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1/15 22:18
글에 키움 얘기가 있어서 키움으로 설명드리면,
1. 은행 연계계좌에서 증권계좌로 이체하고 매매하시면 됩니다. 2. 키움이 수수료가 저렴하고 온라인 접근성이 좋아서 개미들이 많이 이용하는데 글쓴분 매매목적이면 무난합니다. 3. 주가는 시간 정도가 아니라 분초마다 변동이 있으며, 내가 매수주문을 낼 때 그 가격에 매도물량이 있으면 체결됩니다. 그리고 ETF 적립식 매수는 좋은데 글쓴 분이 제시한 방법으로는 연간수익률이 얼마나 나올지 의문이네요. 과거의 주가를 놓고 한 번 시뮬레이션이라도 해 보시기 바랍니다. 볼 수 있는 수익이 예금보다 크게 나을 것도 없는 방법일 수도 있는데 원금손실 위험을 감수할 필요는 없으니까요. 그리고 kodex200 배당금 지급현황 및 상품정보는 아래 링크 참조하시면 됩니다. http://www.kodex.com/product.do?fundId=2ETF01&pageCode=020101
12/01/15 22:26
답변 감사합니다.
답변에 대한 추가 질문이 있어서요... 제가 매수, 매도 주문을 낼 때 가격은 이미 결정되어있는건가요?.. 아니면 제가 가격을 정해서 사는건가요?... 너무 초보라 어이없는 질문을 계속하네요.. 그리고 수익률은 일부러 낮게 잡았는데 너무 낮나요.. 욕심안내고 4%만 되도.. 수익률 날때마다 빼면.. 은행 예금 이자보다는 훨씬 괜찮을 것 같아서요.. 단 수익이 나야겠죠.... 그리고 결정적으로 시뮬레이션을 할 줄 몰라서.. 수익률 정하는건 그냥 제 감으로 해야될 것 같아요... p.s. 배당금 관련 링크 감사합니다.... 헐 세금을 저리 많이때나요,,, 2011년 배당금이 세금뻬면..136원인데..현재 kodex200 이 25000원 정도인데.. 그러면 배당금이 0.5 도 안되는건가요?
12/01/15 23:40
질문자께서 말씀하신 다음의 상황은 현시점에서 전혀 선호되지 않는 투자방법입니다.
- 매월 정해진 날짜에 기계적으로 매수할려고 합니다. 우선 1년간은 어떤 일이 생겨도 할려고 합니다. - 금액은 4800만원을 12분할에서 한달에 400만원씩 할려고 합니다. - 수익이 4%가 넘어가면 그때 그때 바로 이익금은 매도할려고 합니다. - 1년해보고 괜찮다면 원금은 나둔채 이어서 계속 할려고 합니다. 먼저 첫번째와 두번째로 말씀하신 적립식형태. 이건 주가가 계속 오른다는 가정하에 평균매입단가를 낮출때 쓰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현재 시장의 수급상황은 그런 가정을 하기에 너무 불안정합니다. 주식과 채권을 비롯해 우리나라의 자본시장의 수급은 외국인이 쥐고 있습니다. 결국 장이 커지려면 외국인들이 주식을 사줘야는데 지금 시장상황이 그리 좋지 않습니다. 다음 세번째와 네번째. 수익이 4% 이상나면 매도하신다 하시는데 수익은 커녕 손실이 나면 어찌하실겁니까? 4% 수익이 나려면 코스피200 지수가 255이상 나와야는데(코스피 지수로는 대략 1950이상 나와야 됩니다.) 지난 8월이후 1950을 찍어본적이...... 없습니다. 확률적으로 0이란 얘기죠. 반면 4% 이상 손실이 나는 구간은 지수가 1800이하로 떨어질때인데 오히려 이 시기는 존재합니다. 즉, 단순 기대값에 의한 투자를 한다해도 질문자께서는 손해보는 베팅을 하고 계시는 겁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문제입니다. 기분 나쁘게 들리실 수도 있겠지만 질문자의 질문수준으로 짐작컨대 질문자께서는 주식관련 상품에 투자하시기에는 적합하지 않아 보입니다. 원금손실이 일어날 우려가 매우 커보입니다. 지금 왠만한 저축은행에 1년 정기예금을 맡겨도 연 4% 이상의 수익은 얻으실수 있습니다. 기대수익률이 4%라 하시면 저축은행으로도 충분히 기대수익률 이상의 수익을 거두실 수 있는데 왜 굳이 원금손실 가능성이 높은 주식을 하시려는지.. 공부차원으로 손해를 보면서 투자를 하시기에는 상당히 금액이 커보입니다. 손해를 감수하고 주식형 상품에 투자하시려면 초기에는 적은 금액으로 하시길 권해드립니다. 금액을 늘리는건 조금씩 알아가고 난 뒤에 해도 늦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