는게 아니라 단말기문제일 경우가 크다고 봅니다. 더군다나 회선문제이면 그 회선을 쓰는 주변 사람들도 똑같이 그 증상을 겪어야 정상입니다.

뽑기운이 안좋았다는데데 한 표 던집니다.
11/05/31 01:06
수정 아이콘
억울해서 푸념 늘어놓는 글도 제목으로 태클이 들어오는군요....

SK 3G망 내지는 갤럭시S의 문제이고, 뭐가 문제인지도 명확하지 않은데 무작정 제목을 바꾸라는건 뭔지...
고요함
11/05/31 01:08
수정 아이콘
저도 엄청 후회하고 있습니다.

애국심에 불타서.. 미국에 있으면서도..
겔스를 샀습니다. 것도 아이폰이랑 같은 가격에...
그런데.. 전화가 안옵니다..(때론 안걸리기도함) 그리고 아는 분들에게 왜 전화안받냐고 한소리 듣기 시작했지요..

그래서 전 수신 장소의 문제인가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아는 친구도 같은 문제로 불만이 많더라고요...
하루빨리
11/05/31 01:16
수정 아이콘
덧붙여 이야기하자면 스마트폰에선 이런 케이스가 좀 있습니다. 제조사 OS따지지 않고 말이죠. 전에 아이폰4 데쓰그립이 화제일때 잡스가 나와서 다른 폰들도 다 그렇다라는 병크를 터트리죠. 제조사 수장으로서 할 말이 아니라 비난이 있었지만 이야기 자체는 맞는 말이였습니다.

제가 윗 댓글에서도 갤S2잘못이라 하지 않고, 단말기 잘못이라 한 것도 그 이유에서입니다. 제품군 전체 문제가 아니라, 불량품 문제라는 것이죠. 물론 이는 불량품을 만든 제조사 책임이고요. 하지만 옴니아건 처럼 제품군 전체를 싸잡아 문제라하기는 이런 케이스가 대다수 나와 여론화 될때 이전엔 이야기 하는걸 조심해야겠죠.
하드코어
11/05/31 01:30
수정 아이콘
전 오히려 피쳐폰 3G(KT회선)에서 이러한 일을 경험했죠..

불통 상대방 대화 들리지 않기 등등 이게 은근히 화가 나죠..

거기에 여친까지 저 때문에 따라서 KT로 번이하고 정말 노예기간동안 욕 많이 먹었습니다.(너 때문이라고..)

지금은 노예 기간중에 도저히 못참고 SKT 아이폰으로 넘어간뒤로는 그런일 자체가 없어졌습니다.

오버 조금 해서 항상 수신이 불안정하다가 안정적으로 통화하는데 정말 눈물 날뻔했습니다.

2년동안 갈굼먹은게 서러워서....

물론 뽑기운도 있지만 어느정도 회선에 따른 영향도 있고.. 걍 운이라고 봅니다.
Aisiteita
11/05/31 02:43
수정 아이콘
갤S산 제 친구가 전화와서는 "요즘 왜 연락이 없어?"라고 물어보면 전 늘 "야, 요 며칠새 전화 두번이나했다" 라고 대답했는데... 이런일이 저에게만 있는 일은 아니었군요. 요즘 아버지께서 스마트폰 쓰고 싶다고 하시던데 극구 말려야겠습니다.
비소:D
11/05/31 07:15
수정 아이콘
저갤S씁니다만이런일은홍대서딱한번겪었는데
가게 이런상권에위치하신게아니라면기기결함아닐까요흠 [m]
어떤날
11/05/31 07:57
수정 아이콘
저는 갤S인데 저런 경우 한번도 없었고 (일단 통화 자체가 많지 않지만 ㅠㅠ) 오히려 제가 아이폰 사용자들에게 전화걸 때는 저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더군요. 모든 스마트폰의, 아니 3g의 한계인 것 같은데... 글쓴 분의 문제는 그것보다 기록 자체가 안 남는다는 걸 보면 기기결함인 거 같네요. 저런 경우는 교품이 안 되나요? 갤S2 나온 지금 시점에서 좀 우기면 2로 바꿔줄지도 모르겠는데;; 일단 금전적인 손해도 보셨으니깐요. 어쨌거나 2g 폰을 새로 장만하셨다니 그럴 일은 없겠지만요.
염나미。
11/05/31 08:42
수정 아이콘
아이폰 전화 진짜 안되요 ㅜㅜ
옛날에 핸드폰이 터지니 안터지니로 광고 하던 시절,,,(한석규가 산에서도 SKT는 터진다는 광고하던시절)
쯤 수준으로 핸드폰이 되네요,,, 엘리베이터에서 통화하는건 생각도 못하구요,특히 발신,,,,
저희 집 제 방이 3g수신률이 좋지 않은데, 예전 피쳐 폰 쓸때는 그런적 없는데, 아이폰으로 바뀐 후로는 제방에서 통화도 못합니다. ㅜㅜ

학교 중도 지하에서도 전화가 가끔 안되구요,ㅜㅜ 심지어 KT지정 스마트캠퍼스구축 사업을 벌인 곳인데,,,

스마트폰 말만 스마트지 멍청한 부분이 한 두가지가 아닌 것 같아요
Jeremy Toulalan
11/05/31 09:34
수정 아이콘
저는 아이폰4 사용하는데 그렇게 불편힘이 없네요
가끔 전화 잘 안터지는 건 있지만 뭐 전화 왜 안받냐는 말은 못 들어봤네요
아무도 연락을 안해서 그런가...
daroopin
11/05/31 10:23
수정 아이콘
아이폰은 훨씬 전에 이문제가 대두 됐었죠 아이폰 까페 가서 수신 불량으로 검 색해 보시면 엄청난 동영상들 많습니다. 집에서 바로 옆에 있는 폰에 거는데 안걸리는 동영상도 있고요...
저도 아이폰4 쓰는데. 정말 장난 아닙니다. 이제는 걍 그러려니 합니다. 아이폰4의 경우는 제 주변의 아폰4 유저들도 모두 인정하는 문제 더군요 수신 불량 전화가 걍 안오죠. 대부분 장소의 문제 입니다. 일정 장소에 있으면 전 화가 안옵니다. 아니면 기지국이 급박하게 바뀌는 상황이나 말이죠 예를 들면 택시 같은거 타고 이동중이나 이런경우요. 재수없으면 캐치콜도 안뜹니다;;;
요즘은 좀 나아졌죠 하지만 여전히 나타나고 있습니다. 통신사에서 기사 부르고 신경을 써주면 확실히 나지는데 이런 문제는 대부분 망 + 3G기계와의 주파수 문제라 하더군요..
yurayura
11/05/31 13:41
수정 아이콘
영업하시거나 전화가 생명이신분들은 2G쓰는게 낫죠.. SK는 2G사용자도 워낙 많아서 그대로 유지할겁니다. 2G용 단말기도 조금씩 나오구요.

데이터 무제한 도입하면서 3G 통화품질 안좋아졌습니다. 예전 3G폰 쓰던 시절에도 이정돈 아니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869 [일반] 조립 PC 죽이기인가? [95] arcanumToss9379 12/03/11 9379 0
34950 [일반] UFO에 관한 설득력 있는 주장 [74] arcanumToss6202 12/01/28 6202 0
29460 [일반] 갤럭시S 때문에 500만 원 정도의 금전적 손해를 입었네요... [51] arcanumToss8535 11/05/30 8535 0
28499 [일반] 농협 사태가 대체 어디까지 갈까요? [23] arcanumToss6744 11/04/17 6744 0
27882 [일반] 스마트폰으로 무얼 할까. [59] arcanumToss7492 11/03/20 7492 0
26238 [일반] [정보]삼성프린터 사용시 주의점 [35] arcanumToss22480 10/11/07 22480 0
19766 [일반] CD도 USB도 없이 XP 설치하기 [21] arcanumToss7812 10/02/24 7812 3
19076 [일반] 포모스에 바이러스 있습니다. [21] arcanumToss6633 10/01/23 6633 0
18787 [일반] 압축 파일의 암호화, 얼마나 신뢰할 수 있나? [19] arcanumToss8659 10/01/08 8659 0
18711 [일반] 무선 인터넷 사용에 주의하세요. [11] arcanumToss5977 10/01/04 5977 1
16064 [일반] UFO의 초보적인 반중력 장치 제작법 [19] arcanumToss14659 09/09/18 14659 0
11793 [일반] 불황기와 선비정신 [44] arcanumToss5048 09/04/05 5048 0
11699 [일반] 김연아 선수와 마오 선수에 대한 잘못된 지식들 [22] arcanumToss6951 09/03/29 6951 0
8987 [일반] 끈이론으로 보는 우주론(VOD) [14] arcanumToss4816 08/10/26 4816 1
7667 [일반] 새벽에 서태지 음악을 들으며... [10] arcanumToss4630 08/08/01 4630 1
4726 [일반] 불편한 진실-지구 온난화와 육식의 함수 관계 [20] arcanumToss4172 08/03/06 4172 0
3696 [일반] 정정당당 코리아 [129] arcanumToss6027 07/12/19 6027 5
3648 [일반] BBK = BBK B.V.I? 검찰 수사의 오류? [23] arcanumToss4983 07/12/17 4983 0
2502 [일반] 상대성 이론의 관점에서 본 진화론과 창조론 [43] arcanumToss4155 07/08/29 4155 0
1729 [일반] 2,30대는 친자녀의 양육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23] arcanumToss5494 07/06/30 5494 0
1517 [일반] 차세대 컴퓨터 시스템 [5] arcanumToss5351 07/06/06 5351 0
1327 [일반] TTS 기술 수준이 놀랍군요.(제품 공개^^) [10] arcanumToss6427 07/05/16 6427 0
1016 [일반] 실명인증으로 얻고자 하는 효과는? (추가 - 04.14 00:10) [40] arcanumToss3990 07/04/13 399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