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8/13 17:40:34
Name 성상우
Subject [일반] 야구(Baseball)에 대하여 (수정됨)
야구(Baseball)에 대하여

야구는 미국에서 시작되었고 메이저리그가 유명합니다. 저는 예전에 투수 박찬호가 메이저리그에서 뛸때 많이 경기를 보았고 국내팀으로는 삼성라이온즈를 응원하고 있습니다. 어릴때에는 삼성라이온즈가 너무 오랫동안 우승을 못해서 낙심을 할때가 많았습니다. 시간이 흘러서 삼성라이온즈가 팀에 투자를 많이 하고 좋은 선수들을 갖추었고 나중에 우승을 해서 다행스럽게 생각했었습니다.

코리안특급이라고 불리운 박찬호는 LA다저스에서 활약하다가 이후에 여러 메이저리그구단들을 거쳐서 국내로 돌아와 한화이글스에서 야구인생을 마쳤습니다. 한국의 박찬호가 먼저 메이저리그에 진출하고 뒤이어서 일본의 노모히데오가 메이저리그에 진출했는데 저는 두 사람간의 경쟁을 너무 재미있게 봤습니다.

두 사람 다 메이저리그에서 뚜렷한 발자취를 남겼는데 노모히데오가 개성이 뛰어난 선수였다면 박찬호는 친화성이 뛰어난 선수였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노모히데오가 메이저리그에서 123승을 올렸고 한국의 박찬호는 메이저리그에서 124승을 올렸습니다. 그리고 비슷한 시기에 활약을 했던 김병현이 메이저리그에서 54승을 올렸습니다.

또 야구만화도 즐겨보았는데 가장 기억에 남는 만화는 국내작품으로는 이현세화백의 '공포의 외인구단'이고 일본작품으로는 'H2'가 기억에 남습니다. 저는 야구를 통해서 많은 인생의 교훈점을 얻었습니다.

첫째 야구를 통해서 배운 것은 집중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야구선수들은 경쟁을 통해서 생존을 하고 자신의 성적을 인정받고 팬들에게 사랑을 받는 프로입니다. 프로의 가장 큰 특징중 하나는 한가지 일에 전무하는 것입니다. 속담중에서 "낙숫물이 바위를 뚫는다."라는 말이 있는데 한가지에 집중을 하는 것은 그만큼 무서운 위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야구선수들이 야구라는 종목에서 특출한 실력을 발휘하는 것도 한곳에 집중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훌륭한 성과를 거두고 남들이 이룰수없는 대기록을 달성하는 것입니다. 문제의 해답은 집중에 있는 것입니다. 만약 집중하지 않는다면 보통사람보다야 뛰어나겠지만 진정한 대선수가 될수 없고 평범한 위치에 머무르고 말것입니다.

야구라는 스포츠에서 가장 위대한 선수들이 들어갈수 있는 명예의 전당이 존재하는데 이곳에 기록된 대선수들은 모두 자신의 삶과 선수생활에 집중을 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입니다. 이와같이 인생에서도 한가지 일에 집중하느냐 못하느냐에 따라 인생의 성공이 결정됩니다. 즉 자신의 분야에서 집중을 하면 비범해지고, 집중이 오래 지속되면 유명해지고, 집중을 끝까지하면 전설이 됩니다.

둘째로 야구를 통해서 배운 것은 과학적으로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야구의 모든 기록은 데이터화되어 수학적으로 분석이 됩니다. 야구의 겉모습은 굉장히 화려하고 멋있습니다. 이런 야구의 안을 들여다보면 데이터적인 측면이 버티고 있는데 야구라는 스포츠에 대한 흥미와 재미를 최대한 증폭시켜줍니다.

야구경기를 볼때에 경기를 알수 없다거나 모른다고 얘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불확실성 때문에 야구는 더 재미있습니다. 그러나 이기기위해서는 이런 불확실성을 극복해야 할 것입니다. 그래서 야구에서는 승리를 위한 방법으로 과학적인 방법 즉 첫째는 하드웨어적으로, 둘째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여러가지 효과적이고 검증된 방법을 동원하여 야구라는 스포츠를 해나갑니다.

또한 야구에서는 극복이 불가능할 것처럼 보이는 징크스와 난관들이 존재하는데 여기에 대해서도 모두 과학적인 방법으로 극복해나갑니다. 그러면 하나씩 난제들이 해결이 되고 이전의 위대한 사람들을 뛰어넘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듯 인생에서도 문제가 있으면 점이나 미신으로 해결해서는 안되고 과학적으로 해결해야 할 것입니다. 저는 이것을 야구를 통해서 배웠습니다.

셋째로 야구를 통해서 배운 것은 결정구가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나고야의 태양이라고 불리운 선동렬의 결정구는 포심입니다. 포심으로 선동렬은 일본으로 넘어가 구원투수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또 코리안특급인 박찬호의 결정구는 슬러브로 메이저리그에서 많은 탈삼진을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일본의 자랑으로 알려졌던 노모히데오는 포크볼로 유명합니다.

야구에서도 그렇고 또한 인생에서도 사람마다 자신의 결정구가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자신의 삶과 생활에서 난타당하고 강판당하여 앞으로의 미래가 보장되지가 않습니다. 인생에서 결정구가 있는 사람만이 미래를 창조하고 어려움을 이겨낼수 있습니다. 만약에 결정구가 없는 사람은 너무 안좋은 상황을 의미하고 자신의 분야에서 프로가 아닐뿐더러 최고위치에 도달할수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결정구를 만드는데 힘쓰고 자신이 만든 결정구를 잘 쓸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목화씨내놔
19/08/13 17:42
수정 아이콘
오예
차오루
19/08/13 18:20
수정 아이콘
결정구로 인생랜덤 너클볼러는 어떠신가요?
던지는 사람도
받는 사람도
치는 사람도
감독도

아무도 모르는~
소환술사
19/08/13 18:23
수정 아이콘
야구(Baseball)에 대하여
박찬호
19/08/13 19:01
수정 아이콘
아시아 최초 메이저리거는 일본의 무라카미 마사노리고
두번째가 박찬호
세번째가 노모 히데오 입니다
호랑이기운
19/08/13 19:27
수정 아이콘
성상우님 글쓰기보다 더 좋은곳에 귀하의 역량을 발휘해주세요.
글쓰길 하시려면 필살기를 만들어주시고요.
성상우
19/08/13 22: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 글에 대해서 여러 관심을 가져주시고 지적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하신대로 제목 옆에 영어를 넣어서 수정을 했습니다. 아시아 최초 메이저리거가 일본의 무라카미 마사노인지는 제가 미처 잘 몰랐습니다. 또 저는 노모히데오선수가 먼저 진출한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잘못 적은 것에 대해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지적하신대로 수정을 했습니다. 그리고 글을 쓸때에 필살기를 더욱 찾아내고 갈아닦아 글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그래서 앞으로 뭔가 더욱 참신하고 특징이 있는 글을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잘못 기록한 것에 대해 다시 한번 사과드리고 좋은 지적들에 대해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coconutpineapple
20/06/05 04:52
수정 아이콘
비정규직 사용기간 제한을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습니다 감사하겠습니다
짱게임즈
19/08/13 22:57
수정 아이콘
선동열의 일본시절 결정구는 당대 정상급의 구위를 가진 포심입니다.
성상우
19/08/15 00:10
수정 아이콘
짱게임즈님께서 지적하신대로 선동렬선수의 일본시절 결정구를 슬라이더에서 포심으로 수정했습니다. 관심과 좋은 지적의 말씀에 대해 감사합니다. 선동렬선수가 국내에서 프로선수로 활동할때는 분명히 슬라이더가 선동렬선수의 결정구인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선동렬선수의 일본시절에는 포심을 사용했다고 하시니 수정을 합니다. 다음부터 더욱 자료를 찾아보고 잘못이 없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앞으로도 좋은 지적의 말씀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coconutpineapple
20/05/23 02:15
수정 아이콘
야구는 아홉명이 팀을 나눕니다
coconutpineapple
20/06/11 19:28
수정 아이콘
둘레길을 걸으면 접사가 가능하다는 이야기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311 [정치] 또 한번 느끼는 답답함... [46] MyBubble6737 19/08/22 6737 8
82310 [일반] 맛집을 찾는 방법 [30] 치열하게14164 19/08/21 14164 11
82304 [정치] 조국 논란 관련 저의 심정을 백프로 표현한 글 [84] aurelius12056 19/08/21 12056 9
82301 [정치] 내로남불. 좋은 이야기입니다. 다만 진짜 내로남불이 뭔지 고민해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60] 쿠루쿠루8987 19/08/21 8987 6
82300 [정치] 폐기된줄 알았던 조국 딸의 자소서가 남아있었군요 [77] 파이어군16505 19/08/21 16505 27
82296 [정치] 조국의 저서와 트윗 내용 모음 [39] LunaseA9477 19/08/21 9477 23
82295 [정치] 하나 둘씩 커밍아웃하는 내로남불 정치인들 [99] Bulbasaur10680 19/08/21 10680 20
82293 [일반] 러브크래프트 소설 입문 가이드 [88] Farce16108 19/08/21 16108 28
82290 [일반] 조국이 정말 무섭긴 무섭네요. [59] 덴드로븀12418 19/08/21 12418 1
82289 [일반] 아베의 개헌이 사실상 무산되었습니다. [38] bifrost10285 19/08/21 10285 12
82288 [일반] 현재 아마존에서 큰 불이 나고 있다고 합니다. [46] 홍승식11962 19/08/21 11962 4
82287 [일반] [국제] 프랑스와 러시아, 전략적 제휴? [12] aurelius6257 19/08/21 6257 2
82284 [정치] 조국딸관련 법무부·高大거짓해명들통+서울대장학금+물리학회상 [410] 차오루19426 19/08/21 19426 27
82279 [일반] 다들 학계와 상관없이 논문 쓴 이야기나 풀어볼까요? [97] 미소속의슬픔11299 19/08/20 11299 20
82275 [정치] 조국 딸 관련, 단국대 공식사과 및 조사착수+내용추가 [116] 차오루14880 19/08/20 14880 12
82274 [정치] 불투명해진 사법개혁, 그 개혁의 지지자의 왼쪽 진영에 대한 당부의 말 [61] 종합백과7615 19/08/20 7615 28
82270 [일반] [자작] 달랑베르시안 3# ~만화와 소설 그 어딘가쯤 존재하는 이야기~ -최종화- [9] 태양연어3019 19/08/20 3019 4
82268 [일반] (번역) 인구 감소를 기뻐하며. [46] OrBef11914 19/08/20 11914 18
82265 [일반] (데이터 주의) 똑딱이로 은하수 찍어보려고 한 얘기.. [13] 포니5484 19/08/19 5484 13
82261 [일반] [단상] 근대유럽 계몽주의 발흥과 몰락 [8] aurelius6637 19/08/19 6637 28
82260 [일반] 공수도에 대하여 [28] 성상우7502 19/08/19 7502 4
82259 [일반] 홍콩의 재벌이 신문 광고를 냈습니다. [77] Leeka22508 19/08/18 22508 32
82257 [일반] 한국(KOREA)이 최강이 되는 법 [41] 성상우8238 19/08/18 8238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