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3/10/29 12:55:12
Name 칭찬합시다.
Subject 어떤 과일가게 (수정됨)
고향집에서 걸어서 3분 가량을 가면 작은 청과점이 있었다. 내가 그 앞에서 유치원 승합차를 타던 시절도 있었으니 20년은 족히 넘었다. 인도를 오가며 내부가 훤히 보이는 커다란 창을 통해 안을 보면 주인 아저씨는 늘 높은 선반 위의 텔레비전을 멍하니 바라보고 있었고 손님이 오면 주섬주섬 일어나 과일 바구니의 과일들을 봉투에 담아 주었다. 누군가는 사과를 어떤 이는 배를, 과일을 사지 않는 이들은 담배를 사갔다.

수십년을 봤지만 그 아저씨는 매일 아침 일찍 가게를 열었다. 학창시절 수학여행 집결지에 일찍 모이기 위해 새벽녁 집을 나섰는데 벌써부터 부산스럽게 장사 준비를 하시던 모습에 놀랐던 기억이 난다.

가게는 작았고 과일을 특별한 것이 없었다. 작은 소쿠리에 사과나 배, 바나나, 딸기 같은 것들이 가득했고 최근 유행한 샤인머스킷이 구석에 보였다. 젊은이들에게 인기가 많다던 애플망고 같은 과일은 들여놓지 않았다. 갈수록 단골만 가는 그런 집이 되어갔다. 나 역시 어린 시절 부모님의 심부름으로 몇 번 구매를 한 것 말고는 방문한 적이 없으니 나는 그에게 손님이라기보단 행인이나 주민이었다.

그곳은 어떤 특별한 추억이 있는 장소라기보단 그냥 풍경 같은 곳이었다. 집 근처에 늘 존재하던 가로등이나 전봇대, 멀리 보이는 붉은 십자기의 불빛 같은거. 대학시절 오랜만에 집에 들렸다 그곳에 진열된 과일들이 너무 반듯하게 놓여있는 것을 보고 싱숭생숭했던 기억이 난다. 새벽녘에 신경써서 과일을 예쁘게 놓았을 주인아저씨의 모습이 상상되며 그의 최선과 고심이 타인에겐 수십년 간 알아채지도 못할 일이었다는게, 아마 나의 최선도 타인에겐 그러할 것이라는 게 마냥 우울했었다.

오랜만에 간 고향집에서 앞 과일가게에서 이제 문을 닫는다는, 정갈한 손글씨로 쓰인 벽보를 읽었다. 그래서 이 글은 과거형으로 쓰여졌다. 내가 집에 머문 고작 며칠 사이에 과일가게는 뜯겨나가고 그 자리엔 어디서나 보이는 편의점이 들어섰다. 편의점이 새로 생기는게 일주일도 채 안 걸린다는게 놀랐고 누군가의 수십년이 정리되는 시간도 찰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친구들한테 말하니 웃으며 우리도 늙었다고,  그래서 이제 그런게 보인다고들 하더라.



* 배려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5-02-26 07:43)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 게시글로 선정되셨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어느새아재
23/10/29 15:55
수정 아이콘
저희는 랜드마크 개념이었던 중국집이 간판내리길래
아..여기도 바뀌는구나 했는데
그분들이 다시 고깃집을 딱! 크크크
한동네 오래 사니까 그런게 잘 보이는 듯합니다.
윤니에스타
23/10/30 10:42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요새 가게들 없어지는 거 정말 순간이더라요. 특히나 자주 가던 가게가 그렇게 폐업을 하고 엄한 가게가 들어온 걸 볼 때는 살짝 마음이 먹먹해지는..
과수원
23/10/30 12:11
수정 아이콘
그런데 생각해보면 그 오랜 시간동안 장사 열심히 하셨으면
이제 쉴 때가 되셔서 닫으신 것 아닌가 싶기도 하구요.
원호문
23/10/30 15:17
수정 아이콘
풍경으로 남아있던, 당연하던 공간이 바뀔 때 문득 허무해지는 순간이 있더군요. 그 풍경 속에 있던 나 자신의 시간까지 사라진듯 하여 그런걸까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865 자동차 산업이 유리천장을 만든다 [69] 밤듸2692 24/03/11 2692
3864 [역사] 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1. 들어가며 [7] meson2204 24/03/10 2204
3863 토리야마 아키라에게 후배들이 보내는 추도사 [22] 及時雨2294 24/03/08 2294
3862 바야흐로 마라톤 개막 시즌 입니다. [30] likepa2188 24/03/06 2188
3861 [역사]이걸 알아야 양자역학 이해됨 / 화학의 역사 ③원자는 어떻게 생겼을까? [31] Fig.12193 24/03/05 2193
3860 삼국지 영걸전, 조조전, 그리고 영걸전 리메이크 [29] 烏鳳14312 24/02/22 14312
3859 설날을 맞아 써보는 나의 남편 이야기 [36] 고흐의해바라기13555 24/02/12 13555
3858 열매의 구조 - 겉열매껍질, 가운데열매껍질, 안쪽열매껍질 (그리고 복숭아 씨앗은 일반쓰레기인 이유) [21] 계층방정13045 24/02/08 13045
3857 향린이를 위한 향수 기초 가이드 [76] 잉차잉차13297 24/02/08 13297
3856 [역사] 물질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 화학의 역사① [26] Fig.113059 24/02/06 13059
3855 회사에서 설사를 지렸습니다 [154] 앗흥15092 24/02/08 15092
3854 [LOL] 53세 할재(?) 에메랄드 찍기 성공 [41] 티터13398 24/02/07 13398
3853 [팝송] 제가 생각하는 2023 최고의 앨범 Best 15 [12] 김치찌개12893 24/02/04 12893
3852 [역사] 손톱깎이 777 말고 아는 사람? / 손톱깎이의 역사 [29] Fig.113094 24/01/23 13094
3851 구조적 저성장에 빠진 세계, AI는 이 한계를 뚫을 수 있을까 [34] 사람되고싶다13084 24/01/21 13084
3850 조선의 젊은 아베크족들이 많은 걸 모르셨나요? - 1940년 경성 번화가를 걸어보다. [12] KOZE15619 24/01/13 15619
3849 2023년 영화 베스트 25 - 주관 100% [23] azrock14442 24/01/12 14442
3848 과학이 뭐라고 생각하세요? / 과학철학의 역사 [32] Fig.114252 24/01/09 14252
3847 pgr 삼촌의 시티팝 추천곡 [26] 라쇼14409 24/01/08 14409
3846 [서평] '변화하는 세계질서', 투자의 관점으로 본 패권 [51] 사람되고싶다14186 24/01/05 14186
3845 골수 서구인인줄 알았던 내가 알고보니 MZ유생? [22] 사람되고싶다12929 24/01/09 12929
3844 [기타] 이스포츠 역사상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정상에 오른 선수들 [39] 워크초짜12135 23/12/23 12135
3843 와인도 이렇게 열심히 사는데 / 와인의 역사 [25] Fig.113233 23/12/14 1323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