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9/13 16:58:20
Name 기찻길
Link #1 http://kor.theasian.asia/archives/333914
Subject [정치] “육사에 없는 것···김홍일·김종오 장군 등 ‘전쟁영웅’ 조형물 설치를” (수정됨)
[역사적 사실관계를 논하는 것은 감당할 바가 되질 못합니다. 하지만, 적어도 김홍일, 김종오 장군님에 대한 동상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두 분은 맥아더 장군님, 워커 장군님과 함께 한국전쟁의 4대 명장으로 인정받는 분이십니다.]

저 기고문은 동상논란 한참이전에  전 육군사관학교 안보대학원 교수가 쓴글인데  글내용 보니까 안중근 동상을 설립하는 이유를 찾으려고   안중근 조카 안춘생 육사교장의 관계와 삼촌의 가르침을 육사 교육에 인용했다는 기록을 참고 했다고 하네요.  이번 동상 논란 보니까 그논란 기준으로 안맞는  삼국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 장군 동상들까지 있는데 홍범도에게만 난리치는건 억까이긴하네요. 

최근에 백선엽 뛰우기에 반발심에 김홍일 장군, 김종오 장군이 많이 거론되는데 두분은 백선엽에 비해 인지도가 많이 낮았고 저도 몇개월전에 알 정도 몰랐던 장군들이 있습니다.  육사가 세우기로한 백선엽, 맥아더 2분은 말이 많은 장군들인데 육사 교육에 관여는 하지 않았고  김홍일, 김종오 장군은 둘다 육사 교장을 맡았으니 두분을 세웠으면 논란이 일어나지는 않았을것 같습니다. 사실 이야기를 한 이유는 주성하 탈북기자가 북한군이 공식적으로 치욕스러운 패배를 당한 한국 장군이 백선엽 장군이 아니고 김종오 장군이라는 걸 언급하고 있고 그리고  김홍일 장군에 비해 잘 안알려져서 영상 하나 소개하고자 합니다. 

1983년 국방부 선정 6.25 전쟁 4대 영웅이 김종오, 김홍일,맥아더, 워커 장군인데 백선엽은 빠져있습니다. 반대로 미국에서 백선엽을 높게 평가를 하고 있는데 미군이랑 커넥션이 잘되어서 빨리 잘알려졌다고 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패스파인더
23/09/13 17:02
수정 아이콘
춘천 6사단 주인공이 김종오 장군님이셨네요 군대 당직서다가 심심하면 이리저리 뒤져보는데 춘천 6사단의 활약을 칭찬하는 글이 참 많았던 것 같습니다
23/09/13 17:07
수정 아이콘
김종오 장군(당시 대령)이 한국전쟁 개전 당시 춘천에서 며칠을 벌면서 북한군의 서울 포위를 막았죠. 그리고 초반 붕괴된 한국군을 김홍일 장군이 한강방어선 구축하면서 재편성했고... 백선엽의 다부동 이전에 저 두 사람이 분투가 있었던 것을 잊으면 안됩니다.

뭐 김종오 장군은 혜산이나 현리 패전 같은 패전도 겪고 춘천이나 백마고지 전투 같은 승전도 거둔 장수라 백선엽에 비해 안정성이 떨어지는 느낌이긴 하고, 김홍일 장군은 김석원 장군과 함께 영어 가능자가 아닌 탓에 이후 미군 장성들에게 터부시 당하며 일선에서 밀려났다는 단점이 있지만 한국전 중의 활약이나 비중을 보면 백선엽 장군에 비해 그리 밀리는 분들은 아닙니다.
동년배
23/09/13 17:34
수정 아이콘
1983년 선정에서 백선엽은 아무래도 살아있는 사람이라 넣기 힘들었겠지만 육사 + 한국전쟁 관련해서 넣어야 한다면 이 두명은 괜찮을거라 봅니다.
체크카드
23/09/13 18:45
수정 아이콘
육사에서 해방이전 장군들은 모시면 안되는건가요??
역사적 위대한 장군들 모시면 될텐데 왜 625 이후로만 하는건지 이해가 안갑니다
또리토스
23/09/13 21:04
수정 아이콘
당장 세종/이순신도 광화문에서 치우자고 하는 판입니다
아이군
23/09/13 22:42
수정 아이콘
이것도 사실 좀 문제가 되는 부분이, 기존에 모셨던 다섯분의 흉상은 육사의 초석을 세웠다는 상징성이 있거든요.

한국은 임시정부의 법통을 이어받았다고 헌법 전문에 나옵니다. 그러니깐 임시정부->대한민국은 그냥 이어집니다.
그러니깐 임시정부에서 품은 독립군은 한국군의 전신입니다.

그러니깐 김좌진, 홍범도 장군은 한국군의 전쟁영웅입니다.

오히려 6.25가 육사와는 살짝 빗겨가 있습니다. 육사 설립과 6.25사이의 기간이 너무 짧아서, 육사 졸업생들이 뭘 하기에는 애매했거든요.
당장 저 다섯분을 치우고 올리려고 하는 맥아더, 백선엽 모두 육사와 연관성이 있는 편은 아니죠...

오히려 청산리,봉오동 전투는 육사의 전신인 신흥무관학교 출신이 주축이되어서 육사와 연관성이 더 강합니다.

6.25 영웅들도 뭐 흉상 올리면 좋긴한데, 저 5분 만큼의 상징성이 있냐면..... 글쎄요... 하지만 육사 부지는 넓으니깐 다른 곳에 모시기에는 충분하겠죠
DownTeamisDown
23/09/13 22:55
수정 아이콘
이 모든게 결국 다음정부에서 육사이전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정부는 돈이 없고 서울은 땅이없고 육사는 사람들한테 미운털이 박혔으니 육사를 지방으로 보내기 좋은 조건이죠.
해군이나 공군사관학교는 이미 지방에 있기도 하고 육군사관학교가 서울에 있다는 이유 하나로 지망율이 올라가지도 않을꺼라서 말이죠. 어짜피 임관하면 전국 순회를 하는데 육사가 서울에 있는게 큰 메리트도 아니기도 하고요
다람쥐룰루
23/09/13 23:14
수정 아이콘
6.25 참전영웅을 우대하고 싶은 마음은 이해하고 반대하고싶은 마음은 없는데 꼭 독립운동가와 대립시켜야만 했을까 싶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3974 [일반] [후원] 영남권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기부 인증 이벤트 [106] 及時雨30559 25/03/26 30559 23
104052 [일반] 중국 자동차 산업 의외의 복병, 하이브리드 [87] 깃털달린뱀15196 25/04/10 15196 11
104051 [일반] 다시 춤을 추기 시작한 미국 증시 근황 [76] 무도사14451 25/04/10 14451 0
104050 [일반] 엄청난 변동성에 녹아내리는 레버리지 etf [17] 맥스훼인10202 25/04/10 10202 0
104049 [일반] a great to time to buy 완전 주가조작 아닌가요? [38] 알파고10673 25/04/10 10673 5
104048 [일반] 챗지피티와 손자병법 시뮬레이션하기 [2] 가위바위보5345 25/04/10 5345 2
104047 [일반] 미래의 아이들은 디스토피아에 살게될것인가 [49] 방구차야6615 25/04/09 6615 1
104046 [일반] 국채금리와 자본유출 (ChatGPT와의 대화) [22] 번개맞은씨앗3500 25/04/09 3500 0
104045 [일반] (잡담) 자존심 센 첫째 딸 이야기(+후기) [21] 하나5343 25/04/09 5343 23
104044 [일반] 국제 공조 스테이블코인은 기축통화가 될 수 있을까 [55] 사부작5508 25/04/09 5508 1
104043 [일반] 트럼프 행정부의 잠재적 고율 관세 정책이 미국 및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42] 뒹구르르6627 25/04/09 6627 5
104042 [일반] 삼국지 이후의 이야기, 위진남북조 시대: (上) 진(晉)의 성립과 멸망 [13] Neuromancer5167 25/04/08 5167 18
104041 [일반] [부고] '모래반지빵야빵야'님이 오늘 선종하셨습니다. [399] LowTemplar16365 25/04/08 16365 95
104040 [일반] 질문을 하자. 정확하게. [20] 찌단6048 25/04/08 6048 6
104039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연재 휴식 + 앞으로 뭐 쓸까요? [7] 계층방정3053 25/04/08 3053 7
104038 [일반] 방금자 밴스 발언 요약 [67] Lz10230 25/04/08 10230 8
104037 [일반] 실시간 레전드 찍고있는 나스닥 근황.jpg [65] 김유라14933 25/04/07 14933 2
104036 [일반] 글로벌 무역체제 재구성: '미란 보고서'와 트럼프 경제·무역정책 [30] 스폰지뚱8617 25/04/07 8617 12
104035 [일반] 종소세 환급금 무료화 [11] 날쌘뽐이8464 25/04/07 8464 2
104034 [일반] GPT야 그림 그려줘. 조금 더.. [9] 삭제됨8256 25/04/07 8256 6
104032 [일반] 해외공장과 관세정책의 의미 [35] 번개맞은씨앗8544 25/04/07 8544 6
104031 [일반] Chat GPT Monday는 재미있음 [11] 구라리오5685 25/04/07 5685 1
104030 [일반] 쿠르츠게작트 "한국은 망했다" 를 보고 [131] 고무닦이20188 25/04/06 20188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