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9/13 23:14:03
Name 루데온배틀마스터
Subject [일반] 나쁜 녀석들: 더 무비 감상 (스포 유의)
나쁜 녀석들의 원작이라고 할까요. 드라마에서는 크게 미친개 오구탁 반장이 중심을 잡고, 그 아래에서 혹은 동등하게 움직이는 나쁜녀석들의 힘의 균형이 잘 조화되어 있습니다. 이정문의 활약은 그렇게 두드러지지 않는 편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드라마를 이어가는데 있어서 중심축에서 멀어지진 않고, 정태수 역시 자신이 피로 걸어온 길과 마주하고 그 너머를 걸어가는 과정의 드라마가 잘 드러나죠.

하지만 나쁜 녀석들: 더 무비는 예고편을 보자마자 들었던 불안한 생각 그대로를 영화 상영 내내 드러냅니다.

원작에서 범죄라면 이를 갈며 더 독한 방식으로 물어 뜯기 위해 범죄 행위를 불사하던, 자신도 선과 악의 기준이 무엇인지 모른 상태에서 복수와 정의 집행이 위태로운 중앙선을 걸어가던 오구탁 반장의 김상중은 존재감이 없습니다. 드라마 속 명대사를 곱씹어 볼 수 있게 날려주시긴 하지만 '오마쥬'가 아니라 '갖다 썼다'의 느낌이 강합니다. 3년이라는 시간이 흐른 뒤라 독기가 빠진 모습을 연기했다고도 볼 수 있지만, 글쎄요 오구탁의 정의감은 그런 것이었나? 생각해보면 미스라는 생각이 듭니다. 뭐 이 부분은 원작 결말을 해석하기 나름이라고 볼 수 있긴 하겠죠.

김아중의 캐릭터 곽노순 자체는 매력있지만 과한 MSG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오락 영화라는 점을 감안하고 보더라도요. 심지어 그 매력적인 캐릭터를 살리는 씬 조차 거의 없습니다. 김아중이 액션에 뛰어들지만 역시 존재감이 없습니다. 후술할 인물 때문에요. 같이 여자의 몸으로 액션에 뛰어들면서도 나름의 존재감을 뽐냈던 극한직업의 이하늬 씨가 그리워지는 순간이었습니다. 결국 이 액션 씬의 부조화를 해결하기 위해 갑작스럽게 번개발이 등장하게 됐고, 개인적으로 몰입감이 크게 깨졌습니다. 원샷도 별로 없는데 매우 중요한 후반부 액션에서 마동석 대행을 도맡아 하는 이 존재는 약간 과장 보태 창세기전의 철가면 마이너 버전 급이라는 생각이 날 정도로요.

조동혁의 고유성. 이 영화에서 가장 설득력도 떨어지고 평면적으로 그려진 인물이라 생각합니다. 정태수와 이정문이 가진 입체적이고 합류과정에서의 드라마는 고사하고, 오구탁 반장의 섭외 한 마디에 OK 싸인 내고 끝. 액션은 박웅철에게 밀리고 뇌를 굴리는 장면조차 없는 단순 무식 열혈에 마지막 활약은 럭키 펀치라는 시시함까지. 뭐 원래 영화나 드라마의 주인공이 내내 맞다 마지막에 이기는게 정석이긴 합니다만. 그나마 고유성의 캐릭터를 살릴 수 있었던 동반 다이빙 씬의 연출은 0점짜리입니다. 어떻게 2019년 개봉 영화의 연출력이 어렸을 때 봤던 성룡 형님 영화만도 못한지 개탄을 금할 수 없던 장면이었습니다.

결국 캐릭터들이 다 밋밋하다보니 - 그나마 존재감이 있던 김아중 조차 - 남은건 박웅철 뿐이고, 박웅철에게도 드라마는 없고 액션만 남았습니다.

러닝 타임이라는 제한과 이런 저런 심의 불가 내용들을 감안하고, 가족 오락 영화로서 본다면 시원시원한 맛은 있을 겁니다. 하지만 그게 전부였습니다. 굳이 '나쁜 녀석들' 이라는 브랜딩 필요 없이도 충분히 가능했던 영화라는 얘기죠.

식극의 소마라는 만화에서 주인공 소마와 나키리 아리스가 맞붙는 대결에서 아리스는 분자 미식학의 정수를 담은 테마리 초밥을 만듭니다. 그리고 소마에게 패하죠. 심사위원이었던 나키리 아리스의 할아버지는 이런 말을 합니다.

'예를 들면 오늘 시합이 초밥 대결이었어도 넌 같은 것을 만들었을 것이다.'

나쁜 녀석들: 더 무비는 분명 드라마는 아니고 애초에 선을 그었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렇다면 원작의 후광은 빌리고 싶고, 연관성을 너무 짓자니 부담이 심했다는 느낌을 주면 안됐습니다. 이런저런 대사를 차용해 온 건 솔직히 유치하게까지 느껴졌습니다. 굳이 나쁜 녀석들이 아니었더라도, 충분히 오락 영화의 반열로 추석 극장가에 올릴 수 있는 길은 없었던 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9/13 23:44
수정 아이콘
늦은밤 보러 갔다가 잠이나 더 잘껄 후회가 심했습니다.
해달사랑
19/09/14 08:27
수정 아이콘
너무 아쉽더라고요. 글에 백퍼센트 공감.
김유라
19/09/14 12:59
수정 아이콘
'갖다 썼다'는 표현이 정말 정확하네요. 괜찮은 플랫폼 하나 적당히 주워다가 갖다붙이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847 [일반] 지금의 우리사회가 교육을 통한 계층이동이 가능할까? [67] 아유11869 19/09/24 11869 6
82844 [일반] 독서가 부담되면, 한 걸음씩만 [34] cluefake7682 19/09/24 7682 6
82843 [정치] 검찰 수사가 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394] ArcanumToss23140 19/09/24 23140 0
82839 [일반] [역사] 로마제국의 멸망과 유럽의 탄생 [20] aurelius8704 19/09/24 8704 16
82838 [일반] PGR식 소개팅 법 [29] 박진호8465 19/09/24 8465 17
82831 [일반] 의식의 흐름으로 쓰는 모태솔로의 짝사랑...? [18] 아타락시아16926 19/09/23 6926 7
82829 [일반] 오늘 일하시던 실장님께 그만 두시라고 이야기 드렸습니다. [213] 한사영우24614 19/09/23 24614 57
82825 [정치] 박사모와는 다르다 [120] 서양겨자16164 19/09/23 16164 0
82824 [일반] 모태쏠로 친구들 이야기 - 왜 탈출할 수 없는가? [198] RnR20483 19/09/23 20483 10
82822 [일반] (삼국지) 간옹, 제멋대로지만 밉지 않은 큰형님 [32] 글곰10142 19/09/22 10142 23
82819 [일반] 작은 농어촌 강사의 일일 [26] 10년째도피중9076 19/09/22 9076 8
82815 [일반] 현장에서 겪는 학종의 민낯 [137] 펠릭스30세(무직)21016 19/09/22 21016 49
82814 [일반] [10] 특히나 명절에 인터넷에선 보기 힘든 사람들 [10] 치열하게7915 19/09/22 7915 2
82813 [일반] 역대급 강아지 구충제 임상실험이 진행중입니다. [30] 윤정14578 19/09/22 14578 0
82811 [일반] [10] 실록에서 검색한 추석 관련 세 가지 이야기 [13] 이치죠 호타루6126 19/09/21 6126 11
82810 [정치] 검찰개혁 촛불집회가 대검찰청 앞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151] i_terran15691 19/09/21 15691 0
82808 [일반] 오산 에어 파워데이 2019를 다녀온 후기 [24] 한국화약주식회사8542 19/09/21 8542 5
82807 [일반] 현 교육제도와 관련 된 미국 교포 아주머니의 얘기와 이런 저런 잡생각 [23] 가라한7837 19/09/21 7837 6
82800 [일반] 뒷북이지만 추석때 본 추석 개봉 영화들 [23] 청순래퍼혜니8499 19/09/20 8499 0
82797 [일반] 이상한 예고편 떄문에 망한 최고의 히어로 영화 [30] 박진호14586 19/09/20 14586 16
82796 [일반] [스포주의] AD ASTRA 보고왔습니다. [18] 중년의 럴커7811 19/09/20 7811 1
82792 [일반] 통계로 본 일본 내 한국 관광객의 특성 [44] sakura14625 19/09/20 14625 5
82790 [일반] 영화 [예스터데이]를 봤습니다. (스포있습니다!) [13] chamchI9196 19/09/20 9196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