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4/17 10:27:22
Name AUAIAUAI
Subject [일반] 세상을 뒤집고 있는 딥러닝(알파고)의 기반이론 베이즈 정리 (수정됨)
ZkxQkBw.jpg

확률론과 통계학에서, 베이즈 정리(영어: Bayes' theorem)는 두 확률 변수의 사전 확률과 사후 확률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다. ... 베이즈 정리는 불확실성 하에서 의사결정문제를 수학적으로 다룰 때 중요하게 이용된다.


불멸의 이론:베이즈 정리는 어떻게 250년 동안 불확실한 세상을 지배하였는가라는 책을 봤는데 굉장히 흥미롭더군요

내용을 요약한 글이 있는데 한번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참고로 현대 인공지능의 대세라고 할수 있는 딥러닝(알파고에도 쓰인 인공지능)역시 이 베이즈 정리의 부분집합에 불과하다고 하네요

뿐만 아니라 요즘 적용되지 않는 분야가 없는 수준이고 뇌과학 인지과학 심리학 같은 분야에서도 아주 중요한 흐름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합니다 

블루칼라 계열의 직업과 단순 반복잡업 업무는 자동화 되고 있는 추세인데 이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통계와 컴퓨터 싸이언스는 필수적으로 배워야 할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주니
19/04/17 10:29
수정 아이콘
하지만 베이즈에 관련한 펀더멘탈한 연구부분은 큰 관심이 없는것 같아요. 지금 aistats에서는 딥러닝이 예전보다 관심이 크게 줄었네요.
19/04/17 12:48
수정 아이콘
그면 요즘은 주로 뭐가 주관심사인가요?
스주니
19/04/17 15:05
수정 아이콘
최적화, 고차원데이터, 그래프/내트워크 등등인거 같아요. 원래 ai에서 전통적으로 좋아하던 토픽들로 돌아가는 추세인거 같아요.
고기덕후
19/04/17 10:30
수정 아이콘
이 공식은 마치 F=ma...
19/04/17 10:35
수정 아이콘
한때 이 베이즈 정리에 기반한 베이지안 통계에 관심을 뒀던 적도 있었더랬죠..
지금은 완전히 다 까먹어 버린건 안자랑.
쭈꾸미
19/04/17 10:50
수정 아이콘
머 다 좋은데.. 호기심 때문이 아니라, 단지 살기 위해 떠밀리듯 공부해야 하는 현실이 불만이네요.
19/04/17 10:58
수정 아이콘
딥러닝이 베이즈 정리의 부분집합이라고 하기엔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모든 공식에 사칙 연산이 들어간다고 해서 모든 공식이 사칙 연산의 부분집합이라고 말할 수는 없는 것과 같습니다.
베이즈 정리는 모든 머신러닝 및 데이터마이닝의 아주 기본적인 공식이고 모든 알고리즘이 여기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죠.
딥러닝은 해당 이론적 펀더멘탈을 토대로 잘 설계된 시스템에 해당합니다.
어쨌든 베이즈 정리가 통계학과 머신러닝에서 매우 중요한 이론이라는 것에는 동의합니다.
修人事待天命
19/04/17 11:03
수정 아이콘
빵상?
ComeAgain
19/04/17 11:06
수정 아이콘
PPAP...
순둥이
19/04/17 11:34
수정 아이콘
단순이 이야기 하자면 b라는 조건에서 a가 일어날 확률이라는거죠? 배웠는데 까먹었네요.
19/04/17 12:1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베이지안 통계가 물론 인공지능 분야에서 필수적인 내용이지만
최근 AI 업계에서 베이지안이 필수불가결한 절대적인 진리이다라는 내용은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오히려 딥러닝 이전 머신러닝방법론( SVM RF RBM Boosting Algorithm, PCA, k-NN) 등이 통계와 확률론을 극강으로 이용하였습니다.
AI 산업이 전체적으로 커져가기때문에 베이지안 방법론 역시 더 중요해지는것은 맞습니다만 이쪽 분야에서는 영향력이 예전만하지 못하죠.
The best 에서 one of the best 가 된 느낌이라고할까요? 물론 핵심적인 내용임은 확실하고 알파고에도 당연히 그 이론이 들어간것은 맞지만
알파고 기술의 핵심은 인공신경망 , 강화학습,GPU를 이용한 행렬연산최적화 등이라고 생각합니다.
티모대위
19/04/17 12:54
수정 아이콘
이건 뭐랄까 그냥 우주를 인간이 이해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기본 원리 중 하나라고 봐야 해요.
인공지능까지 갈것도 없습니다. 그냥 이거 없으면 정보가 부족한 상황에서 무언가를 추측하고 판단하는 것 자체가 안 돼요.
F.Nietzsche
19/04/17 15:12
수정 아이콘
공부 안해도 됩니다. 아마존과 AWS에서 인공지능 API 만들어주면 돈내고 쓰면 돼요. 어차피 개인이 하기에는 CPU와 데이터양을 감당할 수가 없어요 흐흐
19/04/17 16:29
수정 아이콘
투전판에서 주사위를 던졌다.

1, 1, 1, 1, 1

1이 다섯 번이나 나왔다.

해석1) 오늘은 운이 정말 나쁜 날이군, (피셔)
해석2) 좀 이상하군. 이 주사위에 무슨 [야로]가 있는 것 같은데...(베이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609 [일반] [10] 이제 추석에는 좀 놀아야지 [4] 나와 같다면5793 19/09/07 5793 4
82487 [일반] 바둑에 대한 생각 [16] 성상우6173 19/08/30 6173 2
82224 [일반] 바둑을 공부하는 한가지 방법 [21] 성상우12665 19/08/14 12665 5
82169 [일반] 바둑에 대하여 [39] 성상우9628 19/08/09 9628 24
82133 [일반] [수제단편소설] 혼자 두는 체스 [9] Yureka6803 19/08/06 6803 13
81855 [일반] [9] 인간, '영원한 휴가'를 떠날 준비는 되었습니까? [19] Farce8529 19/07/17 8529 18
81495 [일반] 간단히 쓰는 넷플 다큐 추천작들(주관적) [35] 평범을지향13208 19/06/15 13208 7
81265 [일반] 전직 청년 한국당 당직자가 생각하는 한국당이 욕 먹는 이유 [112] 나디아 연대기14425 19/05/25 14425 8
80821 [일반] 연금술과 현실인식의 역사. [32] Farce12240 19/04/17 12240 47
80818 [일반] 세상을 뒤집고 있는 딥러닝(알파고)의 기반이론 베이즈 정리 [14] AUAIAUAI15428 19/04/17 15428 1
80245 [일반] 30대 아재의 90년대 제이팝 애니송 [88] 싶어요싶어요17865 19/02/27 17865 10
79939 [일반] 영국이 배출한 각분야의 본좌들 [40] attark9747 19/01/30 9747 3
79603 [일반] (본문 약스포) 블랙미러 최고의 에피소드를 뽑아보아요. [51] OrBef20195 19/01/03 20195 4
79590 [일반] 저커버그 후원 연구팀 "원숭이 뇌에 칩 심어 행동 제어 성공" [47] 타카이12080 19/01/02 12080 0
79568 [일반] 십진법을 쓰는 인간들을 구경하러 온 이진법 세계 인간의 충고 [55] 2212917 19/01/01 12917 52
79274 [일반] 사차 [9] 성상우4763 18/12/10 4763 1
79180 [일반] 교통공학 이야기 - 5. 자율주행에 관한 쓸데없는 잡설들 몇가지 [68] 루트에리노8998 18/12/06 8998 35
78830 [일반] 인디언이 꾸던 악몽은 백인이 아니라 한국인이었을까 [41] Farce15883 18/11/11 15883 25
78322 [일반] 모기는 여름에 나타나지 않는다 [18] 인간흑인대머리남캐7371 18/09/22 7371 5
77539 [일반] 딥마인드 요즘 근황 [50] metaljet12098 18/07/08 12098 6
77317 [일반] 교통공학 이야기 - 1. 시작 [46] 루트에리노7534 18/06/18 7534 24
76963 [일반] 무한한 원숭이가 무한한 시간 동안 타자기를 치면 [87] 글곰17412 18/05/14 17412 32
76937 [일반] 딥마인드가 인공신경망으로 인간의 격자세포를 모방하는데 성공했습니다 [54] imemyminmdsad14707 18/05/12 14707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