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06/05 23:28:46
Name Riina
Subject [오버워치] [OWL] 2023 오버워치 리그 6주차 리뷰
오버워치 리그의 스프링 스테이지 마지막 주 리뷰입니다.


동부 넉아웃 3주차 - 그러나 이 사진이...

88f848x.png

마지막 조 동부에서는 A조와 B조 패자 결승과 최종 진출전, 총 4경기를 진행했습니다.
A조 첫 경기 광저우 차지 vs 드리머즈 경기에서는 드리머즈의 리거 선수 기용이 톡톡히 효과를 봤습니다.
첫 맵을 광저우가 일리오스로 선택하면서 쟁탈에서는 러시만 했던 드리머즈를 견제함과 동시에 피기에게 자신있어하는 디바를 쥐어주는 수를 뒀습니다.
하지만 디바를 들고 나온 리거가 의외의 활약을 펼치면서 1세트와 3세트를 가져오면서 광저우의 경기 플랜을 완전히 망가뜨렸고,
광저우의 승리를 위해서 가장 중요했던 지미의 한조가 퀄리파이어 때와는 다르게 침묵하면서 드리머즈가 광저우를 3:1로 잡아냅니다.

B조의 댈러스 퓨얼 vs O2 블래스트 경기 역시 O2의 우세를 점쳤던 대다수의 예상과는 다르게 진행됐습니다.
우승 경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저평가를 받아왔던 스파클-에디슨 두 딜러가 컨텐 최강을 자랑하는 O2의 딜러를 상대로 밀리지 않았고,
댈러스의 기둥인 한이 리얄토에서 치명적인 실수를 했음에도 이를 커버해내면서 댈러스가 2:1로 먼저 매치포인트에 도달했습니다.
그래도 4세트에서 O2가 70m 가량을 앞서면서 무난하게 5세트를 가겠거니 했는데...
댈러스 특유의 박자로 들어오는 공격에 O2 선수들이 당황했는지 평소같지 않은 무리한 플레이가 많이 나오면서 거의 동률이 됐고,
마지막 한타에서 댈러스의 블리스의 루시우가 상대 루시우의 비트를 밀쳐서 캔슬하는 슈퍼 플레이를 하면서 댈러스가 3:1로 게임을 가져갔습니다.

A조와 B조 모두 예상외의 업셋이 일어났고, 업셋을 한 팀의 경기력이 나쁘지 않아서 위의 팀들도 좀 긴장을 하겠거니 싶었는데...
최종 진출전에서는 거짓말같은 0:4 참패를 당하면서 항저우 스파크와 서울 인페르날이 일산 킨텍스 행을 확정지었습니다.
패배한 팀들이 이길법한 순간이 거의 없었을 정도로 일방적인 경기였고, 4선승제 2경기가 4시간만에 끝났습니다.


서부 넉아웃 리뷰

GnIIOWU.png

한편 서부에서도 MSM 진출팀 두 팀을 결정하기 위한 넉아웃이 진행됐습니다.
쇼크가 오리사-모이라-키리코라는 굉장히 뒷라인 생존에 치중한 조합을 들고 나오면서 밴쿠버를 상대로 이겼고,
뉴욕도 꽤 팽팽했던 접전 끝에 토론토를 3:1로 꺾는 업셋을 만든 것을 제외하면 큰 이변 없이 진행됐습니다.

보스턴 업라이징, 일명 디케이 성불 원정대는 몇 번의 위기가 있었지만 그 때마다 베테랑의 품격을 보여줬습니다.
총 그랜드파이널 우승 횟수 8회를 거저 딴 것이 아니라는 것 처럼 말이죠.
산전수전 다 겪은 베테랑들만 있는 팀인데다가, 폼이나 팀합이나 모든 것이 점점 올라오고 있는 것 같아 강력한 다크호스가 될 것 같습니다.

플로리다 메이햄은 첫 경기에서 글래디에이터즈에게 셧아웃을 당하고 쇼크에게 첫 세트를 내줄때만 하더라도 탈락하는 줄 알았는데,
맨 밑에서 살아남아 MSM 행 마지막 티켓을 따냈습니다.
특히 글래디 전 4세트에서 메리트의 어이없는 실수(솜브라로 은신 해제를 안해서 터치를 못함)로 패배하면서 역스윕 위기에 처했는데도
아무일 없었다는듯이 5세트를 이기는 것을 보면서 진짜 강팀이구나 싶었습니다.

LA 글래디에에터즈는 보스턴과 플로리다에게 연이어 패배하면서 마지막 한 고비를 못 넘기고 탈락했습니다.
플로리다 메이햄하고 이번 시즌 상대 전적은 2:2인데, 하필이면 패배한 두 경기가 프로암 결승하고 이번 최종 진출전이라...
개인적으로는 단테 선수 사인을 받고 싶었는데, 아쉽게 됐습니다.

워싱턴 저스티스는 퀄리파이어때와 마찬가지로 결국 힐러진의 불안함이 발목을 잡았습니다.
FDGOD은 데뷔할 때만 해도 엄청 센세이셔널 했는데, 커리어가 계속될수록 점점 하락세인것 같습니다.
비트 각만 좀 더 잘 봤어도 보스턴이라는 대어를 낚을 수도 있었던 것 같았었는데...

샌프란시스코 쇼크는 그래도 처참했던 퀄리파이어에 비하면 많이 회복을 했습니다.
그래도 뭔가 시즌 초에 기대했던 쇼크와는 거리가 많이 먼 것 같습니다.
맥스, 준, 희상 셋 모두가 컨텐때의 폭발력이 없고, 핀과 다임 두 힐러도 소포모어 징크스에 빠진 것 같아서...
쇼크 아카데미인 O2블래스트 선수들이 대거 LFT(Look For Team)을 올렸는데, 콜업이라는 수를 꺼낼지가 궁금해지네요.

뉴욕 엑셀시어 역시 점점 발전중입니다.
여전히 상위권 팀과 비비기에는 조금 거리가 있어보이지만, 시즌 초 기대에 비하면 선방중입니다.
서머 스테이지까지 아직 기간이 한참 남았는데, 메타에 따라서는 좀 더 치고 올라갈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밴쿠버 타이탄즈는 기대만큼의 성적은 아니었습니다.
샌프란시스코 쇼크 상대로의 연패 기록도 더 늘어났고요.
상대의 오리사 조합이나 루시우 모이라에 대처를 제대로 못하면서 쟁탈 두 세트를 내준 것이 치명적이었는데,
그건 일종의 천재지변에 당했다고 생각해야하지 않나...

토론토 디파이언트는 여전히 좋지 않았습니다.
명색이 미국 국가대표팀이고, 몇 년 동안 컨텐더스에서 무패 행진을 기록하면서 함께 뛰던 선수들인데 어떻게 이 성적이 나오는지 신기합니다.
이번 옵드컵에서 미국이 4강도 못 가는 일이 벌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인데,
6월 말에 있을 옵드컵 예선이 뭔가 반등의 계기가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이제 MSM까지 단 2주 남았네요.
정말 오래간만에 열리는 한국에서의 오버워치 결승전이니만큼 무척 기대가 됩니다.
올라온 6팀 모두 우승 경험이 없는데, 과연 누가 첫 우승을 차지할지... (플로리다의 프로암 우승은 뭔가 이벤트전 취급을 받더라고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ina Inverse
23/06/06 02:12
수정 아이콘
뉴욕이 토너에서 1승을 챙기다니 요즘 보는맛 있더군요 동부는 리거팀들이 좀 아쉽네요
23/06/06 12:55
수정 아이콘
뉴욕도 LGBT로 어그로는 잔뜩 끌었지만 생각보다 괜찮은 로스터를 만들었죠. 렙이 너무 구멍 느낌이 많이 나는것만 제외하면 충분히 중상위권 경쟁구도에 한 발 올려놓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실제로 퀄리파이어에선 워싱턴을 셧아웃하기도 했고...

상하이나 다이너스티나 광저우 모두 지금의 로스터로는 한계에 부딪친 것 같습니다. 이번에 컨텐 팀들에서 LFT가 많이 나왔는데, 여기서 전력을 업그레이드해야하지 않을까 싶어요. 최근에 블리자드가 모든 리그팀들이 가지고 있는 가입비 부채를 전부 제거해줬다는 기사가 나왔는데, 팀들이 좀 더 투자할 여력이 생길수도 있지 않을까 행복회로를 굴려봅니다.
유나결
23/06/06 09:54
수정 아이콘
인페르날 경기 감동적이었습니다. 특히 mn3가 시야가 정말 좋더군요. 팀원이 위기에 빠지면 바로 가서 케어해주는게 미쳤습니다. 그리고 솔직히 그동안 맥 저평가했거든요. MN3 제스트 스큐드 픽사가 팀원인데 탱커가 못해보일수가 있나? 근데 어제는 한버지 상대로 안밀리더라고요. 특히 무슨 영웅을 꺼내도 다 그럴듯하게 잘 해내는 영웅폭이 인상적이었습니다.
23/06/06 12:46
수정 아이콘
매그도 컨텐 평정하고 워싱턴 입단했을 때만 해도 엄청 기대받는 유망주였죠. 매그와 뮤즈 둘 중에 신인왕이 나온다는 예측이 지배적이었고요. 막상 워싱턴과 토론토에서는 데뷔때 기대만큼 활약을 못해서 저도 그렇게까지 고평가는 안했었는데, 이제는 S티어 탱커로 불러도 손색이 없을 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8401 [LOL] 피넛이 자르반을 못할 리가 없다 [105] qwerasdfzxcv14365 23/11/03 14365 23
78368 [LOL] 생애 최초 e스포츠 직관 후기 - 2023 LoL 월드챔피언십 스위스 스테이지 5라운드 [3] 붉은벽돌7165 23/10/31 7165 6
78360 [LOL] 8강 진출팀에 대한 간단한 인상과 8강 예상 [58] Bronx Bombers19303 23/10/30 19303 7
78359 [LOL] 스위스 스테이지 퍼스트팀 & 후니 해설에 대한 개인 의견 [88] 포테토쿰보11448 23/10/30 11448 2
78353 [LOL]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인상깊었던 외국 선수들 [29] Leeka10217 23/10/30 10217 4
78332 [LOL] 오늘 T1 경기력에 감탄했습니다. [77] 종말메이커13799 23/10/28 13799 8
78267 [LOL] LPL 4승 0패, LCK 2승 2패, 유럽의 희망 지투! - 1일차 결과 [43] Leeka9800 23/10/19 9800 3
78256 [PC] 카이로소프트 유니티 번들 플레이 후기. [10] 라라 안티포바7189 23/10/18 7189 7
78164 [모바일] 랑그릿사 모바일 리세마라 방법! 지금 시작하세요 [86] 통피9918 23/10/03 9918 7
78155 [LOL] [펌글] 야마토캐논의 월즈 팀 티어리스트 및 평가 (feat. LCK+LPL+G2) [42] 아롱이다롱이10820 23/10/02 10820 2
78150 [콘솔] [다이의 대모험 인피니티 스트랏슈] 올해의 KOTY 강력후보 등장 [62] Nacht9711 23/10/01 9711 9
78124 [PC] 약스포)사이버펑크2077 팬텀 리버티 리뷰 [11] 만찐두빵8325 23/09/27 8325 0
78060 [발로란트] 13일까지의 퍼시픽 이적시장 현황 [6] 말레우스6380 23/09/14 6380 1
77949 [모바일] 림버스 컴퍼니(프로젝트문) 회사 사태는 아마도 부당해고가 아니었습니다? [40] 토루10174 23/08/31 10174 9
77926 [LOL] 비시즌 이벤트로 LCK 해설컵 하면 어떨까요? [55] BitSae8583 23/08/28 8583 1
77913 [PC] [아머드코어6] 입문자 관점에서 느낀 최고의 액션게임 [31] Kaestro7791 23/08/26 7791 4
77700 [LOL] 흐름 타고 정리해보는 2023 LCK CL Summer 정규리그 [5] 비오는풍경6896 23/08/06 6896 4
77664 [LOL] [펌]장문, 번역) 김몬테와 부찌울프가 뽑은 LCK 올프로 [110] 1등급 저지방 우유10516 23/08/01 10516 3
77634 [기타] 광기의 마사토끼 게임 3연작.. [18] Restar11284 23/07/28 11284 5
77625 [LOL] LPL 10대 레전드, 루키&재키러브. 인천 듀오의 한타 [21] Leeka10381 23/07/27 10381 3
77624 [오버워치] [OWL] 2023 오버워치 리그 서머 스테이지 2주차 리뷰 [8] Riina7325 23/07/27 7325 0
77590 [디아블로] 새 시즌은 강령으로? [28] 리테9109 23/07/21 9109 1
77525 [LOL] 주관적인 LPL 서머 올프로 선정 [26] gardhi9013 23/07/09 9013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