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9/21 10:39:37
Name Myoi Mina
출처 2차 출처 펨코
Subject [유머] 1992년 압구정 현대아파트 중산층 가정집 모습



sound


주웅산츠응???????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넴길이제한8자
25/09/21 10:42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빈민... 을 넘어선 상그지입니다...흑흑
25/09/21 10:49
수정 아이콘
누가 봐도 부르주아지...
회색사과
25/09/21 10:50
수정 아이콘
압구정 안에서 미들레인지..
엑세리온
25/09/21 11:01
수정 아이콘
매킨토시 오디오??
마동왕
25/09/21 11:0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중산층의 기준은 나보다 잘사는 사람 아닐까요?
호머심슨
25/09/21 11:05
수정 아이콘
재테크잘한 대기업부장이나 과장이 갈수있던 시기니
중산층중에서 윗쪽 모서리가 갈수있던 시기기는 하죠
정 주지 마!
25/09/21 11:07
수정 아이콘
저당시 뭔가 프레임이 있었던것 같아요. 지금은 이야기도 잘 안나오는 중산층이라는 말을 엄청 써대던 기억입니다.  
누가봐도 상류층이 중산층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았던..
손금불산입
25/09/21 11:41
수정 아이콘
따지고보면 저 당시뿐만 아니라 지금도 마찬가지긴 합니다 크크
쵸젠뇽밍
25/09/21 11:20
수정 아이콘
저 당시 기준 중산층 중에서 좀 잘 사는 집이 TV 나온다고 무리하면 나올만한 그림 정도가 아닌가 싶긴 합니다.
25/09/21 11:20
수정 아이콘
중산층은 상위 30프로 이상한테 부르는거 아니었나요
25/09/21 16:44
수정 아이콘
중위소득의 75%~200%가 정의라서.. 이것도 몇가지 정의방법이 있었던걸로 기억하는데
지금 검색하니 이게 대세인가 보네요. 사실 커뮤니티하면 중산층.. 크크
그 아래는 할시간이 없고(먹고살기바빠서)
그 위도 할시간이 없죠(그 시간에 다른거해야해서)
지탄다 에루
25/09/21 11:24
수정 아이콘
中산층이 아니라 重산층 인듯
사부작
25/09/21 11:35
수정 아이콘
저게 부유층이 아니라 중산층이면
이건희 빼고 다 중산층이죠
25/09/21 11:38
수정 아이콘
92년에 저렇게 사는데 중산층이에요..?
모링가
25/09/21 11:43
수정 아이콘
지금도 중산층의 기준은 높지 않습니까. 다들 자기는 서민이라고 하는데 크크
25/09/21 11:52
수정 아이콘
압구정동 중산층 기준이 대한민국의 중산층보다 기준이 높은거 아니에요?
그림자명사수
25/09/21 11:53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가난해서 굶어죽은 사람입니다
귀신이 되어서 피지알 하고 있습니다
소독용 에탄올
25/09/21 11:57
수정 아이콘
가계동향조사상 1992년 2인이상 도시가구 기준 가계소득평균값이 128만원, 150%면 192만원이군요.
소득 과소보고가 있어도 중위값이 아닌 평균치, 도시 2인이상기준이란 점에서 실제 중산층 기준 상한은 이보다 낮을 우 있습니다.
Far Niente
25/09/21 11:57
수정 아이콘
지금도 부부합산 월 2천 벌어도 서민이라 하는데요 뭐
TWICE NC
25/09/21 19:39
수정 아이콘
2차 민생 지원금은 못 받아도 서민
펠릭스
25/09/21 12:31
수정 아이콘
중산층이라는말을 middle class로 바꾸면 저정도는 되어야 합니다.

오히려 한국 사람드이 과거에 오해를 한거죠.

중산층은 중간층이 아닌데.
소독용 에탄올
25/09/21 12:57
수정 아이콘
현대사회에선 중간층을 중산층이라고 합니다.....

한국 사람들이 과거에 오해한게 아니라 지금까지도 오해하고 있는거죠.
메르데카일일팔
25/09/21 13: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미국, 영국이나 싱가폴에서도 자산 수십 밀리언(달러) 단위로 가진 양반들이 자기들은 "탑 미들 클래스"지 절대 어퍼클래스 아니라는걸 보면, 사회적 책임을 크게 질 필요는 없으면서 누릴건 누릴수있다는 속편한 계층이란 인식이라 봐야죠 크크. 그게 한국의 평균 올려치기 문화를 만나서 더 심해진거고.
랜능크
25/09/21 12:38
수정 아이콘
90년대에 수세식 화장실 있는 집에서 살아본적없음
25/09/22 08:58
수정 아이콘
지방 소도시 80년대 17평 아파트에도 수세식 화장실이 있었는데..ㅠ
산다는건
25/09/21 12:46
수정 아이콘
저땐 중산층 아닐까요? 상류층들은 평창동 성북동 저택살던 시절이니
삼성전자
25/09/21 13:05
수정 아이콘
저 숏츠영상 전편이 있는데 그걸 봐야 저 맥락을 이해할수 있습니다.

입주자대표가 인터뷰하며 우리아파트에는 30평대가 비중이 적고 거기살면 우리끼린 서민이라로하죠. 하면서 50평대는 살아야 중간이다 이런 늬앙스로 나옵니다. (완벽히 맞는건 아니지만 당시엔 동네별 급지차이가 엄청크진 않았고 강서구 살아도 대형평수살면 부자고 그랬었죠. 그러다 언젠가부터 강남 20평대가 타 지역 40. 50평을 두배차이로 벌리는게 당연해지고)
샤한샤
25/09/22 13:38
수정 아이콘
대충 한 2천년대 중반까지도 급지 인식이 거의 없었어요.
독서상품권
25/09/21 13:41
수정 아이콘
중산층이 아닌거같은데
이쥴레이
25/09/21 13:46
수정 아이콘
아파트 들어가기전 단칸방에서 살때 생각나네요.
흑흑..
메르데카일일팔
25/09/21 13:50
수정 아이콘
저때 사전적 의미의 중산층은 서민이란 단어를 더 많이 썼죠. 중산층은 그 이상의 무언가... 2008년에 고등학교다닐때 부모 두명 맞벌이, 30평대 아파트(신도시 x), 차 2대 있고 1년에 한번씩 중국이나 일본 해외여행 가는거보고 교사가 넌 중산층의 전형이라고 해서 별명이 중산층인 친구가 있었습니다.
Dr. Boom
25/09/21 13:53
수정 아이콘
1992년도라 해도 압구정동 57평 자가면 상위 1%임
우상향
25/09/21 14:21
수정 아이콘
'아파트 중간'층 오타인 듯...
가스트락스
25/09/21 14:23
수정 아이콘
92년이라도 상류 맞아요 오렌지족이 어느 동네에서 나왔는지만 봐도...
슬래쉬
25/09/21 14:27
수정 아이콘
“압구정동” 중산층
25/09/21 14:34
수정 아이콘
저때 저기 사는 사람들은 자기들이 상류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1명도 없었을걸요...
번아웃증후군
25/09/21 14:48
수정 아이콘
우리가 재벌도 아니고, 그럼 중산층이지. 이런 느낌인가봐요.
짜부리
25/09/21 14:49
수정 아이콘
압구정안에서 중산층을 얘기한거랍니다. 글 내려주세요
카레맛똥
25/09/21 14:51
수정 아이콘
압구정 내에서의 비교면 이해합니다 크크
저시절도 지금만큼은 아니지만 압구정 자가 보유만으로도 S티어 아닌가요??
25/09/21 16:00
수정 아이콘
90년대에 저정도면 상위 3%정도인가요?
VictoryFood
25/09/21 16:39
수정 아이콘
저 수준이 중산층이면 근로소득 면세구간인 분들은 극빈층이니 세금 걷으면 안되죠.
25/09/21 16:43
수정 아이콘
중소기업 사장이었으면 IMF위기를 넘겨서 저 집을 유지할수 있었을지...
유동닉으로
25/09/21 17:26
수정 아이콘
아 저래서 지금도 중산층에 대한 심리적 기준이 최상위 계층에 있군요.
O.Marseille
25/09/21 18:17
수정 아이콘
친척들 몇 분이 90년대 저 아파트 중대형 사셨는데, 그때나 지금이나 상류층이라 보기는 좀 애매하긴 합니다.
일단 본인들은 다 상류라고까진 생각 안 할 거에요.
코우사카 호노카
25/09/21 18:30
수정 아이콘
압구정 평균이라 생각하면... 허허
25/09/21 20:40
수정 아이콘
지금봐도 엄청 부자집인데.. 그땐 아녔다고요? 압구정과 타지역 격차가 지금만큼 심하진 않았다 정도로 이해하겠습니다
25/09/21 23:01
수정 아이콘
중산층은 내심 대놓고 부자라고 하면 돈많다고 자랑하는 느낌나니까 그냥 잘사는 집 정도라 이해하면 편하긴 하죠. 그나마 얘는 이런이미지라도 있지 서민이나 평범을 갖다대는 노양심 기만러들에 비하면 ...
성배hollyship
25/09/23 06:40
수정 아이콘
집 크기가 보통 집보다 더 큰점 빼면 상류층이라 부르기도 참 애매하네요. 저 당시 서울에서 잘 사는 집들은 보통 마당넓은 2층 양옥에서 많이 살았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9909 [게임] ??? : 발로란트 그거 스킬이 메인이고 총게임이 맞는거임? [4] 김삼관4096 25/10/06 4096
519908 [유머] 케데헌] 의외로 루미가 계승한 캐릭터. [25] 동굴곰7120 25/10/06 7120
519907 [유머] 화석 복원이랑 실제랑 다르지 않을까? [23] 길갈11164 25/10/06 11164
519906 [유머] 아버지 장례식 대참사 jpg [8] Myoi Mina 10987 25/10/06 10987
519905 [기타] 진짜 팔릴줄 몰랐다…편의점 판매 새 역사 쓴 '7500만원 위스키' 구매자는 [21] 카루오스12385 25/10/06 12385
519904 [유머] 며칠 전에 나온 Sora 2.0 이용해서 AI 동영상 테스트 해본 영상 [2] 매번같은7322 25/10/06 7322
519903 [방송] SNL에 출연한 헌트릭스 [10] 싸우지마세요10579 25/10/05 10579
519902 [기타] 삼성전자 5만원에 매수하신 분 이야기 [15] 닉넴길이제한8자11847 25/10/05 11847
519900 [유머] 하도급의 폐단 [9] 인간흑인대머리남캐7501 25/10/05 7501
519899 [서브컬쳐] 난이도가 엄청난 곡 [8] 김삼관6316 25/10/05 6316
519898 [유머] 좋아하는 명조로 하나되는 오타쿠와 향아치 [10] VictoryFood6746 25/10/05 6746
519897 [유머] 낡고 고장난 TV를 고치는 방법.ytb [15] VictoryFood8891 25/10/05 8891
519896 [스타1] 김가연에게 3일 연속 혼나기 VS [17] 태양의맛썬칩8749 25/10/05 8749
519895 [방송] 게리 올드만 근황 [14] 롤격발매기원8350 25/10/05 8350
519894 [동물&귀욤] 재규어에게 캣닢을 주자 반응이...twt [7] VictoryFood6332 25/10/05 6332
519893 [서브컬쳐] 에버랜드 50주년 큰거오나? + 놀이공원 덕후들이 기분좋은이유 [12] 유머7238 25/10/05 7238
519892 [기타] 벤츠 전기차 또 화재 [45] 모아9950 25/10/05 9950
519891 [게임] 데메크와 베요네타를 정말로 "존경"하는 게임 [7] 묻고 더블로 가!5168 25/10/05 5168
519890 [방송] 오글거리는 대본보고 당황한다는 배우들에게 한마디하는 김은숙작가.jpg [20] 카미트리아10151 25/10/05 10151
519889 [스포츠] MLB가 인정한 한국인 메이저리거 [22] Davi4ever7613 25/10/05 7613
519888 [방송] 아이돌식 한 입 [5] 묻고 더블로 가!7166 25/10/05 7166
519887 [유머] 미래를 예견한 일본 만화 [10] 길갈7661 25/10/05 7661
519886 [기타] 공포의 마운자로 유지어터 [29] Lord Be Goja7629 25/10/05 762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