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8/02 18:34:52
Name SKY92
출처 유튜브
Subject [스타1] 최연성 vs 이윤열 스타리그 8강 in 펠레노르 (수정됨)


13분 30초부터 시작합니다

생방봤을 당시에는 이윤열이 최연성보다 먼저 멀티도 가져가고 영상 25분에 나온 4골리앗 드랍으로 어마어마하게 자원 타격 줬는데 최연성이 힘으로 쑥 밀어버려서 좀 멍했던;;; 기억이 가물하지만 최연성선수는 경기 끝나고 인터뷰에서 그렇게 불리하지 않았다고 얘기 했던거 같기도 하고..... 아 경기 끝나고 인터뷰 다시 보니 본인은 팽팽하다고 생각했었는데 주변 얘기 듣고 많이 불리했다는걸 알았다고 했었네요.

하여튼 고수들의 개념은 남다른건가 싶었던 경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제라그
20/08/02 18:39
수정 아이콘
이 경기는 지금 와서 봐도 신기하네요...;
Chasingthegoals
20/08/02 18:58
수정 아이콘
가스 활용의 작은 차이가 컸던 것 같네요.
이윤열은 초반 골리앗, 탱크 조합에 드랍쉽 활용으로 가스를 소비한 반면, 최연성은 레이스 몇기 뽑고, 벌쳐, 탱크 조합으로 갔죠.
그렇다고 이윤열이 드랍쉽으로 계속 재미를 봤냐고 하면, 초반 4골리앗 드랍이랑 7시 본진에 골리앗 탱크 드랍 말고 한게 없었습니다.
잘 보시면 7시는 사실상 피해가 거의 없었습니다. SCV 귀신 같이 빠지면서 자원 캔거 말고는 피해가 없어서 투자 대비 이득을 본게 없었네요.
그리고 전선이 무너지지 않고 계속 지켰죠. 이윤열 또한 부유한 체제는 아니었기 때문에 결코 유리하다고 볼 수가 없었습니다.

이윤열이 커맨드를 확장한건 맞지만, 활성화 된지 얼마 안 돼서 그간 모은 탱크들+역레이스로 피해주면서 멀티를 무력화 시킨게 가장 결정적이었네요.
스브드스브드
20/08/02 19:10
수정 아이콘
쵱이 이윤열보다 개념이 한단계 ~ 한단계 반은 앞섰다고 봐야죠 . if는 없지만 유일하게 18~20 피지컬 젤 조을때 프로씬에 없었던게 임과 최임데 그둘이 고등학교때 스타리그에 참가했다면 지금쯤 우승컵 몇개는 더 쌓았을지 궁금하네요. 물론 더 없었을수도 있지만
눈물고기
20/08/02 19:42
수정 아이콘
그 개념 한두단계 앞선 상태로 어린나이에 데뷔해서 피지컬까지 좋았던게 이영호죠...
20/08/02 20:07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가 지나치게 상황을 낙관했죠. 매우 지나치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05707 [스타1] 명승부의 대미를 장식하는 명승부 [28] SKY9211011 20/12/01 11011
405696 [스타1] 연습안한 신정민 [4] SKY9211038 20/12/01 11038
401449 [스타1] 밑의 글을 보고 생각난.gfy [16] SKY926937 20/10/22 6937
396615 [스타1] SO1 스타리그 결승전 4경기를 떠올린 임요환 [5] SKY929362 20/09/05 9362
394955 [스타1] 임요환이 뽑았던 공군시절 기억남는 경기들.avi [8] SKY9211511 20/08/17 11511
394306 [스타1] 전상욱 vs 임요환 2005년 숨막히는 조이기 공방 [1] SKY927843 20/08/09 7843
393675 [스타1] 최연성 vs 이윤열 스타리그 8강 in 펠레노르 [5] SKY927735 20/08/02 7735
393424 [스타1] 2005 SO1 스타리그 16강 5주차 수원투어 [18] SKY928584 20/07/30 8584
392426 [스타1] 임요환 vs 박지호 팀리그 대장전 in 루나 [5] SKY928550 20/07/20 8550
392357 [스타1] 임요환 vs 박정길 in 네오 기요틴 [8] SKY927708 20/07/19 7708
392215 [스타1] 전상욱 vs 임요환 2004년 프로리그 in 레퀴엠 [2] SKY927201 20/07/18 7201
387644 [스타1] 정종현 vs 도재욱 MSL 32강 최종전 in 투혼 [4] SKY927044 20/05/31 7044
387620 [스타1] 김정우의 공식 개인전 데뷔전 SKY927402 20/05/31 7402
387614 [스타1] MSL 진출을 위해 갈고닦은 저그전 빌드를 꺼내드는 구성훈 [3] SKY927712 20/05/31 7712
384824 [스타1] 09년 오영종의 저그전 본진 리버+드라군 플레이 [5] SKY928390 20/05/02 8390
384698 [스타1] 몰래배럭으로 당한거 몰래배럭으로 화풀이 [2] SKY928181 20/05/01 8181
384334 [스타1] 박정석 공군 입대 이후 개인전 첫승 [2] SKY928231 20/04/28 8231
384239 [스타1] 전상욱 vs 김택용 09-10 프로리그 준플레이오프 [6] SKY926919 20/04/27 6919
384153 [스타1] 이제동 vs 염보성 2007년 스타챌린지 3전 2선승제 [4] SKY926673 20/04/26 6673
384050 [스타1] 09 WCG 김택용 vs 샤쥔춘 [6] SKY927349 20/04/25 7349
383987 [스타1] 박태민이 이제동을 주목하게 된 경기 [9] SKY9210024 20/04/25 10024
383985 [스타1] 안기효의 스타리그 마지막 8강 진출 [8] SKY927407 20/04/25 7407
383927 [스타1] 전상욱 vs 홍진호 in 815 3 [8] SKY928368 20/04/24 836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