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04/14 05:21:50
Name 니시노 나나세
Subject [LOL] LCK커리어 정리 (수정됨)
1위 페이커

7회우승 1회준우승

-13섬머 우승 (SKT1 K)
-13~14윈터 우승 (SKT1 K)
-15스프링 우승 (SKT1)
-15섬머 우승 (SKT1)
-16스프링 우승 (SKT1)
-17스프링 우승 (SKT1)
-17섬머 준우승 (SKT1)
-19스프링 우승 (SKT1)


2위 뱅기

5회우승

-13섬머 우승 (SKT1 K)
-13~14윈터 우승 (SKT1 K)
-15스프링 우승 (SKT1)
-15섬머 우승 (SKT1)
-16스프링 우승 (SKT1)


3위 프레이

4회우승 2회준우승

-12~13윈터 우승 (나진 소드)
-15스프링 준우승 (GE 타이거즈)
-16스프링 준우승 (락스 타이거즈)
-16섬머 우승 (락스 타이거즈)
-17섬머 우승 (롱주 게이밍)
-18스프링 우승 (킹존 드래곤X)


4위 뱅  울프

4회우승 1회준우승

-15스프링 우승 (SKT1)
-15섬머 우승 (SKT1)
-16스프링 우승 (SKT1)
-17스프링 우승 (SKT1)
-17섬머 준우승 (SKT1)


6위 고릴라  

3회우승 3회준우승

-14스프링 준우승 (나진화이트 쉴드)
-15스프링 준우승 (GE 타이거즈)
-16스프링 준우승 (락스 타이거즈)
-16섬머 우승 (락스 타이거즈)
-17섬머 우승 (롱주 게이밍)
-18스프링 우승 (킹존 드래곤X)


7위 피넛  마타

3회우승 2회준우승

>피넛
-16스프링 준우승 (락스 타이거즈)
-16섬머 우승 (락스 타이거즈)
-17스프링 우승 (SKT1)
-17섬머 준우승 (SKT1)
-18스프링 우승 (킹존 드래곤X)

>마타
-13스프링 우승 (MVP 오존)
-13~14윈터 준우승 (삼성 오존)
-17스프링 준우승 (KT 롤스터)
-18섬머 우승 (KT 롤스터)
-19스프링 우승 (SKT1)


9위 스맵

2회우승 3회준우승

-15스프링 준우승 (GE 타이거즈)
-16스프링 준우승 (락스 타이거즈)
-16섬머 우승 (락스 타이거즈)
-17스프링 준우승 (KT 롤스터)
-18섬머 우승 (KT 롤스터)


10위 칸

3회우승

-17섬머 우승 (롱주 게이밍)
-18스프링 우승 (킹존 드래곤X)
-19스프링 우승 (SKT1)


11위 데프트  다데

2회우승  2회준우승

>데프트
-14스프링 우승 (삼성 블루)
-14섬머 준우승 (삼성 블루)
-17스프링 준우승 (KT 롤스터)
-18섬머 우승 (KT 롤스터)

>다데
-13스프링 우승 (MVP 오존)
-13~14윈터 준우승 (삼성 오존)
-14스프링 우승 (삼성 블루)
-14섬머 준우승 (삼성 블루)


13위 고동빈

1회우승 4회준우승

-13섬머 준우승 (KT B)
-15섬머 준우승 (KT 롤스터)
-16섬머 준우승 (KT 롤스터)
-17스프링 준우승 (KT 롤스터)
-18섬머 우승 (KT 롤스터)


14위 블랭크

2회우승 1회준우승

-16스프링 우승 (SKT1)
-17스프링 우승 (SKT1)
-17섬머 준우승 (SKT1)


15위 쿠로

1회우승 3회준우승

-15스프링 준우승 (GE 타이거즈)
-16스프링 준우승 (락스 타이거즈)
-16섬머 우승 (락스 타이거즈)
-18스프링 준우승 (아프리카 프릭스)


16위 임팩트 피글렛 푸만두 마린 커즈 비디디

2회우승

>임팩트 피글렛 푸만두
-13섬머 우승 (SKT1 K)
-13~14윈터 우승 (SKT1 K)

>마린
-15스프링 우승 (SKT1)
-15섬머 우승 (SKT1)

>커즈 비디디
-17섬머 우승 (롱주 게이밍)
-18스프링 우승 (킹존 드래곤X)


@우승=2.5준우승


페이커는 이제 7번째 LCK우승을 차지하면서 넘사벽인 존재로 거듭남.
은퇴한지 3년이 다되가는 벵기가 아직도 2위.
비SKT소속으로 3위와 6위에 오른 프레이 고릴라도 대단하지만
LCK커리어를 정리하면서 느낀건 SK를 거쳐간 선수들의 커리어가 어마어마하다는 생각만 드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마데
19/04/14 05:37
수정 아이콘
넌 그저 하루하루 우승컵 모으는 기계일 뿐이지!

대단하다는 말로도 모자랍니다.
탐이푸르다
19/04/14 06:03
수정 아이콘
갑분고동빈 크크크
19/04/14 08:24
수정 아이콘
어제 페이커 기량보면서 참.. 전무후무한 선수입니다.
19/04/14 09:25
수정 아이콘
고동빈 4회 준우승은 콩보적이네요...
카르타고
19/04/14 09:48
수정 아이콘
그리핀 5인팟으로 무섭게 추격중입니다...
율리우스카이사르
19/04/14 12:31
수정 아이콘
섬머 준우승하면 그것도 대기록이겠네요
오안오취온사성제
19/04/14 09:57
수정 아이콘
뱅기 lck 5회우승 롤드컵 3회우승 준우승x 덜덜
트리거
19/04/14 10:32
수정 아이콘
페이커 진짜... 저정도 우승했으면 매너리즘에 빠질만도한데....
19/04/14 11:47
수정 아이콘
커리어로만 보면 블랭크가 스코어보다 위 아닐까요?
마법사9년차
19/04/14 12:32
수정 아이콘
1우승=2.5준우승으로 기준잡으셨다고 되어있으니
그러면 스코어는 6.5준우승, 블랭크는 6준우승이네요 크크
19/04/14 12:38
수정 아이콘
아 기준 잡으신 게 있군요...
비익조
19/04/14 11:54
수정 아이콘
이거 볼 때마다 벵기 간지가 가장 쩌는..크크
동굴곰
19/04/14 13:40
수정 아이콘
이지훈 빠졌어요
교자만두
19/04/14 14:37
수정 아이콘
skt t1이 맞긴한데.. skt1 도 되려나요
19/04/15 02: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후보 선수들의 우승 커리어는 어떻게 봐야 할지 모르겠네요. 벵기의 16스프링은 성적이 좋지 못했고, 블랭크의 17스프링과 커즈의 18스프링은 승률은 좋지만 출전 수가 너무 적죠. 하루나 작년 듀크의 롤드컵 우승도 인정하기 어렵고요. 개인적으로 서브 선수의 경우는 어느 정도의 출전 횟수 또는 플레이오프(롤드컵의 경우 토너먼트)에서의 충분한 활약이 있지 않으면 같은 우승 횟수로 여기긴 어렵다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533 [LOL] ESPN의 프레이 은퇴칼럼 - PraY's legacy in League of Legends nearly unmatched [43] 내일은해가뜬다25221 19/04/21 25221 67
65532 [LOL] 여러 가지 의미로 역대 최초의 승강전 [26] 비오는풍경12398 19/04/21 12398 0
65531 [LOL] 어나더레벨은 누구인가? -통계로 알아보기 [4] 다크템플러11727 19/04/21 11727 3
65530 [LOL] LCK 최초의 올스타팀이 모두 은퇴했습니다. [30] Leeka13013 19/04/21 13013 1
65529 [LOL] 2019 LMS 스프링 우승팀: 플래쉬 울브즈 [11] 비역슨9631 19/04/21 9631 0
65528 [LOL] 프레이 선수가 은퇴를 공식선언했습니다. [87] 내일은해가뜬다17623 19/04/21 17623 7
65527 [LOL] 원글이 삭제되어 본문도 삭제하겠습니다. [43] 삭제됨13594 19/04/20 13594 1
65526 [LOL] 어우슼이라는 말을 웃어넘길 유일할 팀 [26] 다크템플러13471 19/04/20 13471 1
65524 [LOL] 마지막 남은 메이저리그 결승, LPL 파이널을 앞두고 [67] 신불해17616 19/04/20 17616 76
65523 [LOL] 역대 MSI 히스토리 [13] Leeka9800 19/04/20 9800 1
65520 [LOL] 젠지 e스포츠 성환 윤성환 선수 영입 오피셜 [97] 키토13724 19/04/19 13724 1
65517 [LOL] 2019 MSI 주제곡이 공개되었습니다. [14] Leeka9686 19/04/19 9686 0
65516 [LOL] (S)KT가 승강전을 전승으로 뚫었습니다 [69] Leeka14228 19/04/18 14228 5
65513 [LOL] 아트록스 개편이 공개되었습니다. [65] Leeka12494 19/04/18 12494 0
65512 [LOL] RNG에 관련된 최근의 몇몇 이야기들 [78] 신불해27287 19/04/18 27287 96
65510 [LOL] 서머시즌에 개선되었으면 하는 MVP 제도 [17] Leeka11435 19/04/17 11435 13
65509 [LOL] 스프링 시즌 몇몇 선수에 대한 단평 2 [42] Vesta13145 19/04/17 13145 2
65508 [LOL] 재미로 보는 선수들의 다양한 분류? [31] Leeka9779 19/04/17 9779 1
65507 [LOL] 스프링 시즌 몇몇 선수에 대한 단평 [76] Vesta14222 19/04/17 14222 2
65505 [LOL] 높은 사일러스인기는 영구적일 것이다? [22] 고기천사9903 19/04/17 9903 1
65504 [LOL] MSI 패치가 적용되었습니다. [78] Leeka11484 19/04/17 11484 0
65500 [LOL] "누가 더샤이를 죽일 것인가" [202] 신불해24799 19/04/17 24799 12
65498 [LOL] SKT의 식스맨은 누구인가? [62] roqur11709 19/04/16 1170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