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2/23 22:33:32
Name Leeka
File #1 0004471198_003_20201222070925717.jpg (20.2 KB), Download : 89
File #2 0004471198_005_20201222070925768.jpg (30.1 KB), Download : 19
Subject [일반] 집주인이 거짓으로 갱신거부시, 지불하는 손해배상금을 정부가 감면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15&aid=0004471198

꽤 재미있는 기사가 나와서 확인해봤는데요.

주택임대차보호법은 계약갱신청구를 거짓으로 거절당해 퇴거한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집주인이 본인이나 본인이나 직계존·비속의 실거주를 이유로
세입자를 내보낸 뒤 실제론 다른 임차인을 들이는 경우다


이게, 7월에 임대차 3법이 개정되면서.  갱신청구를 거짓으로 거부할 경우.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도록 규정했습니다.


근데 이 손해배상 청구 공식이


당사자들의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 한 다음 각 호의 금액 중 큰 금액으로 한다
갱신 거절 당시의 월차임, 그 월차임의 3개월분에 해당하는 금액
또는
제3자에게 임대해서 얻은 환산월차임과 갱신 거절 당시 환산월차임 간 차액의 2년분


입니다.


여기서 '사용되는 환산월차임' 공식에는 전월세 전환율 4%가 적용되었는데요 (2020년 7월 기준)

정부에서 2020년 9월에 '전월세전환율을 4% -> 2.5%' 로 변경했습니다.


그리고 '손해배상 청구 공식은 저 전월세전환율' 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정부에서 임대차 3법을 만든 후, '2개월 뒤에.  쫓겨나는 세입자가 받을 수 있는 손해배상금을 기존 대비 62.5% 수준' 만
받게 변경한 셈이 되었다고 합니다.


?!?!?!?!?!


실제 사용될 일이 어느정도 있을지는 모르지만...   이걸 알고 바꾸지는 않았을거 같은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맥스훼인
20/12/23 22:38
수정 아이콘
전월세 전환율 변경은 집주인들이 갱신시 다들 전세에서 월세로 바꾸려할까봐 막으려고 바꿨던거 같은데 하나 막으니 다른데서 터지는 거겠죠..
20/12/23 22:50
수정 아이콘
근데 전월세 전환율이 강제인가요?
20/12/23 22:51
수정 아이콘
되도 않는 법을 계속 만들다보니 어디서 어떻게 충돌할지 아무도 예상을 못합니다.
20/12/23 22:57
수정 아이콘
전월세 전환율이 알아보니까,
- 신규계약은 아니고 갱신때만 적용됨.
- 전세 -> 월세 갈때는 적용되는데, 월세 -> 전세로 갈때는 적용 안됨.
- 월세 -> 전세로 갈때는 2년전 전세 가격 기준으로 협의.
- 근데 강제는 아니고 권고사항일뿐. 전월세 전환율 안지켜도 됨.
???

거기에 본문과 같은 의도치 않은 부작용까지...

좀 심하네요 쯧...
돌돌이지요
20/12/23 22:58
수정 아이콘
기사 내용을 보면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그런데 법조계에선 이런 말이 나옵니다

세입자가 보상받을 수 있는 금액이 겨우 1000만원 정도 수준인데
거기서 이것저것 다 빼면 변호사 수임료는 더욱 내려가고
그 가격에 소송에 착수할 변호사는 없을 것이다
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그러니까 사실상 세입자가 나홀로 소송을 진행해야 할 개연성이 높은 것이죠

또 이거 말고도 기사 보면 결국 집주인은 손해배상금으로 한 천만원 주더라도 새로운 새입자를 상대로 2, 3억을 증액할 수 있으니 되려 이득이라는 내용도 나옵니다

이런데도 입대차3법이 서민을 위한 정책, 세입자를 위한 정책이라고 철썩같이 믿고 계신 분들은 대체 어떤 사유의 영역인 건지
20/12/24 00:02
수정 아이콘
세법을 잘 모르지만 진짜라면 와우... 어매이징합니다. 흑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9607 [일반] 이런저런 이야기. [8] 공기청정기6700 20/12/26 6700 0
89606 [일반] 중국(中國) 대륙의 수준 [13] 성상우11457 20/12/26 11457 3
89605 [정치] 검찰이 스스로 내부견제 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79] WRights9821 20/12/26 9821 0
89604 [정치] 메가스터디 손주은이 말하는 대한민국의 미래 [201] 청자켓25184 20/12/26 25184 0
89603 [일반] 내년부터 오르는 부동산 관련 세금/제한 조건 정리 [69] Leeka11841 20/12/26 11841 9
89602 [일반] 바람의 검심, 칼 이야기. 검술 시대극 애니 노래 모음 [25] 라쇼12138 20/12/26 12138 1
89601 [일반] 일본에서 선정한 2020 한국의 10대뉴스 [27] 어강됴리13037 20/12/26 13037 5
89600 [일반] 가요톱텐 뮤직뱅크 94~2000년 1위곡들 [13] 말할수없는비밀10720 20/12/26 10720 1
89599 [일반] COVID-19: 스웨덴의 방역은 실패한 것일까? [95] Respublica15039 20/12/26 15039 3
89598 [일반] 보금자리론 기본 금리가 1월에 추가 인상됩니다. [16] Leeka10321 20/12/26 10321 5
89597 [일반] 쾅! 한 이야기. [3] LowCat6780 20/12/26 6780 5
89596 [일반] [성경이야기]총리와 형제들의 만남 [9] BK_Zju11258 20/12/25 11258 17
89594 [일반] 인텔 11세대 로켓레이크 1월에 양산외 메모리 루머 히나 [19] SAS Tony Parker 9306 20/12/25 9306 2
89593 [정치] 윤석열 탄핵 주장 중 재미있는 이야기 [64] 맥스훼인13683 20/12/25 13683 0
89592 [일반] 2021년 가보시길 추천하는 맛집리스트(1부 best편, 데이터주의) [40] 판을흔들어라28847 20/12/25 28847 33
89591 [정치] 보위부 직파간첩으로 누명 쓴 홍강철씨, 7년만에 무죄 “가족 힘으로 버텼다” [23] 나디아 연대기10923 20/12/25 10923 0
89590 [일반] 다섯번의 창업 [24] 칭다오8655 20/12/25 8655 29
89589 [정치] 향후 저의 투표 계획 이야기 [18] 실제상황입니다7736 20/12/25 7736 0
89588 [정치] [단독] 美의회 인권위원장 “韓 좌파 정부, 北 요구 맞추려 탈북민·인권 억압” [94] aurelius17654 20/12/25 17654 0
89586 [정치] 이시대의 영웅 [45] 하늘을보면8790 20/12/25 8790 0
89585 [정치] [시사] 청와대 개각, 대통령 담화 무산, 임종석 복귀?? [73] aurelius15591 20/12/25 15591 0
89584 [일반] '영화' WW84 : 원더우먼 1984 관람 후기 (스포 듬뿍 있음) [28] 은하관제8951 20/12/25 8951 4
89583 [정치] 보수 정권 시절의 국론분열. [203] kien17442 20/12/25 1744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