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2/30 14:49:20
Name Leeka
File #1 0003065703_002_20201230121151075.jpg (60.5 KB), Download : 88
Subject [일반] 미분양 주택, 11월 기준. 17년만에 최저치 기록



역대 최저
2002년 4월 - 17,324 가구
2003년 5월 - 22,579 가구


역대 최고점
2009년 3월 - 165,641가구

가 매달 미분양 주택 수치인데요
(통계는 2000년부터 작성이 시작되었습니다.)



2020년 11월에 23,620 가구를 기록하면서 '17년 만에 최저치' 를 기록했습니다.

역사적으로는 위에 적은 기록처럼 2002년 4월,  2003년 5월에 이어서 '3번째로 낮은' 수치입니다.


참고 지표를 보면 알겠지만. 2010년대 들어서는 '아무리 낮아도 4만 가구 이상' 은 미분양이 항상 있었고
2019년 12월 기준으로도 48,000여 가구가 미분양이였습니다만

20년에 집값이 폭등하면서.  미분양된 아파트가 엄청나게 줄었습니다.


사실 유머로 소비되던.. 두산건설을 몰락시킨 일산의 그 아파트마저 10년만에 미분양을 끝냈다는 점에서..
덤으로 과거와 다른 점이라면..  향후 몇년간은 '공급이 계속 우하향' 하고 있기 때문에..   미분양 기록이 갱신될 확률이 높아질 것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삼성전자
20/12/30 14:54
수정 아이콘
불과 2~3년전만 해도 서울 동작구 신축 아파트가 미분양으로 남아있던걸 목격했었죠. 고분양가 논란으로...
Grateful Days~
20/12/30 15:15
수정 아이콘
트레지움 말씀이신가용..
미뉴잇
20/12/30 15:17
수정 아이콘
아마 이수역 리가 같은데요. 당시 7억 언저리였을거에여
Grateful Days~
20/12/30 15:20
수정 아이콘
아.. 그거일수도..
삼성전자
20/12/30 15:30
수정 아이콘
둘다 아닙니다.
옥동이
20/12/30 14:54
수정 아이콘
경기가 좋다고 해야할지 .....
덴드로븀
20/12/30 15:12
수정 아이콘
코로나19는 2020년초부터 시작이었고, 저 통계도 올해 기준이죠.
실물경기나 체감경기가 좋아졌을리는 없고,
그저 우리같은 사람들의 기준보다 돈많은 사람들이 아주 많고, 그사람들이 자신의 재산을 열심히 부동산에 넣고 있다고 보는게 맞겠죠.
20/12/30 16:30
수정 아이콘
가계대출이 매년 최대치를 갱신하고 있죠. 그돈이 다 어디로 가겠습니까? 그리고 가계가 은행에서 대출 받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담보는 부동산이죠
티모대위
20/12/30 15:45
수정 아이콘
우리가 함부로 껴들기 힘들어진 시장이 흥하고 있다...
그안에 있는 사람들은 돈을 벌고 있다...
이렇게 요약을..ㅠ
20/12/30 14:56
수정 아이콘
이 지역은 아파트 공급이 확 줄어서 한때 미분양관리지역이었는데, 미분양이 급격히 해소되어 한자리수가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집값도 신축을 중심으로 급격하게 상승하기 시작했죠.
물론 수도권 분들의 관심이 이 지역으로 쏠린 것도 집값 상승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기기괴계
20/12/30 14:58
수정 아이콘
세종 0호!
미뉴잇
20/12/30 14:58
수정 아이콘
지금 추세면 내년에는 미분양 아파트가 더욱 더 줄어들겠어요
20/12/30 15:09
수정 아이콘
거의 3~4년 동안 쉬지않고 계속 오르고 있는데
그것도 상승률 기록을 매번 경신하면서...

이렇게 계속 오르는 자산이 있을 순 없으니
빠지긴 빠질텐데
이리보고 저리봐도 빠질 이유가 없어보이긴 하네요.

흠...
비바램
20/12/30 15:13
수정 아이콘
시장 경제에서는 갈만큼 가면 내려오겠지만..
어금니와사랑니
20/12/30 15:23
수정 아이콘
KB기준으로 보면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이 M2 증가량과 큰 차이가 안납니다. 그냥 화폐 팽창으로 화폐 가치가 X가 되었다는 해석이 더 맞을거 같습니다.
브리니
20/12/30 15:17
수정 아이콘
공급 수도 있어야 하지 않나싶은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9801 [정치] 그것이 알고싶다가 방송된 다음 날 발표한 경찰 [88] 공항아저씨15679 21/01/03 15679 0
89800 [정치] 공부 열심히 하고 자격증 잘 따는 사람 특징.jpg [29] 청자켓14560 21/01/03 14560 0
89799 [일반] 잠자는 돈을 찾아주는 휴면계좌서비스란게 있습니다 [19] style8981 21/01/03 8981 1
89798 [일반] 사쿠란보 밈에 대해 알아보자. [41] 도뿔이13092 21/01/03 13092 0
89797 [일반] 이번주 그알은 제가 화면을 못본 시간이 더 길었던 편이네요. [70] 랜슬롯15062 21/01/03 15062 19
89795 [일반] 일본인 15만명이 뽑은 진심으로 좋아하는 만화 베스트 100 [49] 라쇼14823 21/01/03 14823 3
89793 [일반] 나의 투자 노하우 : 손익 인식 분리 [12] KBNF8401 21/01/02 8401 1
89792 [일반] [성경이야기]어긋나기 시작한 바로왕과 이스라엘 민족의 관계 [2] BK_Zju11289 21/01/02 11289 12
89790 [일반] 그대여 굳이 나를 사랑하지 않아도 좋다 [14] lightstone8723 21/01/02 8723 20
89789 [일반] 여러분은 얼마나 오래 살고 싶으신가요? [52] 나주꿀9034 21/01/02 9034 0
89788 [일반] <트라이얼 오브 더 시카고 7> 후기 [5] aDayInTheLife6168 21/01/02 6168 0
89787 [일반] 스위스 공군 이야기 [29] 피알엘8272 21/01/02 8272 7
89786 [일반] 아도르노 - 해방된 사회 [5] 아난7256 21/01/02 7256 0
89785 [일반] (고민상담) 가족이야기인데 좀 챙피한겁니다 [106] 허스키19448 21/01/02 19448 1
89784 [일반] '문화콘텐츠 제작방법'의 한가지 유형에 대하여 [9] 성상우7972 21/01/02 7972 9
89783 [일반] 학원강사로서 겪는 거리두기 3단계의 일상 [24] 플래쉬12312 21/01/02 12312 17
89782 [정치] 보건복지부의 연말 집콕댄스 영상, 정부 사과의 이유는? [88] 최강한화13833 21/01/02 13833 0
89781 [정치] 5인이상 금지인데, 황운하 국회의원. 6명이서 회식 [144] Leeka18102 21/01/02 18102 0
89780 [일반] 어트레유 러닝화 이야기 [25] 쿨럭10586 21/01/02 10586 3
89779 [일반] 2020년 한 해, 투자 손실을 본 분에게 [50] 월가아재47701 21/01/02 47701 83
89778 [일반] [데이터주의] 2020 지름결산 #직구 #국내 #후기 #주관적 [29] Tigris16769 21/01/02 16769 16
89777 [일반] 여러분은 어떤 팀을, 어떤 이유로 좋아하시게 되었나요? [72] Broccoli9214 21/01/02 9214 1
89776 [일반] 2020 쐬질 결산 [25] chilling9883 21/01/02 9883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