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3/06/09 19:09:18
Name sungsik
Subject [역사] 조선엔 세종이 있습니다.


인터넷 역덕들의 우상인 신불해님까지 오셨군요.
pgr은 정말 역사 사이트인가 봅니다 크크


아래 강희제에 관한 글이 올라왔는데 청나라 강희제는 정말 지금 관점으로봐도 참 멋진 황제죠.
자식에 관련된 부분만 빼면 개인적으로 중국사에서 가장 훌륭한 황제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 강희제에 뒤지지 않는 왕이 한국에도 있었으니 그게 조선의 세종입니다.

세종은 그 업적도 참 훌륭하지만, 개인적인면 역시 흥미로운 것이 많은데요.
정말 이 사람의 정체는 무엇인가...하는 생각이 들정도로 놀랄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세종은 온국민이 다 인정하는 '위인'이고 너무 확고한 위인이다보니 그 사람에 대한 이해는 때론 부족할 때가 많지요.
그래서 사람 세종, 사람 이도에 관해 몇 자 적어보고자 합니다.



1. 재판왕 세종

세종은 시대가 시대다보니 강상이라하여, 인간으로서 지켜야할 도리를 굉장히 중요시했습니다.
특히나 살인에 대해선 자비가 없었기에 살인을 한 자는 반드시 교수형에 처했죠.
하지만 그 형에는 언제나 조건 하나가 붙어야합니다.

고의로 살인한 자를 참형을 내리다.

이 고의로라는 게 굉장히 중요합니다.
단순히 전근대적인 법률로 살인 = 사형이 아닌,
살인을 했더라도 어떤 상태에서 어떻게 살인을 했느냐를 중요시 여겼다는 것이죠.


세종 12년엔 두 노비가 서로 싸웠는데, 그 중 하나가 임산부였습니다.
싸움 도중 임산부가 면상을 맞았는데, 7일만에 낙태를 하였고 3일 후 사망한 것입니다.
이렇게 구타/살인한 경우 사형이 확실한데, 문제는 임산부가 사망한 원인이 구타에 의한 것이 아닐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싸움으로 낙태를 유발할 수는 있지만, 임산부의 사망 원인은 싸움에 의한 상해가 아닌
낙태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음으로 구타살인에 의한 법률을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 세종은 판단했고
결국 처벌을 1등을 감해 사형만은 면하게 해줍니다.


비슷한 사건이 또 있는데요.

배를 만드는 목수와 노비가 싸움을 하다가 노비 하나가 죽는 사태가 발생합니다.
당연히 목수는 사형이 확실한데, 세종은 사건에 의문을 품습니다.

고의로 사람을 죽이려고 구타한 것이 아닌 싸움 도중 사람이 사망한 것이고,
특히 잠시 싸우다 얻어맞은 후 법정 기한내에 병을 얻어 죽은 것을 살인이라 단정하는 건 무리가 있다. 고 판단합니다.
그러면서 '싸우다가 사람을 죽인 자에 대해서는 살릴 만한 자는 살리는 것이 옳다.'
며, 1등을 감하는 형벌을 내립니다.

여기서 오해하지 말아야할 것이 사형에서 1등을 감하는 것은 목숨을 살릴 수 있는 정도일 뿐
사형을 제외한 법정 최고형을 말합니다.
하지만 세종은 살인은 비록 그 죄가 중하더라도 모든 살인을 다 똑같이 취급하지 않고,
그 내용을 들여다본 후 상황에 맞게 형량을 조절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현대에도 심적으로 용서할 수 없는 범죄엔 당장에 사형을 해야한다고 많이 말합니다.
실제 그걸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힘을 가진 왕이었음에도,
사람을 죽이는 것에 대해선 죄인에게조차 신중함을 보이는 모습은 현대의 우리들도 반드시 본받아야할 모습이겠죠.




2. 음악왕 세종

유학을 기본 이념으로 삼았던 조선에서 예악(禮樂)과 아악(雅樂)의 중요성은 강조하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하지만 궁중 음악의 기원이 되는 중국에서조차 음악의 정리가 확실히 되지 않았고,
그나마 그것을 조선이 따라하려고 해도 그 방식이나 악기의 제조 여건 등이 다르기에 쉽지 않았죠.

결정적으로 이 음악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신하가 제대로 없었다는 겁니다.
그래서 세종은 조선의 음악을 새로히 정의해야겠다고 마음을 먹고
자신이 직접 율려신서나 여러 악보 등을 보며 스스로 음악적 기법과 악기의 제작 방법을 익혔습니다.

대부분의 신료들이 중국의 아악을 그대로 사용할 것을 원했지만,
세종은 중국과의 풍토가 달라 악기를 만드는 재료가 다르고,
오히려 중국의 경(磬: 돌로 만든 악기)의 소리가 옳바르지 못하다 생각했기에 조선만의 새로운 경을 만들었죠.

거기에 세종은 절대음감이기까지 했는데요.
근정전 회례연에서 처음 박연이 정리하여 만든 아악을 연주했을 때 세종은,

“중국의 경(磬)은 과연 화하고 합하지 아니하며, 지금 만든 경(磬)이 옳게 된 것 같다.
경석(磬石:경을 만드는 재료)을 얻는 것이 이미 하나의 다행인데, 지금 소리를 들으니 또한 매우 맑고 아름다우며,
율(律)을 만들어 음(音)을 비교한 것은 뜻하지 아니한 데서 나왔으니, 내가 매우 기뻐하노라.
다만 이칙(夷則) 1매(枚)가 그 소리가 약간 높은 것은 무엇 때문인가.”

라며, 소리의 이상함을 깨닫고 그에 대해 물으니
박연이 살펴보곤, 먹을 다 갈지 않아 음색이 정확치 못해 오차가 발생한 것임을 깨닫고 수정하니,
그제서야 옳바른 소리가 나게 됩니다.



3. 과학왕 세종

조선 과학 발전의 꽃은 누가 뭐래도 세종 시대일 것입니다.
특히 세종 대에 다양한 시계가 발명 되고, 아마 그 중의 하이라이트는 일성정시의일텐데요..

일성정시의가 만들어지고 김돈에게 명하여 그를 기념하는 글을 짓게 하는데,
그러면서 직접 김돈에게 시계의 사용법과 작동 원리에 대한 글을 적어줍니다.
그리곤 김돈에게 하는 말이,

“내가 감히 글을 짓고자 함이 아니라,
다만 경들이 이를 가지고 깎고 보태어서 명과 서를 지어 오래 전하기를 도모하려고 한다.”

라고 하는데, 이미 너무 완벽히 그에 대해 써놨는데 신하들이 수정하고 말 게 뭐가 있겠습니까.
결국 김돈은 한글자도 수정하지 못하고 첫머리와 끝머리에 말을 추가할 뿐이엇죠.

즉, 세종은 이게 어떻게 작동되는 것인지, 어떤 원리로 가능한 것인지,
시간 측정 방법과, 역법의 계산, 별의 움직임으로 인한 시간의 계산 등을 전부 다 완벽히 이해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4. 농사왕 세종

먹는 것이 백성에게 으뜸이고 정치의 근본이라는 것이 세종의 철학이었고
그 때문에 농사에 대한 상당한 연구를 많이 합니다.

대부분의 농사법은 역시 중국 쪽에서 많아 들어왔는데,
중국과 조선의 풍토가 같지 않고 한반도라 하더라도 지역마다 달랐기에
최적화된 농사법과 노하우를 전수하기 위해 노력했고 그 완성품이 농사직설이었죠.

농사직설은 백성들이 이해하기 쉽게 어려운 단어나 잡다한 이야기를 뺀
정말 농사만을 위해 지어진 책이었고 이를 배포함으로써 농사의 부흥을 일으키려합니다.
그렇다고 이걸 강제하여 백성들이 괜히 고단하지 않게 하기 위해,
원하지 않는 자는 반드시 강제로 시킬 것이 아닌 적당하게 꾸준히 권과하여 점차적으로 이를 따르게 하라 명하지요.

또 세종은 농상즙요, 사시찬요, 오곡종차피자방법 등의 직접적인 농사 관련 책을 섭렵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인지 없는 방법인지를 구분하고 현실에 맞는 방법을
골라 적용할 수 있게 노력합니다.



5. 독서왕 세종.


세종하면 독서, 독서하면 세종이지요.
위에 보듯 세종이 음악, 농사, 과학 등을 이해할 수 있었던 이유도 엄청난 독서량 때문이었습니다.
그도 단순히 읽는 게 아닌 이해하면서 읽었다는 것이고요.

밥먹을 때에도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던 세종은 독서에 관한 일화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세종이 왕자였던 시절 몸이 안 좋을 때에도 하도 책만 읽어서 병이 쉽게 낫지 않자
태종이 환관을 시켜 세종의 서책을 모두 숨기게 합니다.
그러나 구소수간이란 책은 남아 있어 아픈 와중에도 그 책을 읽었다고 하지요.

한 번은 윤형이 경전과 사서에 적힌 말을 인용해 말을 잘하여 
세종이 "경은 책을 읽을 때 몇 번을 보는가." 하고 물으니
윤형이 "신은 30번 정도 읽습니다."

하니, 세종은 "나는 여러 책을 모두 1백 번 읽었고, 다만 초사와 구소수간만은 30번 정도 읽었을 뿐이다."
하는 귀여운 잘난척을 합니다.
다른 건 몰라도 독서에서만은 누구에게도 뒤지고 싶어하지 않는 그였습니다.



6. 인권왕 세종

세종이 노비나 고아들을 보살핀 부분에 대해선 과거 세종에 관한 글을 썼을 때 언급했었고,
이번엔 범죄자 인권에 관한 내용입니다.
범죄자 인권은 인권이 개념이 정립된 현대에도 거부감이 만만치 않습니다.

세종 26년 나라에 도둑이 많아지다보니 그 대책에 대해 논의할 때
세종이 생명의 존엄성에 대해 어떤 시각을 가질 수 있는지 대충이나마 알 수 있기에
간략히 요약히 적어봅니다. (..하려 했는데 느낌이 살지 않아 제대로 요약을 못하겠네요 ㅡㅜ 거의 전문을 다 싣겠습니다.)

세종이

'지금 나라에 도적이 많이 다니니, 이건 백성들 살림살이를 제대로 마련해주지 못한 내 탓이라 심히 부끄럽다.
죄인에 대해 법을 무겁게 써야하는 것은 맞으나, 대명률이나 당률소의를 살펴봐도,
3번 절도를 했다고 사람을 함부로 죽일 수 있다는 법조문이 없는데, 어찌 가볍게 법을 고쳐서 사람을 죽일 수 있겠는가.

형벌이란 건 없을 수도 없고, 형벌을 시행하는 것도 부득이한 일인지라 우리나라에선 법조문에 의거해 처벌하는데,
사람 하나를 죽이는 것은 마음으로도 차마 못하겠거늘, 어찌 법조문을 고쳐가면서 많은 사람을 죽일 수 있겠는가.

요사이 사형될 자가 많았는데, 허후가 형조 일을 맡아 보면서 항상 이 일에 마음을 깊이 쓰고,
나도 또한 유의하여 살아난 사람이 많았다.'


하니, 권제가 그에 대해 반발하면서

'도둑이 마을의 소를 도둑질 해 마을에 소가 거의 없다 시피하고,
시골에선 도둑에게 해코지를 당할까 후환이 두려워 고소도 하지 못하는 실정입니다.
고려 때는 도둑이 성행하니 군대를 동원하여 소탕한 적도 있고, 나라가 도둑들로 고통받고 있는데
성상의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은 이해하나 마땅히 미리 잘못되지 않게 엄하게 다룸으로써
이런 상황이 더 번지지 않게 하지 않으면 후회막급이 될 것입니다.'

하니 세종이 대답하기를,

'뒷날의 일을 미리 생각하여 무거운 벌칙을 경솔하게 쓸 수는 없다.'

하니 김종서가 다시 뭐라뭐라 반대하니, 세종은, 

'은사라는 것은 임금된 사람이 전날의 죄악을 탕감해 씻어주어서 새 사람이 되게 해 주자는 것인데,
사소한 물건을 훔쳐 간 자까지 모두 중죄로 다스리는 것은 옳지 못한 것 아니겠는가.'


하니 권죄와 박이창이 
"3번 도둑질 한 사람은 사형에 처한 것을 의논한 것을 알고는
범죄가 줄어들었다 은사로 죄를 면한다하니 다시 도둑질이 성행합니다" 라고 말하니,

'도둑이 비록 이런 말을 들었다 해도 그 효과가 이렇게 빠를 순 없다.'

하니 황치신이 또 반대하기를,

'도둑의 발꿈치를 베어버려도 후에 또 도적질을 계속하니 그들을 용서해 줄 수 없습니다.'

하니, '그러고도 계속하는 자가 있다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발꿈치를 어떻게 베는지 모르는 거 아닌가.
그렇다면 도둑질한 물건의 많고 적음을 정해서 장 1백대와 3천리 유배로 하자.'

하니, 권제가 '3천리 밖으로 귀양보낸다 해도 얼마 안 가서 또 도망쳐 전처럼 도둑질을 할테니 의미가 없습니다.'

하니 세종은 ' 비록 도망해 돌아온다 해도 그 왕래하는 동안 이미 고생과 고난을 겪은 게 된다. 처벌로써 충분하다.'

하며 홀로 무쌍난무를 시전하며 모든 신하들의 범죄자에 대한 강력 처벌에 대해 무한 방어를 시전합니다.


또 경면(黥面)이라 하여 도둑질을 한 범죄자의 얼굴에 먹물 문신으로 죄명을 새기는 형벌에 대해,

'내 이 법을 생각해보니, 가난한 백성이 어쩌다 한 번 절도질을 하였다가 경면을 당하면,
자기 자취를 어디에 용납할 수 없어 더욱 가난하고 궁하게 될 것이므로 내 심히 안타까워
이 법을 정지키시고자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는가.'

하니 권제와 정분은 도둑질은 반드시 가난한 자들이 하는 게 아니고,
오히려 그들은 모두 호화롭고 부유하다는 말도 안 되는 드립을 시전하니,
답답한 세종은 다시 방책을 생각해서 의정부와 육조에 충분히 의논하여 보고하라고 명합니다.

혹시 범죄자 인권이나 처벌 강도에 대해 한 번이라도 토론을 했다면,
세종의 포지션이 얼마나 힘든지 이해가 가실 겁니다.
하물며 500년전 조선시대에 이런 포지션을 취해 왕이 혼자 모든 신하의 반대에
논리로 응답하려는 눈물겨운 노력이 느껴지시나요?

하지만 조선사에서도 역대급으로 강력한 왕권을 가진 왕이었던 세종은,
그럼에도 왕으로서의 권력을 함부로 남용하지 않고 
신하들과 토의하고 의논하고 논리적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려 하는 모습을 끝까지 보여줍니다.


세종 이야기만 나오면 흥분해서 글이 너무 길어지네요-_-;;;
하..사실 더 많은데...이만 줄이겠습니다.
혹시 여기까지 다 읽으신 분들이 있으시다면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참고 : 조선왕조실록




* 信主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3-07-09 22:53)
* 관리사유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눈시BBbr
13/06/09 19:10
수정 아이콘
크크크 이거 말고도 많죠~ 꿀릴 게 뭐가 있겠어요
제한세!
13/06/09 19:14
수정 아이콘
7. 고기왕 세종 - 이건 잘 모르지만 식탐이 유명하셨던 것 같아요.
8. 악덕고용왕 세종 - 신숙주 어포 사건, 황희 정승 퇴직서 거부 등
13/06/09 19:16
수정 아이콘
의외로 안 고기왕 세종과 검소왕 세종 등등.. 더 있는데 생략 ㅡㅜ

악덕고용은 너무 유명해서 생략했습니다. 흐흐
순두부
13/06/09 19:13
수정 아이콘
언어왕 세종

이 빠졌네요
13/06/09 19:17
수정 아이콘
이것도 넣으려다가 이미 다 알고 있을 거라 생각해서..

대중이 잘 모르는 걸 적자니 또 글이 길어지고. ..딜레마네요.
나사못
13/06/09 19:16
수정 아이콘
정조도 문무겸전에 개인능력치가 쩌는 수준이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혹시 누가 그런 내용도 한 번 알려주세요~~ 피쟐에 국사능력자 분들이 많으시니
늘 감사하며 읽고 있습니다. ^^
레지엔
13/06/09 19:17
수정 아이콘
음악왕 세종에 대해서 누가 예전에 블랙 유머로 만든 만화를 올린 적이 있었죠. 감히 왕께서 음이 틀렸다고 하시니 먹을 발라라(..) 뭐 농담이긴 하지만.
13/06/09 19:18
수정 아이콘
의외로 설득력이 있는데요?-_-;;;
크크
13/06/09 19:18
수정 아이콘
역사글은 일단 추천.
Practice
13/06/09 19:21
수정 아이콘
다른 것 다 대단하지만 6번이 대단하네요. 조선 왕 가운데는 애민 정신이 뛰어난 왕이 많았던 것 같은데 세종대왕느님은 그 중에서도 단연 수위권인 듯...

우리도 우리 식의 천고일왕이 있는 거죠~ 다시 부심이 샘솟기 시작합니다 크크
13/06/09 19:33
수정 아이콘
솔직히 6번정도면 애민의 수준을 넘었다 생각합니다.
영락없는 범죄자 옹호로 보일 수 있는 부분인데요.

구체화하지 않았을 뿐이지 인권이란 개념을 추상적으로나마 이해하고 있다고 밖에는 생각할 도리가 없어요.
부기나이트
13/06/09 19:21
수정 아이콘
일단 1번 항목은 '정력왕 세종'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조선왕의 제1덕목이기도 하구요.
13/06/09 19:26
수정 아이콘
우리에겐 다행이지만 작은 나라의 왕으로는 아까운 사람
Je ne sais quoi
13/06/09 19:33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역시 재밋어요~
키스도사
13/06/09 19:51
수정 아이콘
엔하위키에 보니 역사왕도 있군요. 허조가 "우리는 신라의 전통을 물려 받았으니까 제사는 신라 시조에게만 지냅시다?"라고 묻자 세종이 "고구려 백제 신라가 모두가 우리나라인데 한쪽만 제사 지낼수는 없다"라고 한적이 있다네요.
---------------------------------------------------------------------------------
이조 판서 허조(許稠)가 계하기를, "제사 지내는 것은 공을 보답하는 것입니다. 우리 왕조(王朝)의 전장(典章)·문물(文物)은 신라의 제도를 증감(增減)하였으니, 다만 신라 시조에게 제사 지내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삼국이 정립(鼎立) 대치(對峙)하여 서로 막상막하(莫上莫下)였으니, 이것을 버리고 저것만 취할 수는 없다." 하였다. -《세종실록》 세종 9년(1427년) 3월 13일
---------------------------------------------------------------------------------
또 고려사 편찬에 개입해 고려에 대해 지나침 까내림등을 수정하라고 지시해서 세종이 승하할때까지 빠꾸를 먹고 결국 다음 왕인 문종 1년에 완성 되었다고 합니다. 역사를 잘 모르는 이과출신인 제가 봐도 정말 어마어마한 먼치킨이신듯. 아쉬운건 그분 얼굴을 아무도 모른다는거 ㅠㅜ

http://mirror.enha.kr/wiki/%EC%84%B8%EC%A2%85%EB%8C%80%EC%99%95
13/06/09 20:30
수정 아이콘
엔하위키가 정말 잘 되었있네요. 글쓰기 전에 참고할 걸 그랬어요.

그리고 얼굴은 모르지만 복원은 할 수 있습니다.

세종대왕릉을 열어 무덤 안의 세종대왕 유골을 토대로 컴퓨터로 복원하면 됩니다.
사실 조선 왕릉은 과거 왕릉과 다르게 도굴 된 것이 임진왜란 때 도굴된 성종릉과 중종릉 정도뿐이 없어서
그들을 제외한 모든 왕의 얼굴이 다 복원 가능합니다.

물론, 그런 일을 하기 위해선 이씨 종친과 멱살잡고 싸울 걸 각오해야겠지요? 크크
13/06/09 19:56
수정 아이콘
세종은 사실 시간여행자입니다..
13/06/09 20:17
수정 아이콘
세종은 알면알수록 먼치킨류 인물이군요.
하지만 뭐니뭐니해도 ~왕 시리즈는 이명박 아니겠습니까.
자원왕, 원전왕, 청계천왕, 기부왕...하나같이 다 망삘이긴 하지만.
13/06/09 20:38
수정 아이콘
역시 세종이 최고시다!
제목에 세종, 충무공 있으면 부심부터 챙기고 읽기 시작합니다.
아이군
13/06/09 21:30
수정 아이콘
전에도 썼는데, 한국에는 세종대왕이 있어서 다른 나라의 명군을 찾기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_-;; XX왕때 그 나라가 잘 살았다고 명군이라고? 과학은? 음악은? 물론 법률도 정비하고 영토도 좀 넓혀야겠지? 허허 세종은 유니크 하니깐 글자 창제는 안해도 되네 허허허
얼린피카츄
13/06/09 21:49
수정 아이콘
세종에 대하여 알면 알수록 세종대왕급의 사람이라면 절대군주정도 괜찮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물론 후계자 문제 때문에 안되겠지만요.
13/06/09 22:14
수정 아이콘
항상 절대군주정의 문제가 그 후계자이지요
비슷한 의미에서 대통령제도 항상 문제를 내포하고 있지요
마이쭈아유
13/06/09 22:22
수정 아이콘
온 국민의 명운이 걸린 일을 고작 달리기를 2번째로 잘하는 정자로 복불복하는건 너무 가혹합니다..;;

아, 그러고보니 홍모 선수 포함 우리 모두는 황신의 후예일지도 크크
13/06/09 22:33
수정 아이콘
달리기 2번째로 잘하는 정자로 복불복 크크
빵터졌네요 크크
Philologist
13/06/09 22:21
수정 아이콘
효도왕 세종 (삼강행실도 왕?)

먼젓번에 임금이 정창손에게 하교하기를,
“내가 만일 언문으로 삼강행실(三綱行實)을 번역하여 민간에 반포하면 어리석은 남녀가 모두 쉽게 깨달아서 충신·효자·열녀가 반드시 무리로 나올 것이다.”

란 말에 정창손이

또 정창손(鄭昌孫)은 말하기를, ‘삼강행실(三綱行實)을 반포한 후에 충신·효자·열녀의 무리가 나옴을 볼 수 없는 것은, 사람이 행하고 행하지 않는 것이 사람의 자질(資質) 여하(如何)에 있기 때문입니다. 어찌 꼭 언문으로 번역한 후에야 사람이 모두 본받을 것입니까.’

라고 했다가 파직크리.. 이건 한글왕이라고 이름 붙여야 할랑가요..실록에 삼강행실도 편찬하는 세종 모습 보면 정말 눈물이 ㅠㅠ
13/06/09 22:32
수정 아이콘
정창손의 말에 대해 세종이 그 뒤에 한 말이 압권이죠.

"이따위 말이 어찌 선비의 이치를 아는 말이겠느냐. 아무짝에도 쓸모 없는 변변찮은 선비일 뿐이다.”


요약하면 ,
사람이 행하고 행하지 않는 것은 배워서 되는 게 아닌, 자질 여하에 달린 거라는 말 따위나 하니까
너희가 책상발림 풋내기 밖에 안 되는 거야.

.........실용왕 세종 정도 되려나요.
Philologist
13/06/09 23:33
수정 아이콘
'여론조사왕 세종'도 있겠네요. 현재까지는 아마도(?) 세계 최초의 여론조사를 1430년에 실시..!!
애니가애니
13/06/10 00:18
수정 아이콘
역시 대왕이라는 칭호는 괜히 붙은게 아니군요!
13/06/10 02:09
수정 아이콘
조선국왕 혈통에 흐르는 키배왕 세종이 빠졌네요.. 태종-세종-세조-중종-선조-숙종-경종-영조-정조로 이어지는 키워의 계보...
음.. 뭐 빼놓은거 있는것 같은데 기분탓인가.. ;; 중간에 지질학 키워도 있으니 주의를.. ;
GreatObang
13/06/10 17:11
수정 아이콘
양파같은 분이십니다. 까면 깔수록 존경받을만한 일들이 나오니 말이죠.

항상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Tormento
13/07/11 10:13
수정 아이콘
세종 op 너프좀요....
13/07/12 17:46
수정 아이콘
세종 op 너프좀요.... 222222
빅토리고
13/07/12 19:41
수정 아이콘
조선 왕조 역사상 겨우 4번째 왕인 세종 시기가 가장 풍요로운 때라는게 안타깝죠. 수확량도 가장 높았고....
뒷짐진강아지
13/07/13 00:27
수정 아이콘
리얼 op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391 로마군의 아프가니스탄: 게르마니아 원정 [57] Farce4399 21/12/01 4399
3390 올해 국립공원 스탬프 마무리 [20] 영혼의공원4071 21/11/29 4071
3389 꽤 행복한 일요일 오후였다. [15] Red Key3797 21/11/23 3797
3388 [도시이야기] 경기도 수원시 - (3) [12] 라울리스타3310 21/11/16 3310
3387 신파영화로 보는 기성세대의 '한'과 젊은세대의 '자괴감' [23] 알콜프리4992 21/11/15 4992
3386 <1984 최동원> 감상 후기 [23] 일신5265 21/11/14 5265
3385 김밥 먹고 싶다는데 고구마 사온 남편 [69] 담담11322 21/11/11 11322
3384 [스포] "남부군" (1990), 당황스럽고 처절한 영화 [55] Farce4097 21/11/10 4097
3383 나의 면심(麵心) - 막국수 이야기 [24] singularian3356 21/11/05 3356
3382 신해철, '해'에게서 '소년'에게 (1) [26] 글곰3979 21/11/03 3979
3381 일본 중의원 선거에 관련된 몇 가지 이야기들 [78] 이그나티우스6785 21/11/03 6785
3380 [NBA] 영광의 시대는? 난 지금입니다 [28] 라울리스타6561 21/10/22 6561
3379 [도로 여행기]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이 올라가는 도로, 만항재와 두문동재 [19] giants4766 21/10/30 4766
3378 [역사] 이게 티셔츠의 역사야? 속옷의 역사야? / 티셔츠의 역사 [15] Fig.13761 21/10/27 3761
3377 우리가 이곳에 있는 이유는 우리가 이곳에 있는 이유는 우리가 [12] Farce3575 21/10/24 3575
3376 누리호 1차 발사에서 확인 된 기술적 성취 [29] 가라한7490 21/10/21 7490
3375 [도시이야기] 인천광역시 서구 [41] 라울리스타5899 21/10/19 5899
3374 [ADEX 기념] 혁신적인 변화의 시기를 맞고 있는 헬리콥터 이야기 [22] 가라한5536 21/10/18 5536
3373 [역사]청바지가 500년이나 됐다구?! [15] Fig.16292 21/10/18 6292
3372 가장 위대한 인터넷 신조어 - 국뽕 (feat. 맑스) [55] 아스라이9157 21/10/17 9157
3371 이공계 대학원생을 위한 논문 쓰는 팁 [68] 해바라기7309 21/10/14 7309
3370 엄마에게 사랑해요! 라고 처음 말했습니다. [47] 엄마 사랑해요6199 21/10/12 6199
3369 5대 종합상사를 통해 알아보는 건물주 국가 일본의 돈 버는 방법 [86] 이그나티우스15266 21/10/09 1526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