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05/07 12:31:22
Name 새우튀김
Link #1 https://www.leagueoflegends.com/ko-kr/news/dev/quick-gameplay-thoughts-5-6/
Subject [LOL] 큰거 온다 롤 12.10 내구력 패치 (수정됨)
3줄요약은 밑으로!
-------------------------------------------------------------------------------------------------------------------------------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전반적인 피해량을 줄이기 위해 12.10 패치에서 모든 챔피언의 내구력을 증가시키는 변경사항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다음의 능력치가 향상될 것입니다.

기본 체력
레벨당 체력 증가
레벨당 방어력 증가
레벨당 마법 저항력 증가
내구력을 올리게 되면 이와 관련된 게임 내 시스템도 증가한 내구력과 조화를 이루도록 조정해야 합니다. 유지력 감소와 내셔 남작, 포탑, 마나 재생 상향 조정 등이 이러한 작업에 포함되죠. 이 업데이트로 인해 게임이 어떻게 바뀔지 들여다보기 전에 어떻게 이러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고 왜 내구력 증가가 필요한지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내구력을 올리는 이유
개발자와 플레이어 모두 현재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챔피언이 가하는 피해량이 너무 크다는 것에 동의하고 있습니다. 피해량이 크면 게임이 재미있고 신나기는 하지만, 챔피언의 방어 능력치를 올리는 것은 적에게 대처하고 중요한 순간에 원하는 플레이를 연출할 더 많은 기회를 플레이어에게 제공함으로써 플레이어가 실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변경사항 자체에 대해 논하기에 앞서, 경기 시작 후 15분 동안 킬이 나오지 않는 메타를 만드는 것은 저희가 바라는 바가 아님을 분명히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의 현 상태에도 바람직한 점은 꽤 많습니다. 생존력이 낮은 것의 장점에는 킬이 많이 나오는 게임을 좋아하는 아주 많은 플레이어를 만족시킬 수 있다는 것, 프로 경기 메타가 더 흥미진진해진다는 것, 좋은 플레이에 대해 킬로 보상받는 것(단순히 적의 귀환을 강제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큰 보상이죠)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낮은 생존력에는 장점보다는 단점이 많습니다.

생존력이 낮으면 특히 생존력이 약한 캐리와 서포터가 대처의 여지가 부족한 상황에서 순식간에 죽을 수 있기 때문에 게임에서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기 힘든 경우가 너무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내가 너무 순식간에 죽어서 내가 어떻게 죽었는지 알기조차 힘들다면 게임의 명확성이 떨어지게 되고 이는 불만족스러운 경험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현재 패치에서는 위협적인 챔피언이 스킬의 일부만을 사용해 킬을 가져가 전투에서 과도한 보상을 받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상적인 상태에서는 플레이어가 자신의 챔피언으로 만족스러운 콤보(예를 들어 제드의 3표창)를 연출하려면 해당 챔피언에 대한 핵심 실력 테스트를 통과해야만 하죠.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실력 테스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내가 좋아하는 챔피언을 플레이할 때의 만족도가 훨씬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낮은 생존력의 또 다른 문제는 챔피언이 너무 빨리 죽는 갑작스럽고 혼란스러운 한타 및 소규모 교전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한타가 짧아지면 그 안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파악하기 힘들고, 플레이어가 영리한 선택을 하거나 실력을 발휘할 기회가 제한되며, 궁극적으로는 한타에서 연출되어야 할 챔피언의 판타지가 실현되는 멋진 대결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한타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가장 재미있는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저희는 플레이어가 게임의 향방을 바꿀 에너지 넘치는 5:5 한타에서 활약할 기회를 늘리고자 합니다.

12.10 패치로 바뀌는 것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빠른 페이스로 강도 높은 전투가 벌어지는 것이 최선이라는 저희의 생각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그 방향으로 너무 멀리 갔기 때문에 약간 뒤로 돌아가야 하는 것이죠. 특정 챔피언, 아이템, 시스템이 (근본적인 원인에 기여한 바가 있을지라도) 선을 넘었다고는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피해량의 특정 원천을 제거하거나 약화시키는 대신 전반적으로 내구력을 높이려고 합니다.

챔피언 내구력 업데이트로 게임이 어떻게 바뀔지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플레이어는 챔피언이 주고받는 피해량이 줄었다는 느낌을 받을 것입니다
폭발적인 피해를 입히는 챔피언은 더 많은 자원을 투자하거나 적보다 더 크게 앞서야 신속하게 킬을 따낼 수 있습니다
적 플레이에 대처할 여지가 커집니다
소규모 교전과 한타가 더 오래 지속됩니다
챔피언 내구력 이외에 다른 것도 조정됩니다. 전반적인 내구력 증가는 많은 파급효과를 일으킵니다. 특히 유지력은 챔피언이 폭발적인 피해를 받아 죽을 수 있는 역치에 도달하지 않게 하는 데 더 큰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에 유지력을 전반적으로 낮출 예정입니다. 저희가 예의주시하는 기타 부수적인 효과에는 맵 소요(내셔 남작 및 포탑)가 주는 피해량 감소, 챔피언 마나가 바닥나는 빈도 증가, 성장형 챔피언이 데스 없이 승리를 위한 조건을 갖추는 빈도 증가 등이 있습니다. 저희는 지난 몇 번의 패치에 걸쳐 더 잘 알려진 일부 변수를 선제적으로 조정했고 업데이트 이후에 발생하는 변수들도 계속해서 조정해 나갈 것입니다

이 업데이트의 영향을 받을 것이 분명한 챔피언군은 폭발적인 피해를 입히는 챔피언들입니다(꼭 암살자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죠). 저희는 여전히 챔피언이 폭발적인 피해를 입음으로써 죽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있지 않아야 할 곳에 있거나 플레이가 안 좋았을 때는 특히 더 그렇죠. 앞으로도 어느 정도 잘하고 있는 폭발적인 피해를 주는 챔피언은 핵심 실력 테스트를 통과한다는 조건 하에 모든 스킬을 써서 체력이 꽉 찼지만 생존력은 약한 챔피언을 죽일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런 챔피언이 극도로 앞서간다면(2 레벨 이상 차이 및/또는 수천 골드 차이) 스킬 일부만으로 다른 챔피언을 죽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핵심 실력 테스트를 몇 차례나 통과했기 때문이죠. 다만 앞으로는 얼마나 앞서 있느냐에 상관없이 폭발적인 피해를 주는 챔피언은 체력이 가득 찬 적을 죽이기 위해서 전보다 키를 한두 번 더 눌러야 할 것입니다. 저희가 이번 업데이트를 하는 의도는 폭발적인 피해를 주는 챔피언들을 과하게 하향 조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챔피언들이 바람직한 상태에 안착하도록 예의주시할 것입니다.

업데이트 후 모니터링
이러한 광범위한 내구력 변경사항 도입 후 저희는 해당 변경사항들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면밀히 지켜볼 것입니다. 탱커가 죽지 않거나, 폭발적인 피해를 주는 챔피언이 쓸모없어지거나, 프로 경기가 지루해지는 메타는 저희도 원하지 않기 때문에 앞으로 몇 주간 더 주의 깊게 역할군과 챔피언 밸런스를 모니터링할 예정입니다. 저희 목표는 모든 역할군이 쓸 만하고, 전술적인 전투의 바람직한 페이스로 인해 플레이어가 실력을 발휘할 수 있고, 스노우볼과 성장력 간 균형이 바람직한 상태에 있는 최선의 상황을 달성하는 것입니다.

저희는 12.10 패치의 이러한 변경사항에 기대를 걸고 있으며 이러한 변경사항이 도입되기를 고대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저희 게임을 플레이해주시고 의견 제시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협곡에서 뵙겠습니다!

-------------------------------------------------------------------------------------------------------------------------------

3줄요약
1. 전체 챔피언 내구력 향상
2. 전체 챔피언 유지력 감소
3. 포탑 및 바론 데미지 향상

프리시즌을 뛰어넘는 대격변급 패치가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롤의 데미지 인플레이션이 심화된지 벌써 3~4년은 되었다고 생각하는데 실제 이 변화들이 인게임에서 어떻게 다가올지 긍정적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eague of Legend
22/05/07 12:35
수정 아이콘
good bye draven
MSI에서 누가 좀 써줘라
wersdfhr
22/05/07 12:36
수정 아이콘
수치가 얼마냐에 따라서 다르긴 하겠지만 라이엇 패치능력을 고려할 때 딱봐도 후폭풍이 엄청날 것 같은데요;;

오버워치가 1에서 2로 바뀐거보다 훨씬 클듯;;
새우튀김
22/05/07 12:39
수정 아이콘
일단 크다는건 확실합니다 크크
이웃집개발자
22/05/07 12:36
수정 아이콘
이런식이면 돌고돌아 탱챔이 도태되는 시나리오로 갈거같긴한데 머 재미만있음 됐죠
띵호와
22/05/07 12:37
수정 아이콘
딜탱과 원딜의 시대가 오겠군요.
The)UnderTaker
22/05/07 12:39
수정 아이콘
특정챔피언들 과한 흡혈부터 좀 없애지 싶네요
22/05/07 12:40
수정 아이콘
드디어 원딜의 시대가 오는건가
파란무테
22/05/07 12:41
수정 아이콘
와 마이 야스오 제드 이렐 이런거에 한콤 안당하면 할만하죠
심해의 주적들
Cookinie
22/05/07 12:41
수정 아이콘
현상금 문제를 이런 식으로 해결하네요. 잘 큰 상대는 레벨이 더 높을테니 지금보다 더 안 죽겠군요.
코우사카 호노카
22/05/07 12:44
수정 아이콘
요즘 탱커들도 참피마냥 태애애앵 하고 죽는 시대라서
그래도 바뀌는거 좋네요
우스타
22/05/07 12:44
수정 아이콘
탱커메타가 오는 거까진 아니더라도, 적어도 여태까지의 탱커배제메타는 조금 벗어날 수도 있겠네요.
파란무테
22/05/07 12:44
수정 아이콘
롤인벤펌
전 챔프 대상 
기본 체력 +70 
성체 + 14 
성방 +1.2 
성마저 +0.8 

18렙 기준 체력 308 방어 20.4 마저 13.6씩 증가 
거기에 치감 60퍼는 50퍼로 
치감 40퍼는 30퍼로 너프. 
정복자 힐량 9-6%에서 8-5%로 
선혈 10%에서 8%로 
멜모도 12%에서 10% 
균열, 월식 8%에서 7% 
등등 피흡템들 싹 다 추가 너프. 
방관 마관템들도 싹 다 너프 
보이드 하위템(15퍼에서 13퍼로) 
보이드 40퍼로 
라위 18퍼로 
도미닉은 30퍼로 

아이템 너프
썬파(태불방)뎀은 스택당 12퍼에서 스택당 10퍼 (최대 12퍼너프) 
문스톤(월석) 힐 30퍼에서 25퍼 
데모닉(악마의포옹)) 퍼딜도 2퍼가 1.8퍼(밀리) 1.2퍼(레인지)는 유지
ap 마젠 버프
서폿 파란색 최종템 (영문명 Shard of True Ice) 마젠 100%에서 115%
도란링 초당 0.75/1.25에서 1.0/1.5로

바론 딜도 버프
바론 공격력은 
125(분당 8증가)에서 150(분당 10증가) 
최대 데미지는 435에서 520으로 
부패피해는 60+20%ad에서 70+20ad로 

포탑 딜도 버프 (다이브 방지 용도인듯)
1차 152-278에서  167-391 
2차 170-305에서 187-427 
억제기 170-305에서 187-427 
쌍둥이 150-285에서 165-405

아직 완전 확정된 내용은 아닙니다
이브이
22/05/07 12:44
수정 아이콘
스탯 패치면 구도 안변할거 같은데 템,흡혈도 조정하겠죠?
다시마두장
22/05/07 13:11
수정 아이콘
네, 전반적으로 유지력(힐, 흡혈)쪽을 너프한다고 합니다.
22/05/07 12:45
수정 아이콘
또넥톤 또바나 시대 같은 느낌이면 좋을 듯..
22/05/07 12:45
수정 아이콘
피지컬 떨어져서 존야도 못 쓰고 끔살당하기 일쑤라 반가운 패치네요 크크크
22/05/07 12:46
수정 아이콘
스탯 자체 변동으로 탱커가 많이 나올까 싶긴 합니다만, 타워 데미지 패치가 엄청 커보이네요.
22/05/07 12:48
수정 아이콘
근데 이내용이면 프리시즌 대격변패치급인데 이런걸 시즌 중간에..
22/05/07 12: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패시브나 스킬 자체가 유지력인 챔프들은 어찌 될런지...

체젠이나 회복 자체를 줄이는 방향으로 가겠죠?

너무 탱커 득세가 되지 않도록 곧 아이템의 체젠도 대폭 너프 되지 않을까 싶네요
파란무테
22/05/07 13:08
수정 아이콘
네 다 조정됩니다
조말론
22/05/07 12:53
수정 아이콘
이래서 롤이 오래가니까 데이터가지고 잘 조정한 결과이길 바랍니다
22/05/07 13:01
수정 아이콘
죽창도 나름 재미있긴 했는데 라이엇치고 너무 오래두긴 했어요
저도 오래 싸우고 싶었음

근데 라이엇이 죽창 유지하고 탱커 쓰레기 만든 근본적인 이유는 프로게임 때문이라고 봐서 어찌될지 모르겠네요

말자하 아우솔같이 오래 싸울수록 힘받는 메이지들한테도 기회가 올 듯?
달은다시차오른다
22/05/07 14:18
수정 아이콘
아우솔 전면 리메이크 예정이라서..
미카미유아
22/05/07 13:05
수정 아이콘
정복자 였나 킬하면 체력 차는거 이거나 없앴으면 좋겠네요
새벽목장
22/05/07 13:10
수정 아이콘
승전보일껄요?
Cazorla 19
22/05/07 13:14
수정 아이콘
서머엔 또 다른 느낌의 게임이겠네요
22/05/07 13:18
수정 아이콘
진짜 블라디 케일의 시대가 오나?
22/05/07 13:25
수정 아이콘
프리시즌급 패치네요. 시즌 중에 이렇게 손댄 적이 있나 싶은데..
22/05/07 13:32
수정 아이콘
몇년전 미드시즌 패치때 전사 리메이크 했었나 했는데, 그때랑 비슷한거 같아요.
MiracleKid
22/05/07 17:21
수정 아이콘
작년에도 이맘때 이동 속도 효과를 전체적으로 크게 손보기는 했습니다.
눕이애오
22/05/07 13:46
수정 아이콘
수치를 직접 체감해봐야 알겠지만 이러면 리그에서도 앗 하는 순간 죽어버리는 슈퍼 플레이는 덜 나올 거 같네요.
막상 이렇게 패치하면 또 다르겠지만 시즌3 때 마냥 눈뜨고 목 베이는 거 그리운데 프리시즌이라도 한 번 보고 싶습니다.
이번 시즌 그나마 잘 누운 코르키가 그런 느낌이었나 싶기도 했는데 겜 자체는 또 지루해졌던 거 보면 패치 방향은 어렵네요.
마포구보안관
22/05/07 14:03
수정 아이콘
시즌 패치급 패치를 서머 직전에!
달은다시차오른다
22/05/07 14:16
수정 아이콘
왜 지금에 와서 하냐 그러시는 분들이 신기한 게 라이엇 얘네 항상 서머전에 대격변 패치 맨날 해왔는데요...

암살자 브루저 패치 다 시즌 중간에 다했어요..
취급주의
22/05/07 14:27
수정 아이콘
내구성 패치는 무조건 환영이고 이제 신화템만 건들면 되는데...
반찬도둑
22/05/07 14:36
수정 아이콘
세상에 카이사 w 2번 맞고 죽거나 코르키 궁 2번 맞고 죽는게
말인지 방군지 크크
Extremism
22/05/07 14:47
수정 아이콘
옆동네 누구처럼 이정도 패치만 되어도 2달고 재출시하던데 롤2로 출시해보심이? 크크크
딜러들이 상대 딜러를 순삭 시키는 한타 구도 나오면 게임이 끝나는 수준으로 확 기우는 구도가 덜 해질련지. 딜러들이 더 좋아지고 탱커들이 지금보다 더 기를 못 필 것 같은데
탱커 상향을 더 해줄려나? 그런데 그러면 정작 대회 게임은 보는 맛이 떨어지고... 부활 시간 줄이기, 넥서스 체력 증가는 필요하다고 보는데
1등급 저지방 우유
22/05/07 15:05
수정 아이콘
새로만드는 챔프는 스킨 팔아먹으려고 압도적 성능에 이것저것 짜깁기해서 출시하니까
오래된 챔프는 더더욱 비교되는 것도 있는거같아요
보면 말많은 부분은 신챔에 가깝거나 하는 식이더라구요
22/05/07 15:09
수정 아이콘
이렐리아 너무 심했죠..
22/05/07 17:17
수정 아이콘
이렐 아칼리는 좀만잘크면 하는입장에서도 뭐이리 쌔지? 왜안죽지? 왜 적이 죽지? 하는 딜을 보여주긴해서
반니스텔루이
22/05/07 17:19
수정 아이콘
미드시즌 대격변하면 그래도 역시 원딜들 나락보내고

대 비원딜 시대 만든 임팩트가 넘버원 크크
니시무라 호노카
22/05/07 18:22
수정 아이콘
초보들 유입용일까나요?
22/05/07 18:52
수정 아이콘
오..원딜 유저들은 이후 변화를 주의깊게 살펴볼 만하네요. 아무리 잘 커도 상대 평범하게 큰 암살자나 브루저 우연히 스치면 죽음 혹은 사망이니 참 힘들긴 했죠. 메타가 어떻게 변할지는 궁금하네요.
다레니안
22/05/07 19:49
수정 아이콘
메이지가 브루저/암살자를 라인에서 3번 잡아도 030브루저가 스킬 한번 들어가면 메이지 잡을 딜이 나온다는게 너무나 당연시 되고 있었죠. 크크크
성큼걸이
22/05/07 20:18
수정 아이콘
워낙 큰 패치라 어떻게 될지 봐야할거 같긴한데 방향성 자체는 맞는방향인거 같습니다.
탈카키, 아칼리, 제드같은게 솔랭에서 설치는건 결국 킬먹기 너무 쉬워서 그래요
Polkadot
22/05/08 05:35
수정 아이콘
암살자가 수그러들면 롤을 쉬어야겠군요 그동안 꿀빨았는데..
황제의마린
22/05/08 12:41
수정 아이콘
흠.. 이러면 탱이 의미가 있을려나요 ??
22/05/08 13:14
수정 아이콘
하긴 요새 풀피킬각이 만연하긴 했어요. 스킬 하나 못피했는데 킬각이라니 너무 불합리하죠
22/05/08 14:56
수정 아이콘
암살자좀 약해지게..
22/05/09 12:55
수정 아이콘
지금 원딜은 그냥 라인 지우게 할 수 있는 역할만 하다 끝나는 느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6711 [LOL] 최우범 감독이 밝힌 약팀의 속사정 [55] prohibit18331 23/02/18 18331 11
76498 [모바일] [카운터 사이드] 각성 유닛 - 역신베기 나나하라 치후유 캬옹쉬바나7875 22/12/31 7875 0
76444 [LOL] [개발 인사이드] 유미의 문제와 향후 업데이트에 관하여 [46] OneCircleEast13623 22/12/17 13623 1
75966 [모바일] [말딸] 우마무스메 개선 TF의 마지막 공지가 있었습니다. [29] 우스타10079 22/11/09 10079 4
75876 [LOL] LPL의 박도현 선생님 관련 썰 & 여러 썰 다수 [51] Leeka14560 22/11/04 14560 1
75414 [모바일] 우마무스메 책임자 교체 및 간담회 이후 진행 상황 안내 [81] 아따따뚜르겐13849 22/09/21 13849 3
75396 [LOL] (스압) 담원 간담회 받아쓰기 내용이 있어서 가져왔습니다 [43] EpicSide17976 22/09/17 17976 4
75384 [모바일] [카운터 사이드] 개발자노트 40편 신규 콘텐츠 소개 및 개선 사항 안내 [2] 캬옹쉬바나8842 22/09/15 8842 0
75292 [LOL] 라이엇 아케인 에미상 최우수 애니메이션 상 수상 [17] 카트만두에서만두11310 22/09/04 11310 0
75240 [PC] 와우 클래식 : 리치 왕의 분노의 사전패치 소리분이 오늘 2시에 시작됩니다. [57] 유지태.10018 22/09/01 10018 0
75216 [LOL] K/DA 팝스타와 MORE의 차이점 - 아케인 뒷이야기 [27] 카트만두에서만두9054 22/08/30 9054 11
75115 [LOL] 이스포츠매니저 성장 요소 + 과금요소 이야기 [5] Leeka6492 22/08/22 6492 1
75012 [LOL] 이스포츠매니저 호감도 작 가능한 선수 21명 리스트 [2] Leeka6471 22/08/16 6471 0
74783 [LOL] 데프트, 쿼드라 킬. 단 하나의 킬이 모자른. 쿼드라 킬. 데프트. [12] 펠릭스8547 22/07/23 8547 12
74782 [PC] 신장의 야망 혁신: 불심으로 대동단결 편 -4- [3] 아발란체4791 22/07/23 4791 12
74778 [PC] 신장의 야망 혁신: 불심으로 대동단결 편 -2- [4] 아발란체5047 22/07/22 5047 13
74777 [PC] 신장의 야망 혁신: 불심으로 대동단결 편 -1- [17] 아발란체6963 22/07/22 6963 14
74640 [PC] 썸에이지 '크로우즈' 스트리머 파티 개최 [4] 맛똥산4825 22/06/29 4825 0
74632 [모바일] [카운터 사이드] 7월 주요 업데이트 안내 [2] 캬옹쉬바나5049 22/06/28 5049 1
74584 [모바일] 오늘 발매하는 우마무스메 한국섭과 관련한 이야기 [53] 류지나8337 22/06/20 8337 14
74490 [뉴스] OP.GG OGN 인수 완료 [30] SAS Tony Parker 11763 22/06/03 11763 0
74421 [기타] [얼리] V rising 팁들 [4] 겨울삼각형16817 22/05/27 16817 0
74309 [LOL] 큰거 온다 롤 12.10 내구력 패치 [49] 새우튀김10201 22/05/07 10201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