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09/24 23:54:15
Name swordfish
Subject [일반] 1918년 1차 대전의 마지막(4)-이탈리아는 무너지지 않는다.
1) 두 연설가
이탈리아의 대패와 멸망 위기, 하지만 이탈리아 인들은 절망하지 않았습니다.
외려 이탈리아 민족주의에 불을 붙이는 촉매가 되었습니다. 1400년 동안 한번도 통일국가를 형성한 적도 없고
지금도 이탈리아인이라는 동질성이 낮은 이탈리아 인들이 이런 모습을 보일지는 누구도 알지 못했습니다.

거의 30만의 병력을 며칠 만에 잃어버리고 겨우겨우 모아 두었던 중장비나 무기를 완전히 잃어 버린 지금 이탈리아군은
피아베 강에 의존하여 독일군을 막아야 하는 입장에서 말이죠.

일단 국왕과 수상 오를란도는 결사 항전을 외쳤지만

- 당시 이탈리아 국왕 빅토르 엠마누엘 3세, 가장 큰 특징은 루저를 넘어선 난쟁이 급 키, 그리고 국왕으로써
1차 대전과 2차 대전을 모두 겪은 유럽 몇 안되는 군주-

- 당시 수상 빅토리오 오를란도, 법학 교수인데 마피아랑 연관된 참 특이한 인물-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한 건 두 사람이 이었습니다.

귀족이자 비행기 조종사, 시인이자 정치가이자 자유주의자인 가브리엘레 다눈치오.

사회주의자인 대장장이 아들이자 학교 교사 출신인 사회주의자 저널리스트 베니토 무솔리니

이 공통점이라는 걸 찾아 볼 수 없는 두 사람의 공통점은 애국심이 심각할 정도로 강했다는 점이었습니다.
특히 무솔리니는 32세에 군대에 들어가서 큰 부상을 입고 전역한 이후 계속해서 애국주의가 쩌는 선동을 계속하는
신문을 발간 중이었고
다눈치오 역시 군에서 일하고 있었습니다.

이 둘은 대중연설을 통해 젊은이들의 애국심을 자극하여 자원 입대시켰고 이 열기는 너무 강해서 단시간에 독일군에게 잃은
30만 대군을 능가하는 수의 인력을 보충시켜 버렸습니다.
여기에 영국 야전군 사령관 중 가장 우수한 장군이 허버트 플러머 장군이 이끄는 영프군 11개 사단까지 속속 도착하기
시작했습니다.

2) 작전 중지.
반면 독일은 더 이상 보급로를 유지할 수 없을 정도로 너무 성공을 거두었고 더 이상 보급로를 신장할 능력은 독일도
오스트리아도 없었습니다.
병사들은 밥을 굶기 시작했고 피로도는 점차 쌓여 진격은 이전 불가능한 상황이었습니다.

독일군 사령관 벨로브는 11월 12일 진격을 중단 시킵니다.

독일 입장에서는 이정도는 충분했습니다. 이탈리아군은 전치 1년 치 타격을 입었기에 전쟁이 결정날 1918년 봄까지
독일의 약한 지역인 오스트리아를 공격할 여력을 바닥나게 만들었으니 말이죠.
또한 동맹국 오스트리아를 지킨 것도 큰 성과였죠.

또한 손실도 적었습니다. 7만 명의 사상자를 냈지만 이탈리아군은 거의 30만을 잃었느니 말이죠.
참고로 정말 웃기는 점은 이탈리아군 30만 손실 중 사상은 겨우 4만... 독일군보다 적게 죽거나 다쳤습니다.
포로가 무려 26만이었을 뿐이죠.

또한 덤으로 영국군 2군 사령관 플러머 등 총 11개 사단을 서부 전선에서 이탈리아로 끌어 들였다는 것도
앞으로 있을 1918년 춘계 대공세에 독일군에게 큰 도움이 될 터 였습니다.

1917년은 독일군 입장에서 정말 영광스러운 한해 였습니다.
러시아는 사실상 붕괴되었고 이탈리아는 군대가 사실상 망했습니다. 또한 영프군의 맹공을 한해 동안 잘막았죠.

독일군 입장에서는 1918년 봄에 약간이라도 남은 승리를 위해 200개 사단으로 몰아쳐 영프미 3국 연합군을 이기기만
하는 입장에 도달하게 되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9/25 08:51
수정 아이콘
이런 전쟁역사를 보면 1차 2차 둘다 독일은 어쩔수 없었겠지만 가장 센 국가들이랑 1대1도 아닌 다대1로 싸운게 대단하게 느껴지네요...
swordfish
13/09/25 09:31
수정 아이콘
대신 이런 강한 상대를 모두 적으로 돌리는 건 양차 대전 모두 독일의 자업자득인지라 외교나 대전략 부분은 정말 바보 같은 국가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6683 [일반] 알렉산드로스? 카이사르? 한니발? 나폴레옹? 스키피오 님이 최고시다! [130] 신불해15802 13/09/26 15802 16
46681 [일반] 심심한데 프로야구 FA 쇼핑을 해 봅시다. [144] 제랄드10247 13/09/26 10247 1
46680 [일반] 이별 후 들으면 슬픈 노래들 [73] Cavatina6242 13/09/26 6242 1
46679 [일반] 1918년 1차 대전의 마지막(5)- 1차 대전 마지막 겨울 영프독의 국내 사정 [4] swordfish6662 13/09/26 6662 2
46678 [일반] [요리] 흔한 토스트가게의 불고기백반 [37] 사직동소뿡이10279 13/09/26 10279 4
46677 [일반] 오웰 vs 헉슬리.jpg [64] 꽁상12735 13/09/26 12735 9
46674 [일반] 박 대통령 국무회의에서 기초연금관련 사과 [139] 곰주10307 13/09/26 10307 2
46673 [일반] 奇談 - 다섯번째 기이한 이야기 (3) [9] 글곰4022 13/09/26 4022 2
46671 [일반] 김치찌개의 오늘의 메이저리그(류현진 7이닝 6K 1실점 시즌 14승) [15] 김치찌개5751 13/09/26 5751 1
46670 [일반] 힘이 되어주는 글귀들.jpg [13] 김치찌개7078 13/09/26 7078 1
46669 [일반] 쿠엔틴 타란티노가 운영하는 한식당 메뉴.jpg [18] 김치찌개11107 13/09/26 11107 0
46668 [일반] 개랑 동거하기 [24] 눈시BBbr11510 13/09/25 11510 3
46667 [일반] 죽었던 기억. (구급차 타보셨나요?) [34] 7474 13/09/25 7474 2
46666 [일반] 멜랑꼴리 하네요 [10] 검은콩두유4883 13/09/25 4883 1
46665 [일반] [부고] 소설가 최인호 별세 [7] 김연아4369 13/09/25 4369 0
46664 [일반] 알기쉬운 자동차보험 -1. 제도적 배경(2) [8] 무검칠자3609 13/09/25 3609 4
46663 [일반] [야구] 한화의 향후 포수 교통정리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43] 민머리요정5393 13/09/25 5393 0
46662 [일반] 학살 그 이후(베트남전 학살논란 관련 부분 발췌) [18] 드라코6699 13/09/25 6699 5
46661 [일반] 담배를 끊었습니다 [43] 내스티나스5718 13/09/25 5718 5
46660 [일반] 나의 현실적인 드림(?)카는 과연 무슨 차종일까? [144] Neandertal11006 13/09/25 11006 0
46659 [일반] 소장하시는 만화책이 있나요? [143] 달달한고양이16306 13/09/25 16306 1
46658 [일반] 무좀약 발랐더니 에이즈 완치...FDA승인 [65] Alan_Baxter16606 13/09/25 16606 0
46657 [일반] 한국군의 베트남 양민학살을 부정하는 극우 [169] kurt10610 13/09/25 10610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