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1/18 16:04
1번만..
효소는 반응계의 활성화E를 낮추고 반응속도를 높인다. 평형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라고 되어있네요. (그럼에도... 구조 자체로 반응을 매개하는 효소들의 경우에는 평형에도 영향을 줄 것 같습니다만;;)
12/01/18 16:25
1. 효소는 반응의 속도를 빠르게 하는 촉매입니다. 즉, 평형에 이르는 속도를 빠르게 만들어주는 것이지 반응의 방향을 바꾸거나 절대량을 바꾸는게 아닙니다.그래서 효소는 활성화에너지는 감소시키지만 반응열은 변화시키지 못하죠.
2. 책을 다시 한번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기질 농도가 일정하고 효소 농도가 변하는 경우 초기 반응 속도는 효소 농도에 따라 증가합니다. 3. 생각해 본 적은 없고 책을 찾아보지는 않았습니다만 얼핏 생각하기에는 각각의 수용체와 연결된 대뇌 부위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는 것으로 생각은 됩니다. 뇌의 어떤 부위에 자극이 주어지느냐에 따라 달라지는게 아닌가 싶습니다만 이건 확실하지 않군요. 4. 식물세포 간 물질 이동에는 원형질연락사가 이용이 되고 동물세포의 간극연접과 비슷한 원리 맞습니다. 그렇지만 분자량이 작은 물질들은 세포벽을 직접 투과하기도 합니다. 세포벽은 전투과성을 가진 굵은 체와 같은 형태로 섬유가 얽혀있습니다.
12/01/18 17:17
4번만 답을 하자면 원형질연락사 맞습니다. 갭연접과는 조금 달라요. 갭연접은 세포사이에 구멍이 뚫려서 연걸되어 있다고 보시면 되구요. 원형질연락사도 세포사이에 뚫려있는것은 맞는데 세포간의 소포체가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3번은...심오한 문제이네요. 단맛이 나는 포도당을 에너지로 이용하기 시작하면서 단맛을 더 좋아하도록 진화된 것이 아닐까요? 반대로 독성물질중에 쓴맛이 나는게 있으니 꺼리도록 되어있구요. 진화의 원리를 적용할 수 있지 않을까...생각해봅니다.
12/01/18 19:18
켈로그김 님// crema 님// survivor 님//
정성스러운 답변 감사합니다~ 많은 참고가 되었어요 ^^ ps)혹시 3번의 경우 연구해볼만한 가치가 있을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