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4/07/24 14:49:21
Name burma
File #1 팀타선_클러치.jpg (219.0 KB), Download : 51
Subject [스포츠] [스포츠] [MLB] 다저스 팀타선의 클러치수치.jpg


는 압도적꼴찌..



클러치수치란 하이레버리지... 즉 접전상황일때 얼마나 잘 터져주느냐라고 합니다.


예컨대, 이미 크게 이기고 있을때 대량 터져주는데, 접전일때 침묵하면
팀 공격력은 높게 나오지만 ,클러치가 낮게 나옵니다.
경기를 바라보는 팬들은 발암을 느끼고요.
분명히 공격지표는 좋은데, 막상 보고 있으면 물타선같은 기분??

클러치가 좋은팀은 역전도 잘하고, 연장접전끝에 승리도 잘한다면
클러치가 안좋은팀은 선발에서 밀리거나 비기면 그걸로 끝인 경우가 많고, 역전기대는 거의 힘들다고 보면 될듯해요

올해 샌프와 다저스의 순위는 여기서 차이가 벌어지지 않나 싶네요.


한편.... 선발투수중에 ML 클러치1위는 류현진선수네요.
털릴때 대량 실점하면서 이닝, 방어율 다 떨구고,
다른 경기들은 보통 호투해서 그런가 봅니다.
근데 투수 클러치라는게 정확히 뭘의미하냐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듯 싶습니다.

여기서 클러치의 의미는
http://www.fangraphs.com/library/misc/clutch/
에 있고 계산법은 Clutch = (WPA / pLI) – WPA/LI 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7/24 14:51
수정 아이콘
클러치 1위 덜덜
얍신수
14/07/24 14:52
수정 아이콘
크보의 모 구단 예전모습보는것 같네요
전설의 동물이 존재하는..
14/07/24 14:54
수정 아이콘
이건 정말 팬입장에서보면 딱 나오죠..
감정이란것으로 머릿속에 기억이 되다보니.. 크크..
김익호
14/07/24 14:56
수정 아이콘
사실 류현진 선수에 대해서 걱정되는 부분이 그겁니다

클러치 히터나 클러치 투수라는건 존재하지 않습니다.
최고의 클러치 히터라 평가받던 오티즈도 결국 본인 타율에 수렴했죠.
랜디존슨, 그렉매덕스 등 결국엔 득점권 피안타율=피안타율로 수렴 했습니다.

류현진이 작년에 득점권 피안타율이 일반 피안타율보다 4푼정도 낮았던 걸로 기억하는데
피안타율을 낮추지 않으면 지금보다 방어율은 올라갈 겁니다
선형대수세이지
14/07/24 14:59
수정 아이콘
그거 감안한 스탯이 FIP 인데 그것만 보면 올해 작년보다 더 잘해주고 있죠. 작년보다 볼넷도 안주고 삼진은 더 많이 잡고 있으니까요.
14/07/24 14:59
수정 아이콘
근데 그건 작년 얘기이고, 올해는 별로 안그런듯 싶어요.

득점권 피안타율이 얼마인지는 확인안해봤지만.
잔루율을 보면 작년엔 78.2%로 리그 평균보다 좋았지만
올해는 72.1%로 평균 이하이죠..

실제로 작년보다 방어율이 안좋은 상태이고요.
14/07/24 15:03
수정 아이콘
무엇보다 위 지표의 클러치는..
클러치 투수의 개념과는 좀 거리가 있지 않나 싶어요.

김익호님이 말한 클러치 투수에서의 클러치는 출루는 많이 내주지만
점수는 안내주는.. 즉 잔루율이 높냐 안높냐의 위기관리 개념이지만.

류현진이 올해 높은 클러치수치는, 걍 팀 입장에서 점수차 하이레버리지일때
얼마나 잘던져주느냐 그런 개념쪽 같거든요?(저도 정확한 개념은 불분명)

암튼 류현진의 올해 잔루율은 리그평균보다도 못한걸 고려하면, 김익호님이 말하신
그런 개념은 아닌걸로 보입니다.

그런 개념의 클러치투수는 류현진은 거리가 멀고, 차라리 잔루율높은 베켓이 가까운거죠.
선형대수세이지
14/07/24 15:12
수정 아이콘
`
14/07/24 15:17
수정 아이콘
링크는 본문에도 있습니다.
선형대수세이지
14/07/24 15:21
수정 아이콘
못 봣네요 크크
14/07/24 15:25
수정 아이콘
혹시 정확히 해석해주실수 있나요? 흐흐
선형대수세이지
14/07/24 17:00
수정 아이콘
저 역시 잘 모르니 잘못 알고 있으면 다른 분이 올바르게 바로 잡아주시길 바라는 이기심을 발휘하며 글을 씁니다 크크.

레버리지 인덱스는 당연히 알고 계시겠지만 선수가 들어서는 상황에서 이 경기의 압력, 긴장도를 나타내는 거죠. 아시겠지만 설명을 하자면 무사 1,2 루의 레버리지 인덱스는 무사 주자없는 상황의 레버리지 인덱스보다 높죠.

WPA 는 윈 프로바빌리티 애디드인데, 한마디로 이 선수의 활약으로 인해 팀이 승리할 가능성이 얼마나 올라갔느냐를 의미합니다. 본문의 예를 들면 좀 복잡하지만 레이스 vs 디트로이트의 대결에서 선발 투수들의 실력, 양팀 팀 타선의 실력을 통계에 기반해 비교했을 때 레이스가 약간 불리해 윈 프로바빌리티가 45% 인 상황에서 좁노예가 2점 홈런을 뙇 쳐서 레이스가 2 대 0으로 앞서 나가게 되어 윈 프로바빌리티가 75% 로 상승했다면 벤좁의 WPA 는 0.3 이 되는 거죠. 그리고 그 다음 타석에서 벤좁은 큰 활약을 못하고 삼진만 당해 레이스의 윈 프로바빌리티를 70% 로 낮췄다면 0.3-0.05 가 되어 벤좁의 WPA 는 0.25가 됩니다.

그런데 이 WPA 는 잘 생각해보면 LI 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됩니다. 하이 레버리지 상황이라는 건 바꿔 말하면 찬스 상황이라는 거고, 이 상황에서 자주 나왔던 선수는 아무래도 자주 나오지 않은 선수보다 WPA 를 많이 올릴 가능성이 높죠. 똑같은 타/출/장을 가진 선수 두 명이 연달은 타순에 있는 팀을 생각해 봅시다. 두 선수의 한 경기 성적은 모두 5타수 2홈런인데 한 명은 2 홈런을 칠 때 모두 무사 만루였고 한 명은 앞선 한 명이 주자일소를 시키는 바람에 주자가 없었다면 WPA 는 아무래도 앞선 선수가 대폭 많이 벌어가게 되죠.

때문에 이 두 사람의 레버리지 상황에 따른 성적이 아닌, 중립화된 WPA 를 원할 때 보는 것이 WPA/LI 입니다. 즉 이건 레버리지를 따지지 않은 그 선수의 순수 탈렌트를 보는 거라고 보시면 되죠. 이때 제가 알기로는 - 한 마디로 확실히 모르겠으니 더 잘 아시는 분이 확언해 주시면 좋겠다는 이기심 - 총 WPA / 총 LI 합산이 아닌 매 타석마다 WPA / 매 타석 LI 를 더한 게 WPA / LI 로 알고 있습니다. 즉 두 타석 에 들어서서 각각 WPA 0.3, LI 1.0, WPA -0.1, LI 1.0 이었을 경우 0.2/2.0 = 0.1 이 아니라 0.3/1.0 + (-0.1/1.0) = 0.2 가 되는 거죠. 뭐 당연한 이야기지만...

그러면 WPA/pLI 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pLI 의 정의는 그 선수가 한 경기에서 들어서면서 겪은 모든 LI 값의 평균입니다. pLI 가 크다면 그 선수는 하이 레버리지 상황을 자주 맞이한 것이고, pLI 가 낮다면 로우 레버리지 상황을 자주 맞이하게 된 것이겠죠.

그런데 이걸 왜 WPA/pLI 로 나눠 주는가? WPA 는 하이 레버리지 상황을 자주 맞이할 수록 커질 확률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똑같이 WPA 지만 얼마나 하이 레버리지 상황을 많이 맞이하여서 얻어낸 WPA 가 아니라, 얼마나 하이 레버리지 상황에서 잘 하여 얻어낸 WPA 인가를 보는 거죠. WPA 가 6.0 인 두 선수가 있는데 한 명은 pLI 가 1.0 이라면 WPA/pLI = 6.0 이 되지만, 다른 한 명의 pLI 가 1.2 라면 5.0 이 됩니다. 즉 WPA/pLI 가 큰 전자는 후자보다 하이 레버리지 상황을 더 적게 맞이했는데 똑같은 WPA 를 기록했다는 건 후자보다 하이 레버리지 상황에서 더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고 볼 수 있다 여기는 겁니다.

이렇게 되면 (WPA/pLI) - (WPA/LI) 를 왜 클러치로 사용하는 지에 대한 이해도 어느 정도 되셨으리라 봅니다. (단순히 찬스를 많이 맞이해서 잘한 게 아닌 찬스에서 얼마나 잘해 얻어낸 결과값인가?) - (레버리지를 고려하지 않은, 중립화된 이 선수의 실제 기여도는 얼마인가?) 를 보는 거죠.
14/07/24 17:13
수정 아이콘
자세한 설명 정말 감사합니다.
최종병기캐리어
14/07/24 15:10
수정 아이콘
세이버 메트리션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예전에 어느글에선가 클러치 능력은 없다라고 다들 그러던데.....
14/07/24 15:16
수정 아이콘
클러치능력이 없다고 말할때의 그 클러치가
이 지표상의 클러치랑 같은건지는 모르겠는데...

대략. 걍 결과적인 면에서 팀 승리에 기여하는 영양가가 얼마나 좋았냐..
정도로 보시면 될듯해요.
함순이는함순함순
14/07/24 15:17
수정 아이콘
어느 스탯이던지 한시즌 정도의 짧은 기간에는 얼마든지 이레귤러가 생길수 있으니까요. 그 기간을 길게 놓고보면 결국 수렴하게 된다는거구요.
14/07/24 15:16
수정 아이콘
마치 프로리그의 제왕 김택용을 보는 느낌입니다. 그런데 샌프랑 다저스랑 경기 차이가 별로 안 나는 거나 텍사스 순위를 보면 승패의 양과는 영향이 적은 듯싶네요.
Lightkwang
14/07/24 15:25
수정 아이콘
화삭이랑 디벡스가 클러치 상위권이라니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13197 [스포츠] [스포츠] [MLB] 다저스 팀타선의 클러치수치.jpg [18] burma5214 14/07/24 5214
213168 [스포츠] [스포츠] [퀴즈] 이 선수는 지금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을까요? [14] Vienna Calling4420 14/07/24 4420
213167 [스포츠] [스포츠] 클로저 이상용 - 그의 정체는? [22] 눈시BBv33927 14/07/24 3927
213159 [스포츠] [스포츠] 위닝 최고의 개사기팀 [15] Duvet9579 14/07/24 9579
213132 [스포츠] [스포츠] 미래 한국 국대의 현 여친 [9] 사티레브9939 14/07/23 9939
213131 [스포츠] [스포츠] PGR 제목학원 금일의 과제. [18] V.serum5627 14/07/23 5627
213127 [스포츠] [스포츠] 로나우도 원박스 치느님 [15] 요정 칼괴기5070 14/07/23 5070
213125 [스포츠] [스포츠] NBA 90년대 4대 센터 스탯 [17] Duvet6451 14/07/23 6451
213123 [스포츠] [스포츠] 시구, 시타하는 옥춘이형 주니어들 .swf [10] 삭제됨3201 14/07/23 3201
213111 [스포츠] [스포츠] 기아 이대형 선수 LPG 출신 한영과 10개월째 열애 중 [18] 타나토노트7197 14/07/23 7197
213107 [스포츠] [스포츠] 카메라맨의 흔한 남녀차별.. [2] k`5505 14/07/23 5505
213104 [스포츠] [스포츠] 사실은.. (213087글 참조) [10] V24407 14/07/23 4407
213099 [스포츠] [스포츠] [야구] 각 구단 판매 물품 중 우산 [28] 타나토노트5514 14/07/23 5514
213098 [스포츠] [스포츠] 팬 서비스 [14] 치킨너겟4740 14/07/23 4740
213095 [스포츠] [스포츠] 마리오 콩메즈 [4] Manchester United3910 14/07/23 3910
213087 [스포츠] [스포츠] 일본에 간 호날두 [10] 타나토노트6449 14/07/23 6449
213083 [스포츠] [스포츠] 보급형 찰리아담 [13] 미캉8367 14/07/23 8367
213080 [스포츠] [스포츠] 여자들이 좋아하는 근육질몸 [8] Duvet9320 14/07/23 9320
213078 [스포츠] [스포츠] 서조던 동맥기 '자베일 맥기' [11] Duvet7296 14/07/23 7296
213077 [스포츠] [스포츠] 벵거 "아 개사기 ㅡㅡ" [20] 미캉6291 14/07/23 6291
213075 [스포츠] [스포츠] 아사다마오 리즈시절 [11] Duvet7931 14/07/23 7931
213070 [스포츠] [스포츠] 축구가 가장 쉬웠어요.txt [14] 타이밍승부8569 14/07/23 8569
213066 [스포츠] [스포츠] 잠자리 [4] No.4 Ramos3838 14/07/23 383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