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7/22 15:40:49
Name 도뿔이
Subject [일반] [호빗아재의운동이야기]홀쭉이와 뚱뚱이
중3때 알게되서 25년지기인 두 아재가 있습니다.
둘은 농구를 좋아해서 친해졌고 키가 조금더 컸던 친구는 살짝 말랐고
키가 조금더 작던 친구는 살짝 통통했습니다.
둘은 같은 고등학교로 진학했고 조금 더 컸던 친구는 키가 계속 커서 180을 훌쩍 넘겼고
키가 조금더 작던 친구는 그냥 안 컸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살짝 마르고 살짝 통통한 체형은 유지됐습니다.
둘이 체형을 고민하기 시작한건 고3이 되어서였습니다.
통통했던 친구는 수많은 고3이 그렇듯 살이 계속 붙었고
말랐던 친구는 고3때 크게 아파서 183-4쯤 되던 키에 64-5키로가 나갈정도로 비쩍 말랐습니다.
둘은 성인이 되었고 마른 친구는 살을 찌우고자 노렸했지만 별 소용이 없었고
통통한 친구는 계속 뚱뚱해져서 둘의 몸무게는 20센치 넘게 작은 친구가 더 많이 나가게 되었습니다.

제가 앞에 썼던 글들을 보셨던 분들이 계시다면 아시겠지만 윗글에 나오는 작고 뚱뚱한 친구가 저입니다.
제 키는 160정도이고 성인이 되고나선 군대시절이나 잠깐 다이어트를 할때 제외하곤 꾸준히 70중후반대를
유지했었죠
키 크고 마른 제 친구는 70만 넘겨보자고 아둥바둥 노력했었구요
전성기(?)땐 제가 10키로 이상 많이 나갔죠..
사실 비만쪽으로도 마른쪽으로도 우리 둘 정도면 그리 큰 고민이 아닐수도 있습니다.
뚱뚱하다는 저도 최대가 79였었고, 저랑 비슷한 키에 100을 넘겼던 적이 있는 사촌동생도 있고
제 친구 같은 경우는 183에 60대 후반 몸무게면 요즘 트렌드에 딱 적합한 몸매일수도 있으니깐요
이런 문제는 객관적 관점보단 주관이 훨씬 강하니깐요..
우리 둘다 몸무게에 불만이 있었고 둘이 말로만이라도 반평생을 노력해왔으니깐요

결론을 말씀드리자면 둘다 어느 정도의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이젠 키 큰 친구가 몸무게가 더 많이 나가게 되었습니다. 그 친구는 최고 79를 찍고
70대 중후반 몸무게를 유지하고 있고 저는 가끔씩을 제외하곤 어쨌든 70아래를 유지하니깐요

사실 우리 비만인(?)들 입장에선 말라서 고민인 사람들이 이해가 안될 수 있습니다.
저도 20년 가까이 보고 나서야 조금이나마 이해가 되거든요..
제가 다이어트에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기에 이런 생각을 할지도 모르겠지만
전 비만인들이 다이어트를 하는것보다 마른 사람들이 살을 찌우는게 몇배는 더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꼭 체중관리가 아니더라도 하던걸 안하는것보단 하기 싫은 걸 억지로 하는게 더 힘든 법이죠

이 친구를 보면서 느끼는게 많이 다릅니다. 왜 살이 찌고 왜 살이 못(?) 찌는지 느낍니다.
전 살면서 식욕을 잃은 적이 진짜 단 한번도 없습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폭식을 했고
몸이 아파도 식욕은 멀쩡했습니다. 장염같은 속병일때도 마찬가지구요..
못 먹는 음식이 제법 있긴 한데 딱히 음식의 질을 가린다거나 하진 않고 잘 먹습니다.
메뉴를 고를때 고민을 거의 안합니다. 아무리 바빠도 식사는 꼭 챙기는 편이고
식사를 거를 정도로 바쁘면 스트레스를 엄청 받습니다.
그런데 이 친구는 스트레스를 받으면 식욕이 없답니다. 매번 배고프다면서 메뉴를
고르는건 엄청 까다롭고 자기가 정말 좋아하는 음식이라도 한번의 식사량은 제 기준에서
보기엔 그리 많지 않습니다. 바쁘면 식사를 거르는 걸 당연하게 생각합니다.

최근에 한번 다시 느낀게 이 친구랑 저녁을 먹으러 고기집을 갔습니다.
장사를 시작한지 얼마 안된 집인지 일하는게 어설퍼서 추가 메뉴가 계속 늦어졌습니다.
이 친구가 그러더군요.. '이런건 안 끊기고 먹어야 되는데 끊겨서 배 불러온다'
같은 순간에 전 '중간에 끊기니깐 먹은거 같지도 않네'라고 생각하고 있었거든요

물론 자신의 체중으로 고민인 분들이 다들 같을 수는 없습니다. 아니 애초에 건강 문제가 아니라면
체중으로 고민하게 만드는 사회가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살이 쪄서 고민이든 살이 안 쪄서 고민이든 다 힘들다는 걸 양쪽 진영(?)이 다 알아줬으면 합니다.
현대 사회는 살이 찌기 쉬운 환경이라 상대적으로 '홀쭉이'들의 고민은
배부른 고민으로 취급하는 경향이 어느 정도 있는 것도 사실이구요

글 마무리는 제가 동기부여를 받고 있는 살찌려고 노력중인 '멸치'님의 영상으로 할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허세왕최예나
19/07/22 16:52
수정 아이콘
예쁘시군욤
도뿔이
19/07/22 19:26
수정 아이콘
저분이 아이돌들 실제로 봤을때 마른 정도가 자기 수준이라 충격이었다고....
카롱카롱
19/07/22 18:31
수정 아이콘
스미스머신 피티 스쾃...
도뿔이
19/07/22 19:28
수정 아이콘
저 정도 약골이 뱃스쾃 연습할려면 어쩔수 없다 칩시다 크크
포이리에
19/07/22 23:27
수정 아이콘
저랑 스펙이 비슷하시네요
다만 저는 전역후 꾸준히 몸무게증가
사랑니나서 아파죽겠는데 아픈 이로 먹고있는 내가 싫었는데 바뀌는건 없더라구요...
특별한 계기가 없는한 쭉 돼지일듯 합니다 흙흙...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195 [일반] 고유정의 첫 공판이 열렸습니다. [38] 아유8637 19/08/12 8637 3
82192 [일반] DHC, 한국콜마 관련해서 난리군요 [59] Jun91113222 19/08/12 13222 14
82191 [일반] 아파트 단지 내 주차문제로 인한 스트레스 [56] 사업드래군12593 19/08/12 12593 6
82190 [일반]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이번 2022 수능 개편안의 문제점 [27] 아유6139 19/08/12 6139 1
82189 [정치] 출산률과 눈높이 [35] LunaseA11364 19/08/12 11364 2
82186 [일반] [류현진은 역사상 최고의 ERA+ 시즌을 만들어 낼 수 있을까?] [97] cheme13971 19/08/12 13971 35
82183 [정치] 인도, 카슈미르의 자치권 박탈 [38] 크레토스10475 19/08/12 10475 17
82177 [일반] 배워서 남주네) 엑셀과 vba를 이용해 공정관리 시트 구현하기 - 2-1 [9] 산양7277 19/08/11 7277 14
82174 [정치] 광화문광장 재구조화를 둘러싼 서울시와 행정안전부의 2라운드 [54] 아유8318 19/08/10 8318 3
82172 [일반] 퇴직금 적립금 중 3%를 국민연금으로 전환하자는 안이 나왔습니다 [58] 홍승식12877 19/08/10 12877 3
82171 [일반] 박사과정 1년차 생존기 [58] Finding Joe12967 19/08/10 12967 42
82170 [일반] 한국(KOREA)형 게임모델 [30] 성상우7478 19/08/10 7478 4
82168 [일반] 그냥 적어보는 군 부대의 인원문제 (feat 유게 7군단장이 흑화한 이유) [74] BK_Zju14489 19/08/09 14489 21
82165 [일반] [일상] 그냥... 날이 더워서 끄적이는 남편 자랑 [126] 초코머핀13933 19/08/09 13933 72
82158 [일반] 하승진과 변덕규 리더쉽 [29] 위버멘쉬9228 19/08/08 9228 3
82156 [일반] 팔라우 여행 추천해 드립니다 [37] Jun9119381 19/08/08 9381 2
82155 [일반] 가장 현대적인 장르: 테크노 스릴러 [20] Farce11393 19/08/08 11393 6
82154 [일반] 축구에 대하여 [13] 성상우6022 19/08/08 6022 2
82152 [일반] 반도체와 EUV 이야기 [65] 가라한15135 19/08/08 15135 45
82143 [일반] 한략(韓略) [12] 성상우6022 19/08/07 6022 3
82140 [일반] 영화 엑시트 리뷰 겸 불판(스포 有) [65] PANDA X ReVeluv9090 19/08/07 9090 3
82139 [일반] vs놀이. '순풍 산부인과' 는 누가 캐리했는가? [84] goldfish9692 19/08/07 9692 5
82136 [정치] 일본 사태에 묻혀 있지만 대한민국 외교의 가장 큰 고비가 올뻔 했네요. [45] 가라한15389 19/08/07 15389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