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10/06 15:42:20
Name 굿럭감사
File #1 image_3095431811522411700066.jpg (99.3 KB), Download : 132
출처 인터넷
Subject [기타] 전세계 혼외자 비율 순위.jpg



OECD 평균은 41프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된장까스
24/10/06 15:50
수정 아이콘
밑에 제가 올린 첫경험 지수도 그렇고 동양이 많이 보수적이긴 하네요. 이것도 통계상으로 숨겨진 것일지도 모릅니다만
건강하세요
24/10/06 15:51
수정 아이콘
중국은 아예 순위 밖인건가요?
동양권이 혼외자 비율 낮은건 아무래도 가치관의 문제겠죠 저부터도 제 아이를 혼외자로 낳아 키우고싶진 않거든요
된장까스
24/10/06 15:51
수정 아이콘
OECD 평균이라서가 아닐까요?
건강하세요
24/10/06 15:53
수정 아이콘
중국이 가입하기 전 자료인가보군요
된장까스
24/10/06 15:56
수정 아이콘
2014년까지 평균이라 적혀있네요 그러고보니...어 근데 지금 중국이 OECD 가입국 아니지 않나요?
건강하세요
24/10/06 16:07
수정 아이콘
아 그러네요 제가 잠시 착각했습니다 중국은 가입한 적 없네요 크크크
한글자
24/10/06 16:01
수정 아이콘
???: 저..저..저 어딜 결혼도 안하고 애부터 낳아?! 엣햄.
사람되고싶다
24/10/06 16:02
수정 아이콘
한국 출산율 낮은 이유에서 서구권의 시각이 재밌더라고요. 혼외자가 금기시돼서 없으니까 출산율이 낮은 거 아니냐고.
그 닉네임
24/10/06 16:33
수정 아이콘
보통 한국에서 저출산 이유에 대해서 물으면
돈, 부동산 이런거 얘기하는데
서양애들한테 동양의 저출산 이유 물어보면
저건 아주 후순위에 나오더라구요.
신기했습니다.
재활용
24/10/06 16:47
수정 아이콘
교육과정에서 형성되는 마인드맵을 아예 모르는군요 크크.
24/10/06 16:03
수정 아이콘
Zakk WyldE
24/10/06 16:05
수정 아이콘
2프로라니 체감상 보다 훨씬 높아 보이네…
24/10/06 16:05
수정 아이콘
근데 혼외자식이 생겼는데 결혼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어떻게 키우나요?
한 쪽이 숙식 제공 하고 키우면서, 다른 쪽이 양육비를 보내주는 식으로 크는건지
건강하세요
24/10/06 16:07
수정 아이콘
서부권에서는 동거하면서 키우는 개념이에요
혼인만 안했을 뿐이지 사실상 그런 관계죠
척척석사
24/10/06 16:18
수정 아이콘
혼외자랑 결혼이 뭔 관계인데 그런 질문을? 이라고 할 것 같아요
알아서들 하면 되지 않을까 싶어요 애 키우는데 결혼이 꼭 필요한 건 아니니까..

거주와 비용이 문제겠지만 아마 말씀하신 자녀부양비용 같은건 주게 돼있을거같네요
굿럭감사
24/10/06 16: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유럽 같은 경우는 지원금이 꽤 있고 나머지는 그냥 알아서들 키우는거죠. 실제로 해외 셀럽도 보면 혼외자가 꽤 많습니다. 당장 요즘 구설수에 오르는 슈퍼스타 르브론만 해도 어머니가 16살때 낳아서 혼자 미용실 하면서 키웠죠.

르브론은 생부에 대한 질문이 올때마다 노코멘트로 일관하고 그런사람은 알고싶지도 않다고 했고..
메가트롤
24/10/06 16:20
수정 아이콘
월드 : 2%밖에 안돼???
한국 : 2%나 돼???
이거 완전 긍정적 사고
미카엘
24/10/06 16:21
수정 아이콘
완전 럭키비키잖앙
미카엘
24/10/06 16:22
수정 아이콘
훨씬 더 많을 것 같은데 축소 은폐해서 그런 게 아닐까요?
굿럭감사
24/10/06 16: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혼외자 비율은 통계청이 출생신고된 출생아를 바탕으로 내는거기때문에 축소 은폐될 건덕지가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이미 전세계적으로 혼외자는 거의 보편화됐는데 이걸 축소 보고한다고 국가 이미지가 달라지는것도 없고.. 당장 실제 주변을 봐도 우리나라는 혼외자가 잘 안보이구요.
손금불산입
24/10/06 19:34
수정 아이콘
주민등록절차가 있기 때문에 오히려 우리나라가 훨씬 정확할겁니다 호적이 어디든 올라가야하는거니...
Energy Poor
24/10/06 16:27
수정 아이콘
칠레는 어떤 곳인가
돔페리뇽
24/10/06 16:29
수정 아이콘
칠레는......... 뭔가요
등지고딱딱
24/10/06 17:34
수정 아이콘
그런데 까놓고 말해서 혼외자/동거사실혼의 보편화는 인싸에 유리하고 아싸에 불리한데, 저게 우리나라 같은 경쟁적인 사회에 받아들여지면 사회 분위기가 미국보다 더하게 너 인싸라는 거 증명해, 너 상남자인거 증명해 분위기 될 것 같아서 무섭네요
손꾸랔
24/10/06 18:11
수정 아이콘
상위권 하위권 나라들이 왜 그런지 쉽사리 감이 안잡히는데, 꼴찌 두 나라는 확실히 출산율 순위랑 비슷하네요
일면식
24/10/06 18:18
수정 아이콘
확실히 터키, 이스라엘보다도 선비의 나라였군..
24/10/06 18:21
수정 아이콘
https://news.kbs.co.kr/news/mobile/view/view.do?ncd=8065609
칠레, 미 대륙서 가장 낮은 출산율
이건 또 의외네요
보리야밥먹자
24/10/06 18:35
수정 아이콘
돔페리뇽
24/10/06 18:45
수정 아이콘
여전히 3대장은 똑같군요, 순위는 다르지만
아우구스티너헬
24/10/06 21:38
수정 아이콘
이건 결혼 문화가 다른거지 다른 나라들이 성적으로 문란한 그런게 아닙니다.
한국은 동거를 하더라도 아이가 생기면 결혼을 하지만(출생에 선결조건) 서구에선 출생에 선결조건에 결혼이 필수적이지 않아요
그냥 파트너(연인)이랑 출생신고도 하고 같이 몇십년 살다가 어느날 헤어지기로 하면 깔끔하게 찢어지는게 이들 문화중 하나죠
물론 생부 혹은 생모는 생자에 대한 양육비를 지불해야 합니다.
앙겔루스 노부스
24/10/07 20:05
수정 아이콘
저런 칠레도 출산율이 1.5대네요... 한국이 좀 먼저 가는거뿐 전 인류가 다 같이 가고 있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6765 [유머] AI업계 전설 일리야 수츠케버가 창업한 기업가치 6조7천억원짜리 회사 [4] 깃털달린뱀10435 24/10/12 10435
506764 [기타] 흑백요리사 최대 맥거핀 [12] 퍼블레인11536 24/10/12 11536
506763 [게임] 철권 [11] STEAM7096 24/10/12 7096
506762 [유머] 현대전의 주력으로 떠오른 병종 [31] 인간흑인대머리남캐12060 24/10/12 12060
506761 [게임] 와우 리테일 갤러리에서 화제인 사건.jpg [70] Thirsha12376 24/10/12 12376
506760 [스타1] 내일 결혼하는 프로게이머.mp4 [12] insane10454 24/10/12 10454
506759 [유머] 14년 만에 채택된 지식인 [13] 밥과글10590 24/10/12 10590
506758 [유머] 좌뇌파와 우뇌파가 다르게 보인다는 사진 [36] flowater10755 24/10/12 10755
506756 [연예인] 3번 이혼, 4번 결혼한 연예인. [12] 캬라13354 24/10/12 13354
506755 [기타] 2008년 리먼브라더스 붕괴 사태가 얼마나 컸는지를 잘 보여주는 장면 [13] 독서상품권11038 24/10/12 11038
506754 [유머] 흑백요리사 쿠킹 클래스 영상이 공개됐네요 [14] Davi4ever9518 24/10/12 9518
506753 [게임] 근면성실 [13] 라라 안티포바10218 24/10/12 10218
506752 [스타1] 최근 아프리카 복귀한 나도현 LOL 티어.JPG [14] insane10777 24/10/12 10777
506751 [연예인] 아이돌에게 또 버림 받은 갤럭시? [78] 묻고 더블로 가!13673 24/10/12 13673
506750 [유머] 맥도날드 화장실에 갇혔는데 마오리족이 도와줌 [16] Myoi Mina 11337 24/10/12 11337
506749 [유머] 한강 작가에게 열폭한 작가 근황 [61] Myoi Mina 13632 24/10/12 13632
506748 [기타] 딸 때문에 강제소환(?)된 아버지... [24] a-ha11735 24/10/12 11735
506747 [유머] 소니의 역대급 대작 게임 콩코드 근황. [26] 캬라11215 24/10/12 11215
506746 [기타] 웃통까려고 여성 안받는 러닝크루 [18] Lord Be Goja12873 24/10/12 12873
506745 [게임] 오락실 세대가 매너가 좋았던 이유 [53] VictoryFood11542 24/10/12 11542
506744 [유머]  한강 노벨문학상 소식에 산 채로 졸도한 민음사 [13] Myoi Mina 13123 24/10/12 13123
506743 [기타] 호불호 갈리는 할로윈 코스프레 [15] 묻고 더블로 가!12725 24/10/12 12725
506740 [유머] 좌회전? 우회전? 여러분의 선택은? [32] a-ha11750 24/10/12 1175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