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8/08 17:45:19
Name 성상우
Subject [일반] 축구에 대하여
축구에 대하여

축구는 전세계인이 즐기는 스포츠입니다.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인기있는 스포츠입니다. 축구를 보면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수가 있습니다. 축구는 그만큼 사람들에게 깊이 파고든 스포츠이고 큰 영향력을 가진 스포츠입니다. 한국은 2002년 한일월드컵으로 4강에 진출한바 있고 아시아에서는 강호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한국의 월드컵4강 진출이후 한국의 히딩크감독은 국민적 영웅이 되었고 국민들의 사랑을 많이 받았습니다. 축구를 보면 깨달을수 있는 것이 몇가지 있습니다. 축구는 많은 교훈점을 줍니다.

첫째 축구는 세상이 전투적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축구는 엄연한 스포츠이고 룰이 있고 과학적인 시스템을 자랑합니다. 그러나 거친 몸싸움이나 부상을 입힐 정도의 태클등 안보이는데서 저질러지는 반칙은 허용이 되고 있고 많은 보완점을 필요로 합니다. 올림픽 육상경기같은 경우는 스피드가 승부에 직결되어 정밀한 판정이 이루어지는데 축구경기는 하나하나 짚어내지는 않습니다. 심판이 공정하게 심판을 보고 있지만 올림픽 육상경기와는 다른 것입니다. 이것은 축구가 전투적이라는 것으로 힘이 강조되는 방식입니다.

전투적이라고 해서 무조건 규칙이나 원칙을 존중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고 단지 때에 따라서 규칙이 묵과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세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세상은 규칙이 있지만 때에 따라서는 힘이 더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봐야 합니다. 때때로 반칙이 묵과되거나 이런데에 대해서 불만을 품고 있다고 해도 어쩔수가 없습니다. 한가지 예로 경기의 흐름을 끊기게 하지 않기 위해서라던가등등 다양한 이유가 있는데 시대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시대가 전투적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공정하기보다 힘으로 핵심적인 부분을 결정하고 세상사람들도 거기에 익숙하고 그것을 스스로 원하는 실정입니다. 이것이 축구라는 스포츠의 진면목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둘째 축구는 감각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축구는 골을 넣는 사람이 골을 넣고 어시스트를 하는 사람이 어시스트를 합니다. 그래서 골을 잘 넣는 사람은 킬러본능을 타고 났다고 합니다. 활약을 하는 사람이 대개 정해져 있습니다. 그래서 감각이 있는 사람이 스트라이커가 되고 유명 골키퍼가 됩니다. 즉 감각이 있어야 기복없이 계속적으로 뛰어난 활약을 하고 간판선수가 될수 있습니다. 만약 경기에 대한 감각이 없는 사람이라면 계속 벤치를 지키거나 큰 활약은 활수가 없을 것입니다.

바둑에서도 감각이 중요한데 감각적이면 사활을 잘 보거나 포석을 잘두는등 바둑을 두는데 있어 굉장히 유리합니다. 그래서 승부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타이틀을 차지하기가 쉽습니다. 감각을 기르는 방법은 연구를 해봐야 할 부분으로 생각되는데 기존의 방법을 활용하고 개인차가 있으므로 스스로 터득해야 할 것입니다. 바둑도 많이 둬보고 노력하고 연구하면 바둑감각이 좋아지므로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로 힘을 기울이면 감각을 기를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셋째 축구는 팀워크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팀워크가 없으면 축구에서 승리를 할수가 없습니다. 혼자서는 축구를 할수가 없습니다. 축구는 철저하게 팀이 하는 게임으로 어느 한곳에 빈틈이 되는 곳이 발생하면 경기가 어려워지고 심각할 경우에 팀플레이가 무너집니다. 이것이 심해져서 경기에서 전체구도가 무너지면 결과적으로 축구팀은 패하게 됩니다. 그렇게되면 걷잡을수 없고 어이없게 5:0도 되고 그 이상으로 질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인생에서도 팀워크에 따라 플레이해야 합니다. 다이나믹한 축구에서도 그런데 인생에서는 더말할 나위가 없습니다. 팀워크를 무시하는 사람은 승리할수가 없습니다. 일시적으로 세력을 얻을지 모르지만 나중에 가면 완전한 멸망에 이를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사자는 맹수중에 으뜸이지만 무리를 떠나서는 고립되고 공격을 당하거나 굶어죽게 되어 있습니다. 육식동물도 이러한데 초식동물은 더 심합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점을 살펴 우리도 팀워크의 중요성을 알고 모든 일에 팀워크대로 움직여나갈때 최종승리를 얻을수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8/08 17:53
수정 아이콘
축구는 soccer 인가요 foodball 인가요?
Endless Rain
19/08/08 17:56
수정 아이콘
외 축구(Soccer)가 아니죠?
빅게임피처
19/08/08 17:59
수정 아이콘
기존 쓰셨던 글들보다 훨씬 읽기 좋아졌네요. 팀워크가 중요하다... 공감합니다. 잘 읽고 갑니닷
아웅이
19/08/08 18:02
수정 아이콘
내용은 별개로하고 의미없는 (영어, 한자)도 없어졌고 뜬금없는 성경 인용도 없네요. 굿굿
Quarterback
19/08/08 18:12
수정 아이콘
실은 축구만의 특성이라기 보다는 육체적 접촉이 있는 모든 팀구기 종목의 특성이긴 합니다. 오히려 축구만 특성이라면 단순함이겠죠.
19/08/08 18:28
수정 아이콘
축구만큼 골들어갔을때 짜릿한 기분을 주는 스포츠도 없는 것 같아요. 룰도 이해하기 쉽고 직관적이죠.
及時雨
19/08/08 18:44
수정 아이콘
지금까지 중에 제일 낫네요
19/08/08 18:55
수정 아이콘
전세계에서 가장 인기 많은 종목을 하나 꼽으라면 아무래도 축구일까요?
19/08/08 19:05
수정 아이콘
한국형 축구모델로 글 하나 써주세요.
남광주보라
19/08/08 20:10
수정 아이콘
축구가 스포츠중에서 제일 재미납니다
고탄력마음
19/08/08 22:39
수정 아이콘
달린 댓글 모두가 긍정적인 성상우님 글은 제가 본 것 중에 처음인 것 같네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응원합니다.
성상우
19/08/08 23:54
수정 아이콘
북미권에서 Football은 주로 미식축구를 칭하며 그와 구분하기 위해 축구는 Association Football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거나 그냥 Soccer을 사용하는데 사실 Soccer라는 말은 미국이 아니라 영국(잉글랜드)에서 만든 말입니다. 19세기 잉글랜드에는 현재의 축구 말고도 럭비같은 다른 스포츠도 football이라고 불렸는데 그 중 손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규칙을 만든 것이 Football Association이기 때문이며 Association의 규칙을 지켜서 football을 하는 사람들은 Assoccer라고 부르다가 더 간단히 Soccer라고 불렀습니다. 이 사람들이 북미로 건너가면서 Soccer라는 단어가 퍼지게 되었습니다. 이후 럭비는 따로 떨어져 나가고 잉글랜드에서 축구가 압도적인 인기 스포츠가 되면서 자연히 Football 하면 축구를 뜻하게 된 것입니다. 반면에 미국에서는 축구가 압도적인 인기 스포츠가 아니었기 때문에 그대로 Soccer라는 말이 남아있게 된 것입니다. 간혹 미국이 혼자 잘나서 사커라고 부른다고 오해하는 사람이 있는데 호주나 캐나다도 마찬가지 이유로 아직도 Soccer라는 말을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같은 이유로 영국 코 앞에 있는 아일랜드에서도 Soccer라고 부릅니다. 한국은 영어권이 아닌 나라라서 Football과 Soccer 두 단어를 모두 사용합니다. 그런데 유럽 대부분은 Football과 어원이 같은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기존에 쓴 글보다 훨씬 읽기가 편해졌다니 감사합니다. 좀더 읽기 쉬운 글을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육체적 접촉이 있는 모든 팀구기종목에서 그런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인것같습니다. 좋은 의견에 대해 감사합니다. 한번 빠지면 축구만큼 재미있는 운동경기도 없는 것같습니다. 글에 대해서 좋은 평가에 대해 감사합니다. 제가 본 자료에 의하면 전세계에서 축구가 가장 인기있는 스포츠라고 나와 있습니다. 월드컵열기를 보면 그게 또 사실인것같습니다. 축구가 또 정말 훌륭하고 흥미진진한 스포츠임은 틀림이 없습니다. 글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주시고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coconutpineapple
20/05/23 11:53
수정 아이콘
흥미진진한 육체적 접촉이 있는 팀종목이라고 믿습니다. 맞습니다. 정재혁 지역축구 발전 진흥 학원에서 알아본 결과는 그렇다고 하더라도 본인이 하겠다는 것이 좋을 듯 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 다른 코치들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습니다 감사하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406 [일반] 마음에 안 들었던 장르소설들 [86] roqur10491 19/08/26 10491 0
82403 [일반] 라이트(Light)이론 [18] 성상우7242 19/08/25 7242 2
82401 [일반] 베플 되는 법 [53] 2211675 19/08/25 11675 87
82398 [정치] 조국 후보의 능력 [65] LunaseA17139 19/08/25 17139 39
82397 [일반] 운동으로 살을 빼는 것은 정말 권하고 싶지 않은 코스입니다. [197] 대추나무16842 19/08/25 16842 2
82396 [정치] 위선을 통해 때로는 위선이 필요함을 알린 조국 [88] kien12032 19/08/25 12032 2
82392 [일반] 전자의무기록 개선 프로젝트 (1): 아르고 프로젝트 [23] 후상8599 19/08/25 8599 8
82388 [일반] 우덕순은 친일파인가? KBS 시사기획 창의 무리수 [23] 아유10276 19/08/24 10276 10
82386 [일반] 원사운드 웹툰 '텍사스 홀덤' 소개 [42] Musicfairy19552 19/08/24 19552 3
82383 [정치] 태블릿 타령하는 박사모와 동급인 분들 [299] LunaseA24392 19/08/24 24392 74
82379 [일반] 자살이 생각날때 I'm a god, not the god [10] 사진첩7936 19/08/24 7936 5
82378 [일반] 비운의 시트콤, 크크섬의 비밀을 아시나요? [34] 불같은 강속구10413 19/08/24 10413 3
82377 [정치] [부정기연재] Daily 조국 + 고대와 서울대 촛불집회 시청후기 및 분석 [129] 차오루13537 19/08/24 13537 26
82376 [일반] 미국사는 고딩 자녀 둔 학부모 입장에서 입시 관련 잡설. [37] OrBef10627 19/08/24 10627 28
82374 [일반] 의전원 지망생 과외했던 썰. [54] Love&Hate13489 19/08/23 13489 8
82373 [일반] 넷플릭스 드라마 추천 그녀, 안드로이드 [2] 바람과별12133 19/08/23 12133 2
82371 [정치] 반자한당은 대체 어디로 가라고 이러시나. [67] 카롱카롱9490 19/08/23 9490 7
82370 [정치] 넌 '자기소개서'를 혼자 썼니? [165] 여섯넷백14152 19/08/23 14152 37
82368 [일반] 머신러닝 이야기 - 1. 딥러닝 이야기 첫번째 [80] 루트에리노9076 19/08/23 9076 35
82366 [정치] 조금 불편한 주제 [131] 스텔12729 19/08/23 12729 91
82363 [정치] 다시 말하지만, 이제 마음 편하게 살긴 글렀어요 [56] 루트에리노10867 19/08/23 10867 20
82362 [정치] 웅동학원/사모펀드 기사, 그리고 여야 의견들 [51] 여섯넷백10121 19/08/23 10121 17
82360 [정치] 조국이 절대 법무부장관이 되어선 안되는 이유 (민정수석실 직무감찰) [119] 홍승식14214 19/08/23 14214 8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