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JUNG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7/17 23:20:28
Name 가라한
출처 개인 경험입니다.
Subject [유머] 싱가포르의 완벽한 육아 시스템. (수정됨)
몇 년 전에 유럽계 회사를 다니던 시절의 이야기입니다.
싱가폴 출신 박사로 유럽 본사에서 일하던 한 엔지니어가 한국 출장을 와서 같이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습니다.

나: 그래 유럽 생활은 어때? 좋아?
싱가폴 출신 엔지니어(이하 싱): 아니 힘들어. 돈이 너무 적어. 뭔 놈의 세금이 그리 많은지...
나: 하긴 그 동네야 기본 50%는 세금 먹고 들어가니까. 그래도 거긴 세금이 센 대신 복지가 좋잖아.
싱: 아니, 도대체 복지가 뭐가 필요해. 난 필요성을 하나도 모르겠어.
나: 흠, 그래? 요즘 한국은 도리어 복지 땜에 이슈인데. 당장 나만해도 애들 키우기가 너무 힘들어 돈도 많이 들고. 거긴 4세 부터 의무 교육으로 애들 케어 해 주니 얼마나 좋아.
싱: 이해가 안 돼. 그딴거 없어도 싱가폴에선 애 키우는데 문제 하나도 없다구.
나: 그래? 도대체 싱가폴에선 맞벌이 하면 애를 어떻게 키워?
싱: 우린 한달에 200불만 주면 애 돌봐줄 말레이시아 보모들이 널렸다구.
나: 아.......... (순간 할 말을 잃음)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

"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
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이민들레
19/07/17 23:24
수정 아이콘
저도 같은 얘기 듣고 최저임금에 대해서 조금 생각이 ....
Notorious
19/07/17 23:27
수정 아이콘
자본주의 세상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양극화는 심해질텐데 저같은 일반사람이 그걸 극복하기 위한 방법은 주식이나 부동산이죠. 특히 주식은 생산수단의 소유라는 점에서 어설프게하는 치킨집보다 훨씬 좋죠. 나라에서 하는 큰 방법은 복지. 근데 한국 정서상 모두 호불호가 심해요. 전 결국엔 주식이 이길거라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복지한다고 세금 더 내라는거 절대 용납 못할꺼에요. 문재인형이 아무리 구석구석 꼼꼼히 세금 올리려고 발악해도 ..
19/07/18 00:36
수정 아이콘
으음. 그거야 말로 더 큰 양극화를 만드는 길이 아닐까요?
주식시장이 잘 되면 그야말로 더 큰 자본이 더 크게 먹는..
피식인
19/07/17 23:32
수정 아이콘
외국에 일하러 나가는 네팔 사람들에 대한 방송을 본적이 있는데, 한국 같은 나라들이 선호되는 이유 중 하나가 외국인에게도 차별없는 최저임금 때문이기도 하더라구요. 중동 같은데로 일하러 가면 내국인/외국인 최저임금이 달라서 돈 모으기 빡빡하다고 하더라구요. 싱가포르 잘사는걸로 알고 있는데 한달에 200불로 퉁치는거면 여기도 그런 시스템이 아닌가 싶네요. 방송에서 본 부작용은 외국인 최저임금을 따로 둘 경우, 그거 받고는 현지 생활이 불가능해서 내국인이랑은 완전히 분리된 외노자들만의 하층민 사회가 형성되는거 같더군요.
가라한
19/07/17 23:34
수정 아이콘
저도 그 때 자세히 물어 보지는 않았는데 싱가폴 같은 경우 말레이시아 분들이 출퇴근이나 주말 왕복도 가능하지 않나 추측이 되네요. 그러다 보니 2중 급여 체계를 해도 별 부작용도 없고. 참 싱가폴은 의외로 복받은 구석이 있는 듯 합니다.
다빈치
19/07/18 01:09
수정 아이콘
싱가포르는 최저임금이 없습니다. 정부에서 최저임금은 시장선택에 따라 결정된다고 해놨어요 크크
19/07/17 23:32
수정 아이콘
동남아인끼리 서로에 대한 인종차별이 어마어마하게 심하다던데
구라쟁이
19/07/17 23:58
수정 아이콘
인종차별이라기보단 민족 차별이 심합니다....
왜냐면 서로 싸워온 나라라서...
도들도들
19/07/17 23:35
수정 아이콘
가사의 외주화가 국경을 넘은 건 오래 됐죠. 우리도 조선족 얼마나 많이 쓰는데요.
그런데 싱가포르는 특수한 케이스로 봐야 합니다.
워낙 작은 나라라, 말레이시아에서 거주하면서 출퇴근이 가능하니까 저런 게 가능한 거고,
일반적인 규모의 국가에서는 해당국가 거주비를 부담해야 하는데 임금을 저런 식으로 낮출 수가 없죠.
19/07/17 23:38
수정 아이콘
싱가폴 보모들 입주 아닌가요?
가라한
19/07/17 23:41
수정 아이콘
입주라 하더라도 숙식 제공에 주말에 집에 다녀 오면 되니 괜찮지 않을까 추측 해 봅니다.
풍각쟁이
19/07/18 11:37
수정 아이콘
남아공에서 체류한 경험에서 보면 도우미와 백인 직장인의 경우 열 배에서 스무 배까지도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Jedi Woon
19/07/17 23:59
수정 아이콘
홍콩에도 저런 이주민 보모, 가정부들이 꽤 많고, 갈등이나 문제도 생기고 있다고 하던데.....
19/07/17 23:59
수정 아이콘
아는분도 동남아인 보모쓰더라구요
한국에서요
츠라빈스카야
19/07/18 00:14
수정 아이콘
혹시 몇 달 전에 미국에서 사망하신 조회장님네......?
mystery spinner
19/07/18 01:04
수정 아이콘
음 200불은 한 십년전 얘기 같네요. 말레이시안 내니는 주로 산후도우미 Confinement nanny들인데, 지금은 1800불 이상 줘야해서 산후도우미 아니면 필리핀, 인도네시안, 미얀마 입주 헬퍼를 들이는데 샐러리 외에 levy, 식비 및 기타 등등 비용하면 천불 이상은 들어요. 육아에 전문성은 물론 기대하기 힘들구요. 그래도 한국보다 낮긴 하지만 대신 어린이집, 놀이방이 3시간 기준 월 천불 이상씩 하네요.
구르미네
19/07/18 01:33
수정 아이콘
싱가포르 입주 가정부 표준가격이 월 1,000불이고요.
게다가 외국인에게는 자국인에 비해서 20퍼센트 비싼 가격이 붙기 때문에 싱가포르인이 느끼는 것과 외국인이 느끼는 것은 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교육비도 예를 들면 초등학교는 인터네셔널은 그렇다 치고 공립은 PR(영주권)이 있어도 외국인이 들어가기는 하늘에 별따기 이지만 그나마 가격도 비쌉니다.
에프케이
19/07/18 08:53
수정 아이콘
싱가포르가 생각보다 인종차별이 심한 나라더군요.
동아시아 사람들이 가서 무시받지 않고 호의적으로 봐주니까 못느끼는 것일뿐
말레이계나 인도계는 중국계에 비해서 사람 대 사람으로서의 대우가 많이 안좋더라구요.
붕어가시
19/07/18 09:53
수정 아이콘
지금 미안마 입주 가정부 월 700불씩 주고 쓰고 있습니다(싱가포르입니다). 아이 둘 키우는 입장에서 직장 다니는 마눌님의 만족도가 높네요. 여성인력 활용에 있어서 이렇게 가성비가 높은 정책은 아마 없을 걸요.

인종 차별 심합니다. 30년전에 이민오신 교민에 따르면 한국인 위상이 필리핀과 그리 다르지 않아 서러운 일을 많이 겪으셨대요. 지금은 "문명인" 대접 받지요. 늘어난 국력과 한류 덕분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146634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72337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76536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989100
514905 [유머] 올해도 어김없이 돌아온 [3] 카루오스2293 25/05/01 2293
514904 [유머] SKT가 유심 정보 암호화를 안 한 이유 [9] 나미르2313 25/05/01 2313
514903 [기타] 스위치2에 대한 유저들의 기대 [1] 닉넴길이제한8자2218 25/04/30 2218
514902 [유머] 영화 촬영 도중 리얼하게 찍힌 장면들의 비밀.jpg [7] 한화생명우승하자3894 25/04/30 3894
514901 [유머] 추천게시판 [4] 김삼관3120 25/04/30 3120
514900 [유머] 골목식당 나왔다가 억까당한 타코야키집 사장 [74] 나미르5672 25/04/30 5672
514899 [동물&귀욤] 퇴근길이 기다려지는 상황 [1] 길갈2185 25/04/30 2185
514898 [유머] 폭스뉴스 피셜 트황상 4개월차까지 없적 [20] 인간흑인대머리남캐4153 25/04/30 4153
514897 [유머] 특이한 선생님 이름들 [6] Croove2594 25/04/30 2594
514896 [LOL] 이 시각 농심 공트 [18] 카루오스3425 25/04/30 3425
514895 [유머] 이번 SKT 유출 사태가 정말 대형참사인 웃픈 이유 [19] No.99 AaronJudge5870 25/04/30 5870
514894 [유머] 슈크림 도어가 열립니다 [4] 퍼블레인3244 25/04/30 3244
514893 [기타] 추성훈 딸 사랑이 근황.MP4 [9] insane4730 25/04/30 4730
514892 [서브컬쳐] 아동 성적 컨텐츠로 경고받은 예시 [16] 깃털달린뱀4820 25/04/30 4820
514891 [유머] 24조짜리 한 끼 식사.jpg [8] Starlord5144 25/04/30 5144
514889 [유머] 짜장돈까스가 물 마시는 만화.manhwa [14] 인간흑인대머리남캐3510 25/04/30 3510
514888 [유머] 충격과 공포의 써브웨이 5월 신메뉴 [51] 독서상품권5736 25/04/30 5736
514887 [기타] SOOP 5월 같이보기 리스트 [11] Rated3467 25/04/30 3467
514886 [LOL] 어제 갑자기 올스타전 열린 프로게이머 아레나 모임.jpg [7] insane3872 25/04/30 387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