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8/03/09 08:35:16
Name 자전거도둑
Link #1 http://cafe.naver.com/playbattlegrounds
Subject [배그] 2018 배틀그라운드 로드맵 발표(신규맵+리그+패치) (수정됨)


플레이어 여러분,

드디어 오늘 2018년을 위한 저희의 비전과 로드맵을 여러분과 나눌 수 있게 되었습니다. 지난 2년간의 긴 여정을 통해 정말 많이 배웠습니다. 지난 2달 동안 계획 끝에 정리한 배틀그라운드의 올해 발전 방향을 공유 드립니다. 보다 실제적인 배틀 로얄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기반을 탄탄히 구축하려 그 동안 열심히 달려왔습니다. 올해는 그 기반을 바탕으로 배틀그라운드 내 여러 컨텐츠를 다듬고, 버그를 수정함과 동시에 게임을 더욱 확장시킬 계획입니다.

Steam 얼리 액세스를 벗어나 1.0을 출시했을 때, 이제 막 여정을 시작한 것에 불과하다고 말씀 드린 바 있습니다. 올해부터는 2 개월에 한 번씩 주요 컨텐츠를 업데이트할 예정이며, 이 중 첫 번째 업데이트가 이 달에 진행됩니다. 주요 업데이트를 통하여 시스템에 변경사항을 적용하고 새로운 컨텐츠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주요 업데이트 외에도 소규모 업데이트들이 종종 진행될 예정입니다.
  
배틀그라운드의 개발 과정에 여러분들이 이전보다 더 많이 참여하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험적 테스트 서버(Experimental Test Server)를 열 예정입니다. 해당 서버를 통해 컨텐츠/신규 기능 개발 단계에서 보다 일찍 여러분들의 값진 피드백을 수집해 배틀그라운드의 발전과 변화에 더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게임의 비주얼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것 또한 저희의 목표 중 하나입니다. 는 것 또한 우리의 목표 중 하나입니다. 저희 아트 팀에서 개선 작업 중인 건물 전/후 사진을 아래에 공유 드립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로드맵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단, 아래 모든 내용은 변경될 수 있으며, 일부는 여전히 작업 중인 내용이라는 점을 유념해 주세요.

새로운 컨텐츠 및 게임 플레이

이번 달 실험적 테스트 서버에 신규 4x4km 맵을 올릴 예정입니다. 이 맵은 기존에 비해 훨씬 작기 때문에 플레이어의 밀집도가 높아 게임 한 판당 소요시간이 짧습니다. 이 맵을 통해 더욱 강렬하고 빠르게 진행되는 배틀 로얄을 경험하실 수 있을 거라 기대합니다. 최대한 빨리 이 맵을 선보이고 여러분의 의견을 모아 더 나은 게임 플레이를 만들어 나갈 계획입니다.




이모트 시스템(Emote System)도 테스트할 예정인데요. 곧 테스트 서버에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올 한해 동안 사용 가능한 감정표현의 범위를 계속 확장할 예정이며, 여러분의 피드백을 기다리겠습니다. 오늘은 지금까지 작업해 온 이모트 시스템 내용 일부를 아래에 간단히 보여 드립니다.

배틀그라운드에 재미를 더해줄 신규 게임 모드도 저희 게임 기획팀과 함께 기획 중입니다. 세부 사항 확정 전인 초기 단계라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기회에 공유 드리겠습니다.

올해 상반기에는 새로운 차량을 몇 대 추가할 계획이며, 무기류 및 무기 부착물도 지속적으로 더해 나갈 것입니다. 곧 선보일 새로운 무기를 하나 살짝 보여 드리겠습니다.



이 외에도 새로운 맵을 하나 더 제작 중이며, 이 맵의 크기는 8x8km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실험적 테스트 서버에 운영될 작은 맵과 마찬가지로 이 맵 역시 최대한 개발 초기 단계부터 선보일 예정이며, 여러분의 도움을 통해 이 맵의 게임 플레이를 멋지게 발전시켜 나가고 싶습니다.

또한 업적, 게임 내 친구 목록 및 파티 음성 채팅이 조만간 테스트 서버 내 메인 메뉴에 추가될 것입니다! 차후에는 여러분이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을 더욱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낙하산과 무기 스킨도 추가하려고 합니다.

테스트 서버를 통해 탄환이 손과 팔뚝 및 차량을 관통하는 시스템도 시험해 보고자 합니다. 이로써 탄도학 시스템에 새로운 깊이를 더하고, 게임 플레이의 현실감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합니다. 물론 이 새로운 시스템에 대해서도 플레이어 여러분의 의견을 경청할 예정이며 피드백이나 각종 제안 등은 공식 카페에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2018 년에는 전체 TPP 및 FPP 애니메이션 시스템을 개편해서 주변 환경에 더욱 매끄럽고 역동적으로 반응하도록 만들 것입니다. 차량을 탑승할 때의 애니메이션, 차량 안에서 좌석을 변경할 때의 애니메이션 등을 수정 예정입니다. 또한, 캐릭터 움직임도 개선해서 3D 리플레이가 훌륭한 컨텐츠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올해 로드맵에는 낙하산 시스템 개편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반응성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애니메이션을 다듬을 것입니다. 또한 무장 및 비무장 근접 전투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안정성, 최적화, 보안

저희는 플레이어 여러분에 대한 저희가 가장 핵심적으로 챙겨야 하는 부분을 절대 놓치지 않을 것입니다. 여러분이 뛰어난 배틀 로얄 경험을 즐길 수 있도록 보다 안정적이고 매끄럽고, 안전한 게임 환경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저희는 부정행위 사용자 퇴치, 서버 안정성 개선, 서버 및 클라이언트 최적화를 위한 대응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런 문제들을 한번에, 그리고 완전히 해결 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지속적인 개선을 목표로 저희는 계속 나아갈 것입니다.

위 내용들이 모두 민감한 주제이기도 하고, 실행 효과를 극대화 하고자 구체적인 계획에 대해서는 안내해 드리기 어려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하지만 공유할 수 있는 결과가 있을 때에는 여러분께 관련 방안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운드

2018년 상반기에는 차량 소리에 디테일을 더하고자 합니다. 예를 들어, 차량 서스펜션 사운드를 도입할 것이고 더 다양한 바닥 마찰 음향 효과를 추가할 것입니다. 각종 날씨 상태에 따라 다른 표면 마찰 소리를 추가하고 차량에 떨어지는 빗소리 또한 더할 것입니다. 이와 더불어 올해 상반기에는 POV에 따라 들리는 총소리가 더욱 명확히 구분 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하반기에는 플레이어가 보유, 장착한 장비에 따라 이동할 때 발생하는 소리가 달라지게 변경할 계획입니다. 또한 플레이어가 뛰거나, 조준 중이거나, 숨을 참고 있을 때 등 여러 상태에 따라서도 다양한 호흡 사운드를 추가하고자 합니다.



이스포츠

Esports는 아직 부족한 점이 많지만 길을 찾아 나갈 것입니다. 저희 커뮤니티와 프로 선수들의 의견 덕에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희의 목표는 배틀 로얄 esports를 위한 훌륭한 기반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이미 배틀그라운드를 활용한 재미난 이벤트들을 몇 번 있었지만 아직 남은 과제가 많습니다. 특히 옵저빙 관련해서는 많은 부분 개선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더 나은 대회 중계를 위해서는 3D 리플레이 시스템이 가장 중요한 도구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올해는 실시간 관전(live spectator) 툴을 더 개선함과 동시에 라이브 경기 중 관전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리플레이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합니다. 저희 데이터 분석실은 지난 3 개월 동안 순위, 플레이어 전적 데이터를 검토해 왔으며 현재 MMR 및 전반적인 랭킹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현재 뛰어난 분들이 이 시스템을 개발 중이며, 새로운 플레이 데이터 API 툴셋과 함께 2018 년은 저희의 esport 기반을 더욱 강화해 나갈 멋진 한 해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커스텀 게임

커스텀 게임 시스템은 좀 더 세밀한 제어 기능, 프리셋(preset) 저장 등의 질적 기능 향상을 통해 계속 확장시켜나갈 것입니다. 또 더 많은 플레이어들에게 사용 권한을 배포해서 더 많은 커스텀 게임들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커뮤니티 개발자 지원



배틀그라운드 개발자 포털도 선보일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배틀그라운드 API 서비스, 관련 개발 블로그, 게임 업데이트에 대한 기술적 정보를 제공할 것입니다. API 서비스는 커뮤니티 내 개발자 분들에게 전적 관련 플레이어 및 매치 데이터를 제공해 줄 것입니다. 또한 경기나 시즌 별 혹은 전체 데이터를 제공하여 플레이어 여러분께 도움이 될 만한 리소스를 개발자 분들이 만드는 데 기여할 거라 생각합니다.

또 다른 유용한 기능은 커스텀 게임 API인데요, esports 운영 및 기타 주체들이 커스텀 게임을 생성할 수 있게 됩니다. 이로써 저희의 기술적 작업 부담은 최소화 하면서 타 esports 주체들이 경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관리 할 수 있게 됩니다.

지금까지 올해 로드맵을 설명 드렸는데요. 새로운 기능과 시스템 내용이 담긴 이 목록이 저희 2018년 계획의 전부는 아니라는 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번 기회에 여러분께 이야기하지 못한 다른 계획들도 있으니 그 내용은 추후 공유 드리겠습니다!


지난 한 해 동안 여러분이 보내주신 성원에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게임에서 만나요, 여러분. PLAYERUNKNOWN




--------------------------------------------------------------------------------------------------------------



펍지, PKL리그 계획 발표

- 2018 상반기 PUBG Korea League는 Tour 방식으로 진행

- 프로 투어(Pro Tour) 시드권이 보장 되는 공인 프로팀 최대 36개 모집

- 펍지 포인트로 랭킹 산정, 공식 글로벌 대회 참가 자격 부여

- 3월 22일까지 상반기 배틀그라운드 코리아 공인 프로팀 신청

-프로 투어, A투어, B투어 3개 등급 대회로 운영(A투어, B투어는 아마추어팀 참가 가능), 리그 종합 포인트 산정


------------------------------------------------------------------------------------------------------------------

3월 패치 내용(3월 9일 테스트서버 오픈)

클라이언트 최적화
• 입력 지연 시간(Input Lag)을 감소시켜 실시간 반응성을 향상시켰습니다.  
• 맵 로딩 과정에서 발생하는 프레임 드랍 현상을 완화하였습니다.
• 에란겔 건물을 최적화하여 GPU의 부담을 줄였습니다.
• 이펙트의 생성과 소멸 과정을 최적화하였습니다.
• 클라이언트에서 일정 속도 이하의 차량 물리 성능을 최적화하였습니다.

서버 최적화
• 서버 네트워크 성능을 최적화하였습니다.
• 서버에서 일정 속도 이하의 차량 물리 성능을 최적화하였습니다.

로비
• PUBG 친구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o PUBG 친구로 등록 가능한 인원은 최대 50명입니다.o PUBG 계정을 보유한 플레이어들은 서로의 인증 플랫폼 계정(Steam, Maril.RU, DMM)과 관계없이 게임 내에서 자유롭게 서로의 프로필을 검색하고 친구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친구 추가는 플레이어 간의 상호 수락 개념이 아닌 단방향의 팔로우 개념입니다.• Steam 친구인 경우 기존과 동일하게 게임 내에서 관리할 수 없으며, 스팀 상에서 관리해야 합니다.o 최근에 같은 팀으로 플레이한 플레이어는 RECENT에 최대 30명까지 표시됩니다. 
• 로비 음성 채팅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o 로비에서 파티 상태의 플레이어와 음성 채팅이 가능합니다.o 음성 채팅을 사용하는 동안 플레이어의 이름 우측에 스피커 아이콘이 표시됩니다.

월드
• 미라마의 플레이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일부 높은 건물의 내부 바닥과 천장을 뚫어 층간 이동을 쉽게 하였습니다.

게임 플레이
• 37개의 스팀 도전과제(Achievement)가 추가되었습니다.
• 이모트 시스템이 추가되었습니다.o 기본으로 제공하는 이모트는 12종이며, 추후 더 많은 이모트가 추가될 예정입니다.o 이모트 창(~키)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특정 이모트를 좌 클릭하거나 키보드 상단 숫자 키를 누르면 해당 이모트가 실행됩니다. 
• 플레이어가 총에 맞았을 경우 발생하는 피 이펙트 중, 초록색 피 이펙트가 붉은 색 이펙트보다 잘 보이는 것을 수정하였습니다.
• 농작물, 고무, 천, 종이, 선인장 재질이 추가되었습니다.o 사격을 하거나 근접무기로 공격할 경우 알맞은 재질 별 이펙트가 출력됩니다.
• 총기 스코프 뷰를 더 현실적으로 변경하였습니다.o 스코프로 볼 수 있는 시야각이 넓어졌습니다.o 총기를 빠르게 움직일 경우 시차 효과를 추가하였습니다.o 스코프 가장자리에 색상, 비네팅(외곽, 모서리가 어둡게 나오는 현상), 색수차(빛의 굴절로 인한 색상차이), 왜곡 효과 등을 추가하였습니다.

UX/UI

• 차량 인터페이스 아이콘 9종이 4K 해상도에 맞는 사이즈로 재 디자인 되었습니다. 
• 차량 운행 시 타이어가 파손될 경우 기존에 붉은색으로 X표시 하던 것을 붉은색 타이어로 표시되도록 수정하였습니다.

사운드
• 농작물, 고무, 천, 종이, 선인장 재질의 탄착 소리가 추가되었습니다.

버그 수정
• 수송기를 타고 날아갈 때 바다에 사각형 모양의 경계선이 생기던 문제점을 수정하였습니다.
• 지형지물 넘기 동작 중 사망하는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 캐릭터 끼임 현상, 땅 속으로 빠지는 현상, 벽이 뚫려 보이는 현상을 완화하였습니다.
• 일부 잘못된 UI 및 텍스트 표기를 수정하였습니다.
• 여러 동작을 연달아 진행할 경우 비정상적으로 움직이는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완화하였습니다.
• 일부 의상이 겹쳐 보이거나, 안보이는 등 비정상적으로 보이는 외형 오류를 수정하였습니다.
• 획득할 수 없는 위치에서 생성되는 아이템의 위치를 조정하였습니다.
• 마우스 감도 옵션을 59로 설정 할 수 없었던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 특정 조작을 통해 캐릭터가 빠르게 기어가는 동작이 가능한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 FPP 모드에서 자신의 발자국 소리가 겹쳐 들리는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 서버성능 저하 시 3륜 오토바이가 주행 중 갑자기 전복되는 현상을 완화하였습니다.
• 3륜 오토바이 주행 중 공중에서 낙하할 경우, 플레이어 좌석 이동 시 낙하속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 수중 관통 이펙트가 간헐적으로 출력되지 않는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 연료통 사용 중 취소 조작을 했음에도 아이템이 사용되는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 공중에서 이미 폭발한 투척무기가 바닥에 튕기는 소리를 내는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 간헐적으로 기절한 상태의 플레이어가 운전을 할 수 있는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 승차 상태에서 재 접속 시 차량이 보이지 않거나 캐릭터 및 카메라의 위치가 어긋나는 등의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 게임에 최초 접속한 신규 계정과 파티를 맺을 시 로비에서 신규 계정의 외형이 보이지 않는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 거리와 상관없이 캐릭터의 그림자가 지나치게 선명하게 보여지는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 수송기에서 낙하 시 비행 방향과 상관없이 제자리에 멈추어 낙하가 되는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 스코프를 장착한 총기로 ADS 모드 전환 시 스코프 외관 부품의 일부분이 뒤늦게 보여지는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 8배율 스코프의 가변 줌(zoom-in, zoom-out) 상태가 다른 무기로 변경 시 초기화되는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 특정 조건에서 아이템 창을 통한 아이템 줍기/버리기 시 아이템 수량 입력 팝업 창이 강제로 출력되는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 특정 상황에서 물 안과 밖의 폐 게이지 상태가 다르게 출력되는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


출처 : 네이버 배틀그라운드 공식카페 , 디스이즈게임 , 인벤

http://cafe.naver.com/playbattlegrounds

http://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225/?n=80677&utm_source=naver&utm_medium=outlink&utm_campaign=thisisgame&utm_content=80677&nogate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95470&site=battlegrounds


===================================================================

요약

1.2개월에 한번씩 주요 컨텐츠 업데이트 예정

2.4X4 , 8X8 두가지 맵 개발 중

3.감정표현 등 구현 예정

4.신규게임 모드 개발 중

5.신규무기 , 신규차량 예정

6.상반기 PKL리그 계획 발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3/09 08:46
수정 아이콘
커스텀 모드나 빨리 풀어주면 좋겠네요.
18/03/09 08:51
수정 아이콘
새로운 7탄 총은 L1A1이라네요.
파쿠만사
18/03/09 11:09
수정 아이콘
진짜 커스텀 왜 안해주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똑같은 돈주고 샀는데 누군 해주고 누군안해주고 차별받아야하는지 이해가 안가요
18/03/09 08:59
수정 아이콘
그간 징징거렸던 것들중 일부가 반영된것 같아 다행이네요.
작은맵, 정글맵(맞나?) 추가라거나 신규아이템, 게임모드.. 적극 환영입니다.
그리고 게임 맵 속에 광고 넣는것도 한번쯤 생각해볼만할것 같은데 이건 안하려나요.
아따따뚜르겐
18/03/09 09:08
수정 아이콘
이스포츠에 진짜 생각이 있다면 4X4 도입좀 적극적으로 했으면 좋겠는데 아직도 내부적으로 확정을 못 내리나보네요. 8X8 맵 계속 제작이라니..
게섯거라
18/03/09 09:29
수정 아이콘
사실 기존맵도 4x4로 맞춰야 한다고 봅니다. 너무 대책없이 넓어요. 아르마3 베껴오면서 하이지도 그렇고 배그도 너무 넓은 맵을 가지게 되었는데 포트나이트 배틀로얄 나오면서 어? 맵 작은게 더 재밋네라고 사람들이 느껴버렸거든요. 그렇다고 탈것도 필요없는 포나급으로 만들필요는 없고 전체적으로 다 줄여야...
아따따뚜르겐
18/03/09 09:53
수정 아이콘
총게임이 이렇게 한판 한판이 긴 게임이 없죠. 이게 롤 1판이라는것과 비교해보면 얼마나 지루할 수 밖에 없는지 알 수 있습니다. 거기다 한번 밀리면 그 팀을 응원하는 시청자들은 다음판까지 기다리기도 힘들구요.
옵저빙의 차이도 있지만 스타래더에서 팀리퀴드나 페이즈 응원하니 국내 대회들보다 훨씬 볼만하더군요.
국산반달곰
18/03/09 09:42
수정 아이콘
8X8리메이크로 4X4만들기는 쉽다만 4X4 에서 8X8로 리메이크 하기는 쉽지 않거든요

일단 제작하면 아마 단기간 내에 4X4맵도 나올것으로 보입니다..
손나이쁜손나은
18/03/09 09:19
수정 아이콘
각종 날씨 상태에 따라 다른 표면 마찰 소리를 추가

날씨가 다시 추가되는건가요??
18/03/09 09:44
수정 아이콘
총쏘기 연습 할 수 있는 기능도 좀 만들어줬으면 좋겠습니다
raindraw
18/03/09 09:49
수정 아이콘
반길만한 로드맵 발표네요.
말처럼 진행되길 바랍니다.
대회는 제발 팀 시점에서 방송해줬으면 하구요.
하심군
18/03/09 10:09
수정 아이콘
L1A1이라... 클래식한거 좋아하네요.
양파냥
18/03/09 10:57
수정 아이콘
4*4맵은 정신없이 싸우겠네요
엄격근엄진지
18/03/09 11:05
수정 아이콘
퀘스트나 티어시스템 등은 아직 도입하지 않나보네요.
저런게 없어서 혼자서 하는건 이제 질렸는데
18/03/09 11:12
수정 아이콘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001&oid=092&aid=0002132811
카카오 계정필...
진짜 양아치같이 한다..
마둘리
18/03/09 18:40
수정 아이콘
[모든 자국 선수는 본인 명의의 카카오 배틀그라운드 계정을 보유(게임 구매가 아닌 플랫폼 계정 보유)해야 합니다.]
가 큰 문제 될게 있나요?
18/03/09 18:41
수정 아이콘
기사에는 그런말이 없었으니까요.
마둘리
18/03/09 18:45
수정 아이콘
그럼 본문에 출처가 있는데 왜 기사 1개를 가지고 와서 비난을 하시는건가요?
애초에 출처에 가서 보거나 기사 여려개를 보면 이렇게 어처구니 없는 비난은 할 필요가 없어질텐데요.
18/03/09 18:48
수정 아이콘
이 문제는 출처에서 안보고 기사부터봤는데요? 뭐 문제 있나요? 여전히 출처링크 안가봤습니다.
여전히 배그 계정을 굳이 가질 이유도 없고요. 스팀이면 뭐 본인 인증이 안됩니까?
아 그리고 제가 본시점에 저 리그 개괄이 없었습니다.
마둘리
18/03/09 18:50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서 카카오랑 계약 맺고 게임 사라는게 아니고 계정만 가지고 있으라는데 그게 양아치까지는 모르겠네요.
심지어 까실려면 정확한 팩트를 들고 까셔야죠. 그냥 기사 한개 대충보고 까시는게 이해가 안되서 그럽니다.
본문에 출처가 있는데 그 출저 가시면 저 기사보다 몇배 자세한 내용이 정확히 적혀있는데 그거 귀찮아서 그냥 짧은 요약 기사 보고 대충 보고 까시는게 문제죠.
그리고 저 리그 계획은 http://www.pubgesports.kr/ 여기서 볼 수 있는데 공지가 무려 2월 27일로 되어 있네요.
18/03/09 18:51
수정 아이콘
저기요. 저 리그 개괄이 안나와있었다니까요?
18/03/09 18:54
수정 아이콘
27일자로 되어있는 공지에도 게임구매가 아닌 플랫폼 계정 보유라는 글이 없는데요?


프로 선수 자격 조건
① 공인 프로팀 소속 선수는 PUBG를 대표하는 선수로서 경기 내외적으로 프로로서의 행동과
PUBG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② 만 18세 이상의 선수만 공식 PKL 로스터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 만 18세 이하 선수의 경우 자율
적인 팀과의 계약 및 연습활동은 가능하지만 공식 PKL 로스터에 등록할 수 없습니다.
③ 모든 선수는 본인 명의의 카카오 배틀그라운드 계정을 보유해야 합니다. PUBG를 포함한 이전
타종목 e스포츠 부정 행위를 저지른 이력이 있는 선수는 PUBG 리그 참가에 제약을 받을 수 있
습니다.
④ 모든 선수는 해외 여행에 결격 사유가 없어야 합니다.
이렇게 나오는데 뭐로 판단하죠?
마둘리
18/03/09 18:57
수정 아이콘
보유라고 했지 게임 구매라고는 안했으니깐요.
보유랑 구매랑 엄연히 다른겁니다. 저 기사만 보고 계정필이라고 자의적으로 해석하신 것도 문제 있는데 그거까지 짚어드릴려고 하다가 말았는데요?
본인 잘못을 도저히 인정 안하시니 소귀의 경읽기네요.
우리나라의 서비스 계약을 맺고 구매하라는 것도 아니고 그냥 계정 보유하시고 출전하세요가 그렇게 양아치 같은건가 싶어서 물었던겁니다.
18/03/09 18:59
수정 아이콘
보유를 보통 게임구매로 판단하죠.
카카오에서 게임을 안하는데 계정을 왜만들겠습니까.
보통 계정 보유는 게임 보유를 이야기하죠.
왜 굳이 괄호까지 쳐서 추가가 됬을까요?
본인이 잘못댓글단걸 우기시지 마시죠
마둘리
18/03/09 19:01
수정 아이콘
공카에 덧글 달린거에 대해 비슷한 덧글이 있는데 그 반응과 비슷하네요.
차마 욕이라서 달지는 못하겠습니다만, 수준이 그러한거 같아서 똑같이 판단하겠습니다.
18/03/09 19:03
수정 아이콘
마둘리 님// 본인 수준이 그런걸 남한테 수준이라고 하지마시죠.
그리고 팩트로 찍어줘도 반박 못하면 그냥 미안하다고 하면 됩니다.
뭔 수준 운운은..
지성파크
18/03/09 19:04
수정 아이콘
보유랑 구매랑 어케같은거져??? 이해가 안되서 물어봅니다
18/03/09 19:08
수정 아이콘
지성파크 님// 일반인이 받아 들이기에 계정보유가 구매랑 같이 받아들이는거죠.
그러니까 저렇게 괄호해서 추가로 적어둔거 아닙니까.
그냥 보유랑 구매랑 다르게 판단했으면 추가로 적어 뒀을까요?
지성파크
18/03/09 19:12
수정 아이콘
키토 님// 솔직히 보유랑 구매랑 묶은건 햇갈려도 자의적해석 같은데요... 자의적해석 하는 사람 10퍼센트만 있어도 괄호치는거고요. 그리고 카페에 글에도 그거 글올리고 수정한겁니다. 10퍼센트의 사람때문에요. 당장 다른곳가도 별 말 없은데 혼자 그러시는건 문제가있다고 보여지고요
거기다가 카카오계정 만드는게 어려운게아닌데 운영못해서 양아치라고 하면 모르겠는데 단순히 그걸가지고 양아치라고 하는건 아니지않아요? 기업은 기업계약대로 하는거고, 중국이 텐센트랑 계약 맺어서 중국리그할때 텐센트계정 있어라 하는게 양아치인지 모르겠어요 솔직히 말하면요
18/03/09 19:19
수정 아이콘
지성파크 님// 자의적해석이라 봅시다.
그래도 굳이 카카오 계정을 만들필요는 없죠.
어차피 스팀기준으로 게임을 만들어왔고 지금도 그러합니다.
가장 큰 시장 자체도 스팀이고 기반도 거기에 있어요.
선수 연습도 전부 스팀에서 이루어집니다.
근데 왜 굳이 카카오 계정이 필요할까요? 그냥 자기들이 관리하기 편하기 위해서에요.
본인들이 해야할 일을 굳이 없는 계정을 만들어야 하는겁니다.
뭐 계정만드는게 별거 아니라고 할수도 있는데 굳이 스팀계정이 있는데 본인인증이 안되는 계정도 아닌데
만들어야할 이유도 없는거죠.
그리고 카카오에서 대회 런칭하는것도 아니고 펍지에서 주관하는겁니다
스팀에서 굳이 카카오로 넘어갈 이유도 없는거에요
뭐 스팀은 배그 아닙니까?
중국이야 대회 주관이 텐센트이니 그리고 판호였나 그것도 텐센트 주도로 이루어진거라 100프로 이해가 가겠지만 국내는 아예 제작도 본인들이 애시당초 런칭도 스팀에서 개발도 스팀에서 시장도 스팀이 가장 큰 데
굳이 카카오계정이 왜 필요한지 모르겠습니다.
지성파크
18/03/09 19:25
수정 아이콘
키토 님// 관리의 편의성때문에 그러는거라면 그게진짜 양아치인지 궁금해서 그럽니다
APL이나 PSS는 방송사가주니까 그럴수있는데 펍지는 카카오랑 계약했습니다 오히려 펍지에서 주관하니까 우리나랑 서비스계약을 맺은 카카오랑하는게 맞는거죠. 앞서 예를들던 중국과 말한계약과 같은거에요.
관리의 편의성이라면 더더욱할필요가 있어보이네요
런칭과 서비스는 별개로 봐야하고요
18/03/09 19:30
수정 아이콘
지성파크 님// 스팀에 이미 판이 있었죠. 그걸 돈을 벌려고 카카오를 더 가지고 온거고요.
그거까지 깔 생각은 없습니다. 뭐 돈 더 벌겠다는데 유저로서는 개짜증나고 욕나오는 상황인데 돈 더 벌겠다고 하는거라 카배는 안삿지만 그럴 생각은 없어요.
스팀으로 관리가 안되는게 아닌데 굳이 계정을 왜 만들어야 합니까.
우리나라카카오 서비스 계약을 맺었듯이 스팀이랑도 계약을 맺은거죠.
카카오가 프로시장까지 전부 계약사항에 들어가는건 아니잖아요.
이해해 줄수도 있는 영역이지 이해해줘야 하는 영역까지는 아닌거죠.
스팀에서 서비스를 안하고있는것도 아닌데요.
지성파크
18/03/09 19:36
수정 아이콘
키토 님// 계약상황이 어떤지는 정확히아시는건가요??
스팀과는 그냥 게임공급의 계약아닌가요? 카카오와는 퍼블리싱이고요
카카오서비스 계약할때 이런내용이 있을수도 있는건데 처음부터 너무단정지으시는게 문제인거 같아요
18/03/09 19:42
수정 아이콘
지성파크 님// 아 너무 단정은 했다고 볼수있겠군요.그부분은 죄송합니다.
뭐 국내프로게임 시장까지 카카오에서 컨트롤해야한다는 부분까지 계약했다고 한다면 이해해줄수밖에는 없겠네요.
뭐 돈 더벌겠다고 하겠다는데... 그래도 욕먹는건 별수 없을것같습니다.
18/03/09 11:33
수정 아이콘
맵 크기 줄이는거 - 찬성
엄폐 장소 줄이는거 - 찬성
은폐 장소 늘리는거 - 찬성
총기류 늘리는거 - 반대
보조구, 방어구 늘리는거 - 찬성
키리하
18/03/09 12:17
수정 아이콘
기존에 비해 밀집도가 높다고 써둔 건 4x4에서 100명이 그대로 들어간다는 걸까요?
저번에 윤루트 선수 방송 보니 밀베에 30~40명 내리던 1인칭 공방판이 있었는데 랙 진짜 장난 없던데..
아따따뚜르겐
18/03/09 13:02
수정 아이콘
4x4면 2자기장정도니까 요즘 프로씬 생각하면 생각보다 빡빡하진 않을거에요. 그리고 인원수도 좀 줄일수도 있구요. 국내대회가 80명, 스타래더는 64명 들어갔으니 그걸 보고 조절하겠죠.
키리하
18/03/09 13:22
수정 아이콘
아 전 프로씬 말고 공방 이야기 한거라.. 70-80선 들어가면 사막맵도 120명 선으로 늘려줬음 좋겠다 싶어서요 흐흐
국산반달곰
18/03/09 13:52
수정 아이콘
4x4면 아마 10팀정도 40명정도 내리겠죠
지금 관전하기 힘들다는 이유로 만드는 걸로 사료되니까요
아따따뚜르겐
18/03/09 13:59
수정 아이콘
36개팀 모집하는거보면 1경기에 18팀씩 쓸 생각인것 같으니 18개팀 기준으로 하는것 같아요. 4x4에 18개팀이 들어가도 사실 큰 문제는 없는게, 관전도 문제지만 전투까지 돌입하는 시간이 너무 긴게 더 큰 문제였거든요.
18/03/09 12:40
수정 아이콘
커스텀 권한좀.. 사격연습이라도 할수 있게해주던지...
유스티스
18/03/09 18:20
수정 아이콘
맵선택은 안되나...
자전거도둑
18/03/09 23:17
수정 아이콘
일단 만든다고는 했는데.. 언제 될지는..
18/03/10 12:52
수정 아이콘
솔직히 이런거 다 필요없고 핵만 잘 잡아도...
18/03/10 15:19
수정 아이콘
알았으니까 빨랑 좀 하지
너무 느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6077 [기타] T1 도타팀 로스터 해체 [8] 이거쓰려고가입11794 22/11/16 11794 1
75064 [기타] 워크3 리포지드, 2년 만에 등급전 업데이트 [10] 오츠이치8701 22/08/19 8701 1
68243 [기타] 발로란트 베타 리뷰 or 후기 [38] 우르쿤16495 20/04/13 16495 7
66226 [기타] [언더로드]군주 달성 후기 [12] valewalker7246 19/07/27 7246 2
65030 [기타] (번역) 섀도우버스 초/중급자를 위한 경쟁신 가이드 [13] SilentSlayer7052 19/02/07 7052 3
64568 [히어로즈] 히어로즈 이런저런 이야기 "2019년 시공에 다가오는 변화" [38] 은하관제7937 18/11/05 7937 15
64560 [기타] 워3 리포지드, 쥬팬더와 개발진의 Q&A [26] 읍읍9140 18/11/04 9140 0
64026 [도타2] 몇 시간 남지 않은 The International 8 결승. 세 팀이 짊어지고 있는 것 [46] Finding Joe7317 18/08/25 7317 1
63522 [히어로즈] 히어로즈 이런저런 이야기 "시공 중간결산. Mid-Season Brawl을 앞두고" [13] 은하관제7515 18/05/12 7515 5
63411 [히어로즈] 금일 새벽 진행되었던 reddit AMA에 대한 질의응답입니다. [14] 은하관제6622 18/04/14 6622 3
63405 [히어로즈] 최근 상황에 대한 개발진의 의견 공개. 그리고 reddit AMA 진행 예정. [25] 은하관제7721 18/04/13 7721 3
63168 [기타] [뿌요뿌요테트리스]내가 청정수였다니 [19] 기다9362 18/03/13 9362 1
63153 [히어로즈] 특이점이 온 히어로즈 배치 이야기 [8] ioi(아이오아이)6860 18/03/11 6860 1
63147 [히어로즈] 개발진의 MMR공개에 대한 이야기가 공감이 가지 않는 이유 [21] 삭제됨14984 18/03/10 14984 3
63138 [배그] 2018 배틀그라운드 로드맵 발표(신규맵+리그+패치) [45] 자전거도둑12185 18/03/09 12185 1
63115 [히어로즈] 히어로즈 이런저런 이야기 "폭풍 특공대는 시공을 지킬 수 있을까" [14] 은하관제8641 18/03/03 8641 8
62817 [히어로즈] 히어로즈 이런저런 이야기 "메리 2017. 화끈 2018!" [25] 은하관제10351 17/12/25 10351 11
62772 [기타] 그래도 게임은 한다. [34] 세인트11893 17/12/14 11893 44
62627 [히어로즈] 히어로즈 이런저런 이야기 "2017 천하제일시공대회. 그 이후 이야기" [19] 은하관제6861 17/11/27 6861 2
61771 [히어로즈] 공포의 가시성 [46] 주인없는사냥개10060 17/08/10 10060 2
61597 [히어로즈] 히어로즈 이런저런 이야기 "감염된 제독. 그가 시공에 찾아옵니다." [22] 은하관제8660 17/07/11 8660 4
61135 [기타] H2 30랩 후기 (역시나 프야매 개발진.. 과금하지말자) [66] papaGom10444 17/04/14 10444 2
60547 [히어로즈] [스압] 실버에서 다이아몬드까지 2주일이면 충분하다 [41] Lustboy17512 16/12/30 17512 2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