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3/25 02:16:49
Name 뀨뀨
Subject [일반] 걸그룹 유튜브 랭킹 정리 첫번째 편 - 소녀시대
안녕하세요 실상입니다!
얼마전부터 심심해서 해보려고 했던
걸그룹 유튜브 랭킹을 조금씩 공개합니다!!!!

지금은 완성된 형태는 아니고 점점 발전시켜서 인포그래픽식으로 만들까 하는데
생각보다 데이터가 쏟아지고 이걸 다 모아보니 쓸만한 데이터인가.. 라는 생각이 들긴 하더군요.
하다가 귀찮아지면 안되는데...

그래도 이왕 하나 완성한거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처음부터 걸그룹 끝판대장이 나와서 좀 그렇긴 하지만=_=
이걸로 어떤 유의미한 통계를 끌어낼 수 있을까요?





바로 오늘, 싸이의 강남스타일 MV가 22억뷰를 넘은걸 확인했습니다.
이를 통해 번 돈만 해도 1조회수당 1원이라고만 쳐도 이미 22억!
정확한 금액이 측정되지는 않지만 단순 조회수로 인한 수익만 하더라도 어마어마하다고 하죠.
싸이는 연말에 미국가서 미국 유명인사들과 공연도 하고 말이죠.


그만큼 이제 유튜브는 동영상을 보는 사이트를 넘어서서
동영상의 주인공의 유명도와 인생을 좌지우지하는
하나의 컨텐츠 문화로 자리잡았습니다.


그렇다면 각설하고, 걸그룹 유튜브 랭킹 그 첫번째!!!
소녀시대 유튜브 통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녀시대는 일단 당연하지만 그 어떤 걸그룹보다 유튜브 파워가 강력합니다.
해외 팬들도 많고 그만큼 SM에서도 외국버전으로 푸쉬를 많이 해주더군요.(JPN Ver, Eng Ver 등)


특히 여덕들이 굉장히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금도 남자팬들은 다른 어린(...)친구들로 팬덤이 이동했지만 여덕들은 여전히 태연과 티파니를 사랑한다고 하네요.





엑셀을 오랜만에 다뤘더니 어렵네요...
누구나 정리할 수 있지만 그 누구도 귀찮아서 안했던!!!!
걸그룹 유튜브 정리 자료입니다. 크크


이제 주목할만한 자료들을 몇가지 정리하고자 합니다.


1. 소녀시대는 2번의 전성기가 있었다!
음... 어떻게 받아들이실지 모르겠지만 저는 이렇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첫번째 전성기는 바로 'Gee - Oh!'로 넘어가는 시기입니다.



유튜브 조회수가 그때가 전성기었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죠.
이 시기에는 대중성과 상업성을 모두 잡았다고 평가하고 싶네요.


데뷔곡인 다시 만난 세계는 곡은 좋았으나 인지도가 부족했습니다.
그러나 Kissing You와 소녀시대로 차곡차곡 인지도를 끌어 올리더니
결국 다음 앨범인 Gee로 유튜브 조회수 1위에 빛나는 성과를 이룩하죠.
말이 1위지 무려 1억 4천만 뷰라는 결과를 이뤄냅니다.
(현재 진행형이라는게 더 아이러니...)


당시 경쟁상대였던 원더걸스​의 행보가 더욱 아쉬워지는 순간입니다.
Gee와 비슷한 시기에 나왔던 Nobody로 빵 터졌던 원더걸스는
JYP의 거지같은 삽질로 인해서 국내에서 몇년동안 사라졌다가
그대로 사장되게 됩니다.



이런 저급한 Mnet영상 화질로도 외국인들이 6천 3백만명이나 봐줬는데 ^_ㅠ...



영어버전은 그 어떤 소녀시대 영어버전 조회수보다 높긴 합니다만...
이젠 필요 없어! 상관 없어! 선예는 애엄마야 이제......ㅠㅠㅠ



국내버전은 초라하기 그지 없는 5백만 조회수입니다.
한때 대한민국을 호령하던 전설의 댄스그룹 원더걸스.......빠이 짜이찌엔



암튼 그래서... Oh! 로도 좋은 활동을 보였던 소녀시대는
후속곡인 소원을 말해봐가 큰 성공을 거두진 못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해외활동을 위한 입지를 굳히는데는 성공한 것으로 보입니다.



두번째 전성기는 의외로 The Boys - I Got A Boy 라인입니다!!!!!!!
Mr. Taxi로 안정적인 수입을 올린 이후의 시기로 기억될 수 있겠네요.
다만, 좋아요 대비 싫어요 비율이 굉장히 높은게 인상적입니다.
마냥 좋지만은 않았던 이미지 변신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아마 거부감을 가진 팬들이 꽤 많았다는 의견이네요.



2. 일본 활동만으로도 한국활동을 훨씬 상회하는 수익이 난다.
왜 그리도 한국 그룹들이 외국으로 가는지 알려주는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국내 음반 시장의 답답함이나 파이를 생각했을 때,
확실한 성공 가능성만 있다면 일본이나 동남아로 떠나는게 답인거죠.


Mr. Taxi는 Official Korean 뮤직비디오가 무대 실황입니다.
즉, 공식적인 뮤비라고 볼 수가 없을 정도입니다.
그러나 일본버전 뮤직비디오만으로도 1억 1천 5백만 조회수를 기록합니다.





한국인들이 일본버전 뮤직비디오를 시청한걸 감안했을때도 압도적인 성적이죠.
특히, 콘서트나 굿즈를 판매함에 있어서도
일본의 섬나라 문화(...)에 힘입어 훨씬 더 매출이 잘 나오는 상황이죠.


우리나라에는 팬서비스 식으로 앨범을 발매했던 것도 이해가 갑니다.
입지가 적당히 탄탄해진 후로는 무조건 해외에 진출하는 것이 이득이라는 것!


이 밖에도 유튜브 조회수 10위인 PAPARAZZI, 11위인 GALAXY SUPERNOVA
등 일본에서 발표한 싱글들은 대부분 2~3천만대의 조회수를 기록합니다.
저만해도 저 노래들을 다 모르는데 한국 팬들의 유입이 거의 없다고 생각하더라도
꽤 유의미한 수치라고 생각합니다. 일본에서 정상급 아이돌로 충분히 통했다는 것이죠.


이상 살펴본 결과 소녀시대는 그래도 소녀시대네요.
하지만 원더걸스같은 경쟁 아이돌의 자폭(...)등으로
비교할만한 아이돌이 없던 과거와는 달리 지금은 이제 25살을 넘지 않은 멤버가 없는
최고참 아이돌이 되는 마당이니 하락세가 점쳐지는 인기를 어떻게 유지할지 궁금해집니다.


하... 분석하는 것도 한 세월이네요. 다시는 못할 것 같다능ㅠㅠㅠ
다음 시간에는 저도 잘 모르지만 대세아이돌(?)인 Apink를 다뤄볼까 합니다.
혹시나 저의 분석이 마음에 안드시는 분들은 댓글로 태클을 마구마구 걸어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그것은알기싫다
15/03/25 02:25
수정 아이콘
속칭 처녀시대+팔녀시대.. 아직 건재하지만 과연 제3의 전성기가 찾아올 지는 의문이네요
15/03/25 02:29
수정 아이콘
그렇죠... 제시카가 탈퇴한 사실도 잊어버리고 있었네요!
파리베가스
15/03/25 02:29
수정 아이콘
일본 파이가 크긴 크네요.
원더걸스가 한국&아시아에 좀 더 주력했다면...
이라는 가정은 지금도 친구들이랑 종종 얘기할 정도로 아쉽긴했죠.
또 일본활동만 놓고보면 카라파워가 소시에 밀리지 않는다고 알고 있는데 언젠간 다뤄주시리라 믿고 유투브에서는 어떤 차이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다음편은 더 기다려지네요.
흥미로운 글 감사합니다.
크로스게이트
15/03/25 02:39
수정 아이콘
아이돌 음악이라는게 사실 처음 유명해지기가 어렵지, 일단 뜨고나면 곡빨만 잘받으면 인기는 계속 가는것 같더라구요.(그 곡빨이 어렵긴하지만..)
소시도 멤버탈퇴, 연애시대로 예전만큼의 팬덤 지분이 상당수 다른그룹으로 빠져나갔지만 또 한곡만 터져주면 제 3의 전성기가 가능하다고 봅니다.
실력있는 그룹인건 여전히 맞으니깐요.
뭔가 가수로서 계속 국내활동을 했으면 좋겠는데 그룹으로는 해외활동이 이제 주력인것같고, 개인으로는 슬슬 연기자테크로 빠지는것같더라구요. 물론 수익면이나 앞으로 연예계활동에 있어서는 그게 더 나은선택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좀 아쉽습니다.
god나 신화처럼 오래오래 끈끈하게 가수활동하는 여그룹이 처음 나오나 싶었는데.. 안타깝네요. 언젠가는 제시카도 다시 합류했으면 좋겠어요.
15/03/25 03:09
수정 아이콘
성형을 너무 많이해서 픗픗함은 온데간데없고 어히려 좀 보기 불편할 정도가 되버려서 가슴아프지만..

그래도 소시는 아이돌 원탑이라고 생각합니다

황혼기의 걸그룹이지만 증흥기를 한번 더 맞이했으면 좋겠네요

원걸은 좀 아쉽지만 혜림의 영입이 추락하는 비행기에 납덩이를 얹은격이고 선예가 확실히 관뚜껑에 용접을 해주었죠 그런데 무슨 낮짝으로 재계약은 한건지
르카니
15/03/25 04:07
수정 아이콘
사실 많은 해를 지나면서 멤버교체없이 이정도까지 롱런한 걸그룹이었기에 정도 많이 가고
덕질도 꽤 많이 했었지만 많이 아쉽네요.

개인적으로는 제시카 팬이었지만, 딱히 차별없이 멤버 모두를 좋아했던 입장으로써
항상 주변 지인들에게도 역대 여자 아이돌 그룹 중에 보컬라인이 최고로 환상적인 그룹이라고
자랑을 하고 다녔건만..... ㅠㅠ

00년대 이후 여자 아이돌의 최고 명반은 티아라 1집으로 꼽지만 소녀시대 2,3집도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도바킨
15/03/25 04:19
수정 아이콘
소녀시대는 좋아하는 팬들도 많지만 싫어하는 안티들이 너무나도 많죠.

소녀시대 글마다 와서 까는듯 아닌듯 분석하는 척 하면서
부정적인 댓글을 꼬박꼬박 다는 사람들이 엄청나게 많거든요.
피지알도 마찬가지고 뭐 대부분 사이트에서도 마찬가지라고 보입니다.

오히려 no1 걸그룹이라는 이미지가 좀 흐려지고
다른 팬덤 & 안티들의 관심에서 멀어지는 시기를 겪은 뒤
서서히 치고 올라오는 롱런의 걸그룹이 되는게 가장 긍정적인 방향이라고 보입니다.
그럴만한 능력은 되다고 보이구요.
15/03/25 08:02
수정 아이콘
제가 무슨 전문지식이 있는건 아닌데 이런 식의 분석은 문제가 많아 보입니다. 지적할게 한 두 가지가 아니에요.
일단 일본 버전 이라고 명기한 뮤비들 대부분 한국 버전일 겁니다. 다시 확인해 보세요.(저 미국버전은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일본 뮤비 조회수와 일본에서의 인기는 상관 관계가 없습니다. 그 조회수 올려주는게 일본인들이 아니거든요. 굳이 국가별 통계 안봐도 코멘트에 일본어가 거의 없을 겁니다. 카라는 유튜브가 약한 편인데 싱글로만 치면 Go Go Summer나 Jet Coaster Love를 넘는 소녀시대 노래는 없습니다. 동방신기는 여전히 오리콘 기록 갱신하면서 돔투어를 하고 있지만 유튜브는 소시에 비할 바가 못됩니다.

유튜브는 변수가 너무 많습니다. 어떤 채널로 올렸느냐 검색어로 뭘 썼느냐 몇 가지 버전이 올라왔느냐 등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납니다. 특히 중간에 삭제됐다가 다시 올라와서 몇 백만 몇 천만이 날아간 케이스도 여럿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디테일하게 분석하는 자료로 쓰기엔 무리라는 얘깁니다.
'소원을 말해봐'는 'Oh!' 후속곡이 아니고 'Gee' 바로 다음에 나온 노래 입니다. 그 전성기라고 하셨던 Gee-Oh시기의 한가운데 있는 노래 입니다. 그런데 조회수가 저런건 중간에 삭제됐었기 때문 입니다.

수 년 전만 해도 유튜브가 그렇게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엔터 업체들도 어떻게 해야 해외팬들까지 검색을 할 수 있는지 누가 멋대로 다시 업로드 해서 조회수가 분산되지는 않는지 이런거 신경 안썼습니다. 유튜브 전체 조회수 자체도 해마다 크게 달라졌습니다. 단순 수치만으로 예전 곡들까지 판단하는건 무리 입니다. 한류 붐의 영향으로 국내에서 높은 차트를 기록하면 무조건 유튜브 조회수가 오르는 경향도 있구요.

곡의 인기 와는 무관한 요인이 생기는 경우도 많습니다. I Got A Boy는 늘 신곡 나오면 유튜브 기록을 갱신하는 소시 노래 답게 조회수가 잘 나오긴 했지만 새로 생긴 '유튜브 어워드'에서 수상을 하는 바람에 평소 관심 없던 부류까지 엄청나게 끌어들였습니다. 그 후광효과를 누린 곡도 있구요. 씨스타는 예전에 특히 해외에서 거의 주목을 받지 못하던 시절에 'Ma Boy'의 정식 뮤비도 아닌 댄스 연습 영상이 뜬금없이 천만을 돌파한 적이 있습니다. 해외에서 다른 카테고리로 화제가 되었기 때문 입니다.

단순 조회수만으로는 대체적인 경향만 알 수 있을 뿐 디테일한 부분까지 해석하려들면 왜곡되는 부분이 너무 많을 겁니다. 그나마 소시니까 얘깃거리가 있지, 유튜브로 보자면 고만고만한 다른 팀들 가지고 하다보면 거의 소설 수준이 될겁니다.
호구미
15/03/25 09:03
수정 아이콘
소녀시대가 은퇴하는 그 순간까지 넘버원일지는 알 수 없지만 누적커리어는 걸그룹 트렌드가 끝나는 그 순간까지 넘버원일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생각합니다.
방향성
15/03/25 09:10
수정 아이콘
파파라찌 노래 좋아요. 장갑만..
어떤날
15/03/25 11:45
수정 아이콘
우선 소원을 말해봐는 GEE 이후에 나왔구요, 그 뒤에 Oh! 가 나왔죠.
소원을 말해봐가 낮은 게 좀 의아하네요. 국내에서도 2NE1에 밀리기는 했지만 컨셉만으로는 굉장히 좋은 평가를 받았고 GEE 이후의 곡이라 완전 물이 올랐을 때인데.. 더구나 일본 진출을 소원을 말해봐로 했을 정도로 굉장히 호평을 받은 곡 & 컨셉이었는데 저 정도밖에 안 된다니...

다음 활동이 상당히 중요할 것 같습니다. 제시카가 빠진 이후의 첫 공식 행보기도 하고 나이가 이제 20대 후반으로 넘어가는 중이라.. 솔직히 국내에서는 상징성 말고 대중성은 다른 걸그룹에 밀린 거 같은데 이 상황에서 입지를 다져줄 만한 무언가가 필요해 보여요. 근데 역시 일본 활동이네요 ㅡ.ㅡ 뭐.. 최근에는 일본 곡들이 워낙 좋아서 괜찮을 거 같긴 합니다만 국내 활동을 바랬는데...
vlncentz
15/03/25 21:12
수정 아이콘
2222
소녀시대가 원탑중에 원탑으로 지위를 다진건 소원을 말해봐때문이죠. 뮤뱅에서 1년후까지 순위권에서 살아있는거 보고 얼마나 놀랐는지...
15/03/25 14:30
수정 아이콘
더보이즈때까지만해도 소녀시대가 원탑이였다고 생각했는데, 그 이후로 국내활동이 거의 1년반정도에 하나씩 너무 뜸해버려서, 작년에 나온 미스터미스터 때 좀 주춤하더니 제시카 탈퇴까지 겹쳐져서 이제 완연한 하락세에 접어든게 아닌가 싶어 안타까워요. 그래도 소녀시대 멤버가 개성강하고 컨셉 소화능력이 출중해서 대중성 있는 노래로 잘 들고나오면 터질 포텐은 아직 남아있다고 생각합니다. 신화처럼 오래도록 활동해서 걸그룹 레전드로 기억됐으면 좋겠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7146 [일반] 걸그룹 유튜브 랭킹 정리 첫번째 편 - 소녀시대 [13] 뀨뀨6669 15/03/25 6669 3
56973 [일반] PPT가 왜 이렇게 버벅거려? 너 잘못 만진거 아니야? [17] 뀨뀨39454 15/03/13 39454 13
56918 [일반] 박주영은 과연 뛰어난 축구 천재였는가 [196] 뀨뀨14431 15/03/10 14431 0
55838 [일반] 젊은이들이 늙어가는 세대 [267] 뀨뀨15158 15/01/07 15158 20
55653 [일반] 오준 한국대사의 UN을 울린 한 마디 '우린 남이 아니다' [33] 뀨뀨9237 14/12/28 9237 7
55422 [일반] 누디진 패밀리 세일! 일명 누디대첩 현장 [33] 뀨뀨10840 14/12/14 10840 1
55419 [일반] 가습기 살균제 사건 [20] 뀨뀨7980 14/12/14 7980 2
55225 [일반] 홍합탕 정말 좋아했는데... [50] 뀨뀨12326 14/12/03 12326 0
55023 [일반] 흔한 피쟐러의 좌충우돌 롯데 PPT 공모전 첫 도전기 -완- [62] 뀨뀨13644 14/11/21 13644 10
55018 [일반] 흔한 피쟐러의 좌충우돌 롯데 PPT 공모전 첫 도전기 -1- [12] 뀨뀨11330 14/11/21 11330 5
54752 [일반] 업무시간에 몰래 PGR하는 여러분에게 추천하는 미니 디자인 놀이 [26] 뀨뀨5996 14/11/07 5996 0
54751 [일반] 월드클래스, 손흥민 (메시-피를로와 함께 챔스 위클리 베스트11) [35] 뀨뀨7308 14/11/07 7308 1
54729 [일반] 애즈원이 '오늘같은 날'로 돌아왔습니다. [7] 뀨뀨3715 14/11/06 3715 1
54713 [일반] [스토리텔링 PPT] 주제 : 10CM와 美 (+롯데공모전 소식) [7] 뀨뀨22176 14/11/05 22176 0
54398 [일반] 암 걸릴 것 같은 동생놈 PPT를 수정해 보았다 [71] 뀨뀨18421 14/10/20 18421 9
54300 [일반] 인생의 첫번째 공모전 PPT제작이 끝났습니다. [72] 뀨뀨13016 14/10/15 13016 4
54162 [일반] 네이버의 새로운 나눔폰트, '나눔바른펜'과 상용 폰트에 대한 소고. [44] 뀨뀨11299 14/10/06 11299 2
53945 [일반] 과연 나는 하루에 몇 개의 유튜브 영상을 볼까? [20] 뀨뀨7301 14/09/23 7301 0
53926 [일반] 꼬께네, 럭키월드... '와레즈'를 아십니까? (1편) [83] 뀨뀨13837 14/09/22 13837 13
53909 [일반] 왜 나는 항상 마이너스의 손인가 [14] 뀨뀨5012 14/09/21 5012 0
53896 [일반] 플랫디자인과 어울리는 Sans serif 글씨체 [17] 뀨뀨9459 14/09/20 9459 10
53828 [일반] [쇼핑] 유니클로 Schwinn 맨투맨 그래픽티셔츠! [22] 뀨뀨8412 14/09/17 8412 0
53776 [일반] 주관적인 최근 추천 예능들 [129] 뀨뀨14711 14/09/13 1471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