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05/22 14:07:15
Name Hypnosis
Subject [일반] 패스트치킨 전략에 대해.
질게에도 어제 올렸던 패스트치킨 전략에 대해 정말 뭣같은 필력이지만 몇글자 적어보고 싶었습니다.
사실 자게에 글을 올리는게 저처럼 몇년단위에 한번인 회원분들도 많으시니.. 없던 용기라도 한번 내서.

이미 치밍아웃한데로 저는 치킨집 점주입니다. 다 아실만한 브랜드에 30대초반 젊은 총각 점주입니다.

올해초 메이저브랜드 교육담당자와 길게 이야기 나눌 시간이 있었습니다.
"요즘 치킨시장은 갈수록 젊고 빨라진다. 교육생중에 13년도에 19살도 들어왔다"
사실 저도 젊습니다. 제 영업구역안에 아마 100개 이상의 치킨집이 있을겁니다.
그중에 저도 상위5프로 안짝의 젊은편인데.  저보다 더 젊고 어리고 체력좋은애들. 물론 경험이나 노하우부분은
따라올수 없겠지만. 새로운 라이벌들이 무한정 생겨나는 치킨시장에서 적이 젊다라는것만으로도 크나큰 위협이죠.
저와 같은 브랜드의 옆 3동네 사장님들. 모두다 40대중~50초 이십니다.
밑에 논란이되었던 사실 권리금을 다들 기본적으로 어느정도 내시고 들어오신분들인데.
대부분이 권리금이 반토막이 났습니다. (아래 리쌍의 바닥권리금과는 다른성질입니다. 프랜차이즈 양도양수에 관한권리금)
다른 통닭집들이 점점 침공해오는 사이에 새로운문물을 받아들여서.
있는것들을 지켜내셔야했는데 그런부분들이 다 부족하셨죠. 신메뉴를 본사서 전략적으로 밀어도.
자기는 지금까지 잘해왔는데 왜그러느냐 하고 지사와 다퉈버리고...
배달의 민족이나. 전단지의 힘을 무시한결과죠..
사실 같은 브랜드의 적은 같은 브랜드라서 그분들의 몰락이 저한텐 힘이되기때문에..
좀 잔인하다고 말씀하셔도 좋습니다만. 세상사는게...
물론 프랜차이즈마다 저마다의 상권을 보장해주는데도 있습니다만. 자기 밥그릇만 먹고는.
절대 배가 못부릅니다. 옆집것도 뺏어먹어야죠.

위쪽에 잠깐적었던.. 여러분들의 집. 여러분들이 산골또는 시골에 살고계시지않는한.
오토바이로 10분거리에 100개이상의 치킨집이 있을것이라고 자신합니다.
이바닥은 이미 포화상태에요. 그래도 뭣모르는 분들이 유입되서 본사 배를 먹여살려주죠.
사실 프랜차이즈는 창업과 광고서포팅만 도와줄뿐 실질적인 운영을 도와주진않습니다.
대부분의 메이저 프랜차이즈 치킨 가맹교육 길어도 일주일안에 끝납니다.
일주일안에 가게운영 전체를 배울수있을까요? 저도 가맹교육을 받아봤지만.
저는 3일이었습니다. 저를 빼고는 모두다 신규오픈이셨죠. 그분들의 열심히 하겠단 초롱초롱한 눈망울에
정마담마냥 "여긴 지옥이에요 등x아" 해줄수없어서 사람좋은 웃음만 짓다나왔죠..
3일동안 치킨역사에 대해 공부하고 서비스교육받고 보험교육받고 치킨조리법배우고 등등등...
뭐 3일이지만 잘할분들은 잘 하시겠지만. 글쎄요 모두가 잘할지는...
물론 전략적으로 꾸준히 공부해서 들어오신분들은 뭔가 다릅니다. 살아남고 커나가죠.
준비안하고 돈만 싸들고 들어오신 나이드신분들,인생대충 편하게 사실려는분들. 돈 날리고 나가는일 허다합니다.
물론 창업비용은 뽑겠죠. 사실 적게벌어서 문제지 메이저브랜드라면 잘 망하지도 않습니다.
다만 창업비용을 뽑는데 얼마의 시간이 걸릴지는 순수히 자신의 역량입니다. 그 누구도 밥 떠먹여주지않습니다.
적자생존.. 세상의 이치니까요.

그리고 벌이에관해서..
제 순수입이 대기업 대리~과장급정도 됩니다. 사실 실수령액은 조금 더 많습니다. 공제가 없기때문에.
그런데 제가 광역시권 지사4위 정도매장인데.. 저희 지사가 관리하는매장이.
40개 정도 됩니다.. 그럼 나머지 36매장분들은 저보다 못버시겠죠.. 이이상 자세한설명은 생략합니다.
대기업이야기가 나와서 말인데.. 저 평균 한달에 하루쉬고(못쉬는날도 있고) 14시간이상 근무합니다.
저는 없고 치킨집점주만 있습니다. 여가 문화생활 잊어버린지 오랩니다. 쌓여가는 통장잔고와, 은행직원들과의 노가리가 여가생활이죠.
저랑 비슷한 랭크에 계신 점주분들 거의 다 저랑 생활이 비슷하실거라고 봅니다.
물론 다. 정말 다 결혼하셨기때문에. 저랑은 비교될 부분이 다르긴하겠지만요.

더 적고싶은말이 많긴했지만.. 영업준비도 해야하고.. 필력도 딸리고해서.. 일단은 이만 각설하고..
이글은 리플로써 또 완성해보도록하겠습니다. -_-;;;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살찐개미
13/05/22 14:11
수정 아이콘
대기업 대리~과장 정도면 갭이 큰데요? 흐흐

통장에 찍히는 실수령액이 얼마인가요~
Hypnosis
13/05/22 14:12
수정 아이콘
아 미스네요. 과장이라고 하면 너무 크군요-_- 대리위의 직급이 뭐였죠 여튼 그쯤입니다.
제 주변친구 대기업수준이라 그것도 편차가 크겠군요. 딱히 기업이름을 거론해도 편차가 생기는판에..
다시 수정들어갑니다. 실수령액은 편차가 큽니다. 비수기 성수기가 명확하기 때문이죠. 못버는달은 못벌고 잘버는달은 잘벌죠.
마진율 보통 25~30퍼 정도 봅니다. 년매출 3억평균찍습니다. 이이상 자세한설명은 생략.
13/05/22 14:51
수정 아이콘
3억 매출에 30% 남기면....대기업 과장이 그 돈을 받나요? 덜덜덜
Hypnosis
13/05/22 15:59
수정 아이콘
기업따라 편차가 너무 크죠 사실.. 주변의 의느님 친구와 동생둘이 있는데 편차가 너무 커서.
오해하게 적어서 죄송합니다.
그냥 대충 짐작하시라고 퍼센티지로 적은겁니다.
네랴님
13/05/22 14:14
수정 아이콘
전 빵집인데 역시 치킨집도 비슷하군요..-_-...
Hypnosis
13/05/22 14:19
수정 아이콘
프랜차이즈시장 자체가 다 고만고만하죠.. 편의점 치킨 피자 커피 다를바가 없습니다..
네랴님
13/05/22 14:23
수정 아이콘
그래도 제과점 교육은 꽤 긴편이고 시험도 있는데 치킨집 교육은 좀 너무하군요 ㅠㅠ
Hypnosis
13/05/22 14:33
수정 아이콘
같이 교육받으시는 한푼두푼모아서 부부끼리 창업하시는...
해외에서 열심히 벌어서 한국에서 뿌리내려볼려는 젊은 형제들에게..
차마 여기 교육과 현실은 다르다 라는 말을 못하겠더군요..
그래도 나름 현실 시장을 3일동안이나마 저를 통해 보여줄려고 노력했다 라는것만으로 정신위안 삼고있습니다.
13/05/22 14:15
수정 아이콘
Hypnosis님 하시는 치킨집 가서 피밍아웃하면 무 많이 주시나요?!
스타나라
13/05/22 14:16
수정 아이콘
치킨집에서 피밍아웃이라니 무슨말씀이십니까! 크크크
시라노 번스타인
13/05/22 14:19
수정 아이콘
무슨소리세요 가서 서로 막 사주셔야죠..
Hypnosis
13/05/22 14:20
수정 아이콘
사..사.. 아닙니다.
빠독이
13/05/22 14:21
수정 아이콘
글 잘 봤습니다.
여기가 그 산골이라 치킨 하는 데가 없습니다.
다른 건 다 괜찮은데 3년간 어찌해야할지_ㅠ
치킨 먹고파요..
Hypnosis
13/05/22 14:34
수정 아이콘
직접 조리하시면 어떨까요? 사실 순살같은건 집에서 직접 조리가 대부분 가능하실텐데!!
OneRepublic
13/05/22 14:57
수정 아이콘
튀겨드세요. 기름통 하나 만드시거나 기름기 하나 사시면, 닭튀기는거 생각보다 안어려워요.
양념도 사는 것이랑은 다르지만 꽤 비슷하게 만들수 있구요.
빠독이
13/05/22 15:29
수정 아이콘
!
전 양념은 필요없습니다!
무도 없이 그냥 후라이드 치킨 우적우적 씹어먹으니.. 정 심심하면 머스타드 소스 정도?

한 번 조리법이라도 찾아봐야겠군요.
13/05/22 14:31
수정 아이콘
저희 동네는 소도시라 100개는 안되네요 한 40개??
Hypnosis
13/05/22 14:36
수정 아이콘
오토바이 10분거리면.. 자판님이 생각하시는 넓이보다 넓을거같은데.. 제가 오판했을수도 있지만요.
보통 치킨배달의 마지노선이 오토바이 10분이 조금 넘습니다.. 사실 깡으로 20분거리도 배달하기도 하지만요.
양념치킨류는 배달거리가 멀어져도 큰 맛의 차이가 없습니다.
파라돌
13/05/22 14:32
수정 아이콘
저도 30대 초반 학원운영인데 3년차네요.
학원도 포화상태입니다. 크게 차리건 작게 차리건 지금 차리면 망하는길 크크...
그래서 원장연수 가보면 미술,음악학원 제외하고는 제가 굉장히 어리네요. 아마 1%인거 같습니다.
요새 추세대로라면 공부방이 대세인데(유지비가 거의 제로로 수렴하니..실제로 공부방은 젊은 사람들이 좀 있네요.)
결혼도 해야하고 하니....

친킨집 얘기나와서 말인데 여기도 반경 5킬로내에 치킨집을 셀 수가 없네요 크크..
그래도 그나마 치킨집만 밤늦게 하네요. 다른곳은 일찍 문닫고...
Hypnosis
13/05/22 14:39
수정 아이콘
제 친한친구와 비슷하시네요. 공부방운영하는 친구인데.. 학벌이 깡패라..
잘 벌더군요.. 공부 열심히하란 어른들 말씀이 확.. 다만 요즘은 교재연구 수업방향등을 설정하는데에.
엄청난 정신적인 고통을 토로하더군요. 학부모관리나 학생관리도 힘들다고하구..

먹고사는거중에 절대 쉬운일은 없지 않나요?^^
파라돌
13/05/22 14:57
수정 아이콘
저도 학벌덕은 좀 보긴하는데 공부방은 학벌 안좋으면 딱히 잘 벌수가 없긴하죠. 그게 간판이니까요.
일의 스트레스 정도로 보면 아무래도 직장인보다는 덜해서 할만한 직업이지만
학생인구 감소와 내수침체로 원생은 점진적으로 줄게 될텐데 원비를 올리고 싶어도 못올리는 딜레마에 빠지게 됩니다.
편하게 일하고 싶으면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쉬면서 편하게 일할 수 있는데 돈은 적게 벌죠.
글을 쓰다보니 편하게 3~400 번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실상 성적향상이 뜻대로 안되면 강제로 편하게 일해지고 200도 채 못버는거 같습니다.
저도 원생 무리하게 받다가 좀 피본 후에 조금씩 다시 올라가고 있을 정도로 이쪽이 좀 살얼음판입니다.
알킬칼켈콜
13/05/22 14:38
수정 아이콘
네네치킨 점주시군요. 반반 시키면 양념은 봉지로 갖다주시나요...흑흑
Hypnosis
13/05/22 14:48
수정 아이콘
네네일수도 아닐수도 브랜드는 노코멘트하겠습니다.
점주 역량입니다. 어떤 가맹점도 세세하게 다 가르킬만큼 넉넉한 시간을 주지않습니다.
반반은 이미 메인메뉴 반열에 들어서있지만. 출생만 보면 파생메뉴죠..
파생메뉴에 대한 설명은 가맹교육에서 생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애패는 엄마
13/05/22 14:42
수정 아이콘
사촌형이 깐부치킨 운영하는데 정말 못 쉬더군요
Hypnosis
13/05/22 14:54
수정 아이콘
저도 쉬고 싶습니다 ㅠ_ㅠ 하루 쉬고 문닫으면 다른집 시켰다가.. 그집이 입맛에 맞으면 어떡하나요 ㅠ_ㅠ
애패는 엄마
13/05/22 15:09
수정 아이콘
디스크는 없으신지 그 형 2년 있으니 디스크 걸리더군요.
Hypnosis
13/05/22 15:15
수정 아이콘
저도 주방장 4년인데.. 왼손목이 제맘대로 안움직입니다..
철권6br 나름 빨간단까지 달아봤는데. 실력저하의 원인중 하나라고도 생각합니다 ㅠ_ㅠ
돈 많이 벌면되죠..
개조하면 됩니다-_- 라고 생각하고 살고있습니다.
13/05/22 17:23
수정 아이콘
텍밍아웃까지....
Hypnosis
13/05/22 17:44
수정 아이콘
저도 텍크 나가고 싶다구요 ㅠ_ㅠ 예선 팀짤때 같이해보잔 연락도 받았는데 ㅠ_ㅠ
에키따응
13/05/22 14:52
수정 아이콘
점주는 어떤 일을 하는 거죠?
Hypnosis
13/05/22 14:54
수정 아이콘
모든알바의 땜빵이 점주입니다. 고로 알바들이 할일 전체를 다 할줄 알아야합니다.
치킨 튀기는것부터 포장 배달 응대까지 전부요.
그리고 점주만의 회계관리 물품관리 인원관리 등등은 기본적인 소양이죠.
Paranoid Android
13/05/22 15:23
수정 아이콘
치킨프랜차이즈는 이익을 본사랑은 안나누죠 ?
본사는 그냥물건대주는것과 가맹점 계약으로 돈버는거죠?
전기세나임대료 관리비등은 모두자비부담이구요?
너무당연한말인가요::전편의점점주라서 맞을것같긴한데 여쭤봅니다. 핫
Hypnosis
13/05/22 15:43
수정 아이콘
네 맞습니다. 물건과 가맹계약으로 본사는 돈벌죠.
다만 물건을 다 본사것을 쓰지는 않습니다. 강제품목이 있긴하나.
비강제 품목중에 싸고 품질좋은것을 찾아내는것도 점주 역량입니다.
13/05/22 15:29
수정 아이콘
확실히 자영업을 하시는 분들은... 쉬는날이 거의 없으신거 같아요.
저희 부모님들도 횟집을 하나 운영하시는데.. 나름 장사가 잘되다보니 거의 한달내내 일하시는거 같아요.
Hypnosis
13/05/22 15:46
수정 아이콘
삶의질을 올리는데는 돈이 듭니다. 못벌어서 들기도 하고 써서 들기도 하죠..
선택은 개인의 몫이죠.. 부모님의 선택엔 당연히 타당한 이유가 있겠지요^^
honnysun
13/05/22 15:55
수정 아이콘
친척여동생이 상계동에서 치킨집을 운영하는데 그냥 개인브랜드로~
못쉬는거 빼고는 운영을 잘해서 그런지 그럭저럭 돈을 벌더군요.
Hypnosis
13/05/22 16:01
수정 아이콘
개인브랜드 훌륭하게 해나가면 수익률이 40퍼 50퍼에 육박하는 집도 있습니다.
다만 어느정도 수준까지 끌어올리는게 정말 힘들고 고됩니다.
그리고 망하는것도 쉽죠. 개인브랜드 창업자들과 성공신화를 써나가시는분들은 정말 존중,존경받을 충분한 자격이 있다고 봅니다.
가을독백
13/05/22 16:08
수정 아이콘
생닭을 팔면서 통닭까지 같이 해보려고 했던 시기가 있었습니다.(아버지가 하시려해서..(..))
실제로 같이 했었고요. 한 7-8년 가량 했었는데 너무 일이 많아지다보니 그만 두게 되더군요. 너무 힘들다고..
양쪽 가게에서 새벽 5시 반에 나와서 8시까지는 생닭을 팔고, 7시부터 새벽 1시까지는 닭을 튀기고 하다보니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가 없더라구요.
고등학생때 방학때 자고있는데 깨우더니 새벽 2시 반부터 '군 간부들이 야유회 간다고 60마리를 주문했다'고 나가자고 하시더군요.
그 이후부터 튀긴 닭을 못 시켜먹습니다. 얼마나 피곤하고 힘든 일인지 알기에..
지금은 제가 생닭파는곳에서 도맡아서 한 3년가량 하고있는데 휴일이 없으니 미치겠더군요..30이 안되었으니 공부를 권유하시는 어머니땜시 사이버대학 다니면서 일하고 있습니다만, 젊다고 다 견딜수 있는건 아니더라구요;; 암튼 고생 많으십니다. 지나가는 자영업자가 웬지 반가워서 몇자 남기고 갑니다. 흐흐
Hypnosis
13/05/22 16:24
수정 아이콘
물론 당연히 저도 통닭안먹습니다.
한입넣고 씹는순간.. 부위와 손질상태와 튀김방법이 제 뇌로 전달됩니다. 오버라고 보셔도됩니다만.
치킨 저도 좋아했었습니다 한때는... 이제는 닭갈비 찜닭도 못먹네요.. 아.. ㅠ_ㅠ
쭈구리
13/05/22 16:14
수정 아이콘
신메뉴가 출시되면 어떻게 일괄적으로 조리방법을 교육받는지 궁금합니다. 간단한 것도 있겠지만 손이 많이 가는 것도 있을텐데 말이죠. 각 점포별로 일괄적인 맛을 어떻게 맞출 수 있을지... 그 표준적인 맛을 유지하기 위해 본사 차원에서 주기적으로 점검을 하나요?
Hypnosis
13/05/22 16:26
수정 아이콘
시연회를 합니다. 강제참석인경우도 있고 아닌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동영상이나 레시피를 통한 강의를 합니다. 물론 손맛이나 스타일에따라 맛에 조금씩 차이가 납니다.
표준맛을 위해 본사서 주기적인 점검을 합니다. 다만 편법을 사용해서 마진율을 높이려고 본사 점검을 피하는 가맹점들도 많습니다.
맛의 차이는 보통 거기서 오는게 대부분입니다.
쭈구리
13/05/22 18:05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동영상 강의는 생각도 못해봤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sprezzatura
13/05/22 16:15
수정 아이콘
동네에 네네치킨 수유1점 수유2점이 거의 붙어있다시피 영업중인데, 편차가 너무 크더군요.
한 쪽은 직원들이 친절하고 맛도 괜찮은데, 다른 한 쪽은 손님 대하는게 심드렁하고 소스도 뭔가 싱겁고.
같은 프랜차이즈 간판 걸고 영업하는 집이 어찌 저리 다를까 싶었습니다.

그나저나 흑임자치킨 맛이 궁금한데, 어떤 맛일지 전혀 감이 안와서 아직도 갈등중이네요.
Hypnosis
13/05/22 16:29
수정 아이콘
모든 프랜차이즈가 다 그렇죠.. 치킨 피자 마트 커피.. 될놈될 잘놈잘 케바케.
프랜차이즈는 획일화를 외치지만 사람만큼은 획일화 할수없죠..

현존하는 한국의 메이저의 70퍼는 맛봤다고 자부합니다. 흑임자. 제 기준에 맛은 괜찮습니다..
다만 충격적인 비쥬얼이.. 보시는순간 이걸 어떻게 먹나 하는 수준의 비쥬얼이 관문이죠.
감모여재
13/05/22 17:39
수정 아이콘
치킨집은 주로 배달을 많이 시켜먹을 것 같은데, 브랜드가 중요한가요 아니면 개개 영업점의 영업이 더 중요한가요..? 같은 프랜차이즈라도 영업점마다 맛이 많이 차이가 나는 편인지 궁금하더군요.
Hypnosis
13/05/22 17:42
수정 아이콘
어마어마하게 차이는 안납니다. 다만 미세한 차이래도 느끼는 사람에따라선 큰차이일수도 있구요.
치킨맛도 본사서 규정하는 튀김옷 성분비 또는 치킨 보관방법등에서 미세한 차이를 낼수도있습니다.
예로 어떤집은 기본적으로 나오는 샐러드라던가 소스라던가 무에서 차이를 느낄수도있는 문제니까요.

가맹점교육도 10명을 가르키면 10명다 맛이 다 차이가 납니다. 위에도 적었지만.
본사는 획일화를 원하지만 사람을 획일화 시킬순 없으니깐요.
퀘이샤
13/05/22 17:52
수정 아이콘
(대기업이라고 할 수 있는 회사 12년차) 과장입니다.
주기적으로 일이 엄청 몰려올 때가 있는데, 사무실에 접이식 야전침대와 침낭을 가져다 두고 일주일에 2일 정도는 3~4시간 눈만 붙이면서 일을 합니다.
06:40 출근 후 통상 20~22서 정도에 사무실에서 나오구요. (휴일을 쉴 수 있군요...)
문제는 앞으로 몇년더 직장생활을 더 할 수 있을 지 불투명합니다.
그래서 프랜차이즈 창업도 생각해보곤 했는데, 글을 통해서 느낀 점은 아주 절망적인 시장은 아닌 것 같다는 느낌이 드네요.
와이프랑 같이 잘 꾸려나가면 어떨까 싶은 그런 생각도 들고,,, (그래서 퇴직 후 많이들 하시나 봅니다. )

몰랐던 업계의 생생한 정보 감사합니다. ^^
Hypnosis
13/05/22 18:03
수정 아이콘
부부끼리 하신다면 괜찮죠. 다만 처음엔 다툼이 좀 있으실겁니다.
저는 총각이라 잘 느끼질 못하지만. 일과 가정 가정과 일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부분이라는데.
제가 정확히 설명못드리는점 죄송합니다.

창업보단 인수를 권장합니다. 창업은 이미 기존에 옆동네에서 잠식 선점했던부분이기때문에.
자신쪽으로 다시 돌리는데 노력과 시간이 많이 필요합니다.

게임하는데 현질하고 시작하는거랑 비교하면 되겠네요 돈좀 더 들어가더라도.
확실히 레벨업도 빠릅니다. 다만 인수받을 점주에게 한 3달정도의 교육을 받으시면 충분하실거라 봅니다.
칭다오
13/05/22 19:33
수정 아이콘
저는 대학 졸업하자마자 호프집을 3년정도 운영했었습니다. 휴일 없구요, 주변에 대형 경쟁자들이 생기니 수익 떨어지구요, 처음에는 1년정도는 계획대로 수익이 났지만 결국 손해보고 접었습니다. 무엇보다 제시간을 가질 수 없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지금은 자기사업하면서 주오일 열시출근 여섯시 퇴근합니다. 많이 벌지는 못하지만 가족들과 많은 시간 보내고 만족하면서 살고 있습니다. 젊은 분들은 바로 프렌차이즈의 세계로 뛰어들기 보다는 공부하면서 자기만의 사업아이템을 찾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Hypnosis
13/05/22 20:14
수정 아이콘
요즘은 대형화 전문화되어있어요.. 개인사업체로 살아남는거 정말 힘듭니다. 물론 능력이 끝에 다다르면 모르겠지만..
돈이 돈을 벌어갑니다..
13/05/22 19:48
수정 아이콘
그런데 글과 덧글 다 재미있게 잘쓰시네요.
아니면 살아있는 생생한 이야기라서 더 재미있게 느껴지는지도..
닭 안드신다는 말 어렴풋이 이해가 갑니다. 저는 최대한 안그러려 하는데 제 주위에 cg하는 친구들은 자기가 참여한 영화도 안보려하더군요. 영화관가도 cg 튀는거 잡아내기나하고 크크
Hypnosis
13/05/22 20:17
수정 아이콘
아 재밌게 잘쓰셨단 칭찬한마디 정말 감사합니다.
제 필력에 대해선 언제나 스스로 의문점 투성이거든요 ㅠ_ㅠ
엄마를부탁해
13/05/22 20:48
수정 아이콘
,
Hypnosis
13/05/22 21:36
수정 아이콘
제가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알바를 포함한 대충 7개+ 이상의 일을 경험했는데..
전쟁이 아닌 직업은 단 하나도 없었습니다 ㅠ_ㅠ
물론 의사나 판사 친구들은 먹고살기 힘들단 말은 안합니다. 스트레스를 이상한데서 받아서 그렇지-_-;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611 [일반] 십일조 때문에 생긴 일 [89] 호가든10292 13/08/03 10292 1
45597 [일반] 커플/가족 사이의 프라이버시, 어디까지가 '선'일까. [45] 마네5905 13/08/02 5905 0
45478 [일반] 키코(KIKO)사태가 마무리 되어 갑니다. [18] 루치에10300 13/07/28 10300 5
45283 [일반] IT업계의 최하바닥... 유지보수 및 AS 업계 [20] 웅즈7408 13/07/18 7408 3
45158 [일반] [야구] 두산 외국인선수 교체 [18] giants6744 13/07/12 6744 0
44986 [일반] 주제 무리뉴의 편지 [36] 폴토마스앤더슨8629 13/07/04 8629 9
44815 [일반] 중국 역사의 공금 횡령 스케일 [14] 신불해9225 13/06/27 9225 4
44705 [일반] [역사] 조선후기 주막 네트워크, 그리고 1903년의 대한제국. [14] sungsik17919 13/06/23 17919 5
44678 [일반] 늦은밤 심란해서 잠이 안오네요...-_ㅠ [89] Eva01011533 13/06/22 11533 4
44594 [일반] 투덜투덜 거리는 여자를 좋아하시는 분 있나요? [41] Eva0109154 13/06/19 9154 0
44411 [일반] 청나라 건륭제, 사람들의 입에 재갈을 물리고 제국을 쇠퇴시키다 [15] 신불해9516 13/06/11 9516 11
44335 [일반] 결혼이후, 원래 꿈을 찾는것에 대해 [13] 흰둥6169 13/06/07 6169 0
44317 [일반] 장어를 팔아서 일년에 2억을 벌어보자. [37] 헥스밤12541 13/06/06 12541 74
44171 [일반] [책 소개] 경제 민주화를 말하다 & 불평등의 대가 DarkSide5923 13/06/01 5923 1
44029 [일반] [책 소개] 박정희의 맨 얼굴 [29] DarkSide8554 13/05/26 8554 2
43997 [일반] 중국인에 대한 오해? 선입견들 [33] 드롭박스7249 13/05/25 7249 1
43944 [일반] 패스트치킨 전략에 대해. [54] Hypnosis7220 13/05/22 7220 5
43886 [일반] Dark Knight ( 2008 ) Review - Joker 를 중심으로 한 견해 [3] DarkSide8971 13/05/20 8971 2
43485 [일반] 1박2일 나홀로 서울 여행기 [24] 자판6414 13/04/30 6414 3
43409 [일반] 금융앱스토어를 아십니까? (추가) [24] 영원이란4963 13/04/25 4963 0
43368 [일반] 어나니머스 외환은행 고객 정보 공개 주장 [28] 난 애인이 없다12400 13/04/23 12400 0
43228 [일반] [5번째 소개] 내 심장을 쏴라! [6] par333k5484 13/04/16 5484 1
43136 [일반] 하느님의 나라 ⑮ 신의 나라인가 인간의 나라인가 [2] 후추통5896 13/04/11 5896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