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11/23 12:30:44
Name galax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BiLdKZ-X3Ds
Subject [유머] 스님과 신부님이 보는 차례와 제사

종교인 두 분이 나와서 조곤조곤 말씀하시는 게 재밌네요. 기본적으로 종교인의 강연(?)같은 것에 거부감이 있는데 이 두분이 나와서 말씀하시는 건 그런 게 전혀 없어 신기합니다.

차례가 불교 전통인 것도 처음 알았네요. 근데 그게 불교와 대척점에 있었던 유교의 상징과도 같은 문화가 됐다는 게 아니러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니팅커벨여행
20/11/23 12:49
수정 아이콘
유교는 불교를 겉으로는 죽도록 싫어했지만 사실 가장 좋아하고 있었...
아밀다
20/11/23 13:05
수정 아이콘
재미있네요. 잘 봤습니다. 뇌절하지 말고 적당히 훈훈한 것도 나쁘진 않아요.
20060828
20/11/23 13:16
수정 아이콘
이 채널 재밌죠.
서로 감정 잡아갈 때 찬물 딱 끼얹는 컨셉이 재밌어요.크크
20/11/23 13:32
수정 아이콘
그 전생에 죄지으신 신부님이시군요 크크
40년모솔탈출
20/11/23 13:51
수정 아이콘
불교를 제일 싫어하는 신부님 크크크크
20/11/23 13:57
수정 아이콘
우리의 차례가 불교 풍속에서 온 건지, 아니면 주자가례(송나라 시절 주희가 지은 가례법 책)의 세시풍속 제사에서 온 건지 애매하네요;;
그런데 사실 성리학 자체가 유학자들의 불교 연구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니 뭐.
20/11/23 17:12
수정 아이콘
"차례라는 이름은 조선시대 숭유억불 이전 고려 때에 차를 제사상에 올리던 것의 흔적이다. 이름대로 원래는 차를 올렸지만 조선시대에 불교색을 빼면서 술을 올리는 것으로 바꾸었다."

제사의 기원은 토테미즘이나 샤머니즘과 같은 원시신앙에 있다. 자연재해, 질병, 맹수들의 공격 같은 인간집단의 생존에 위협이 되는 재앙을 막기 위해 하늘이나 땅, 강이나 바다, 오래된 나무, 높은 산, 조상 등에 절차를 갖추어 빌었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기본적으로 모든 종류의 신성에 대하여 지내는 종교 의식은 '제사(祭祀)'로 통칭할 수 있다. 이는 조로아스터교와 아브라함 계통 종교 같이 인류사 초기에 세계 각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현상이다.

한국의 전통적인 제사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한자 문화권을 바탕으로, 한반도의 지역적 특성이 섞여 형성되었다. 고대 중국 상나라(은나라)의 왕 조갑이 주변 토착신을 배제하고 조갑의 직계 조상만 섬기는 조상신 풍습을 만든다. 이것을 뒷받침하는 것이, 기록을 보면 상족의 조상은 직계인 근조선공과 직계가 아닌 원조선공으로 나뉘는데, 상나라에서 제사는 직계 선조인 근조선공에게만 지냈다. 조갑은 왕의 어령에 반발하는 사람을 막기 위해 "자신의 조상을 숭배하면 농사가 잘 되고 전쟁에서 승리하며 재앙을 막아준다"는 등 만사가 다 잘 돌아간다고 퍼뜨렸다. 그리하여 이때부터 조상 섬기는 문화가 생기기 시작한 것이 제사의 시초다.


삼국시대 이전: 토테미즘이나 애니미즘, 하늘 숭배 사상이 유행하는 원시적인 종교 형태를 띠고 있다.

삼국시대 초기: 고조선, 부여, 고구려, 삼한(마한, 진한, 변한)에선 동맹, 수신, 영고 등 우리 고유의 산과 강, 신과 하늘에게 지내는 의식 비슷한 제사가 진행됨. 이후 왕조의 형태가 잡히면서 주로 황실에서 시조에 대한 제사가 진행됨. 이때 고구려에서 시조의 조각상을 세우고 그를 숭배하는 제사는 고려에도 이어진다.

삼국시대 중후반 ~ 남북국시대: 불교와 도교의 수입이 이루어지면서 절이 세워지고 불교식 제사가 자주 진행됨. 팔관회나 연등회 같은 행사가 황실 위주로 이루어짐. 신라에선 도교식 제사인 초제[가 행해져 조선 중기까지 이어진다. 이후 유교의 수입도 이어져 신라에선 종묘와 사직단이 설치되어 황실에서 유교식 제사가 이루어진다.

고려시대: 삼국의 제사들이 이어져 내려오고 성종대에 종묘와 환구단, 사직단 등을 설치해 황실에서 제사를 시행, 민중들은 팔관회, 연등회 등에 참가했다.

고려 말: 성리학의 수입과 더불어 주자가례에 따라 가문의 무덤(가묘)를 설치하려는 운동이 사대부 사이에서 활발해졌으나 별로 보급되진 않음. 절에 제사를 대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조선시대 초기: 불교의례의 전통이 남아 주자가례와 같은 유교의례는 사회전반에 보급되지 않음. 경국대전에서는 사대부만 4대, 6품 이상 관료는 3대, 7품 이하 관료는 2대, 서민은 부모만 제사 지내도록 했다.

16세기 중반: 성리학이 심화되어 양반사회에서 주자가례가 정착되고 주자가례에 명시된 4대조까지 제사를 지내는 전통이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면서 조상에 대한 존경과 추모의 표시로 행하여 지고 있다. 20세기 이후 개신교의 유입으로 인해 개신교 신자들은 제사를 거부하곤 한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05297 [유머] 딱 하나 초능력이 강제로 생긴다면? [79] KOS-MOS10484 20/11/27 10484
405296 [유머] 윈도우95 발표현장.gif [32] 그10번13055 20/11/27 13055
405295 [유머] 첫 출근했는데 하루만에 짤렸어... [54] KOS-MOS15078 20/11/27 15078
405294 [유머] 병무청 챗봇 이름공고.jpg [9] 이교도약제사11818 20/11/27 11818
405293 [기타] 신약 위경인 '토마스 복음서'에 나오는 '페미니스트' 예수 [12] 성아연9992 20/11/27 9992
405292 [기타] 코로나 시대의 오케스트라 공연.ytb [5] VictoryFood9097 20/11/27 9097
405291 [기타] 지구는 26초마다 진동합니다. [23] 문문문무13381 20/11/27 13381
405290 [유머] [퍼옴]이인임이 헛으로 권신이 된 게 아닌 이유 [17] 성아연15427 20/11/27 15427
405289 [방송] 9살 바이올린 영재를 레슨하는 월클 바이올리니스트.ytb [8] VictoryFood11070 20/11/27 11070
405288 [기타] 닉값 제대로 하신 분들 [10] 물맛이좋아요9498 20/11/27 9498
405287 [유머] 남자들이 빨리 죽는 이유.gif [23] VictoryFood13395 20/11/27 13395
405286 [유머] 평범한 할머니집 [11] 이정재11761 20/11/27 11761
405285 [기타] 라데온 RX 6800 시리즈는 가격 문제에 봉착? [6] TWICE쯔위8270 20/11/27 8270
405284 [LOL] 극에 다다른 한국팬들 유니폼 합성 능력 [4] Rain#18483 20/11/27 8483
405283 [서브컬쳐] 액션영화의 cg처리 전후 [10] 카루오스8790 20/11/27 8790
405282 [게임] [철권]위기에서 구해준 근본 [10] kogang20019365 20/11/27 9365
405280 [유머] 예전에는 임금을 알현할 때 안경은 금지였죠 [41] 공항아저씨14399 20/11/26 14399
405279 [동물&귀욤] 자연의 생태계를 거스른 다큐멘터리 감독. [6] 진산월(陳山月)9642 20/11/26 9642
405278 [유머] 요즘 아이들은 모르는 It템 [20] Aqours10155 20/11/26 10155
405277 [게임] PS5와 XSX/S의 데이원 추정 판매량 [29] 아케이드7389 20/11/26 7389
405276 [연예인] 다음 장면이 기대되는 사진 [5] Neo12759 20/11/26 12759
405275 [기타] 신칸센 전 구간 휴대폰·인터넷 사용 가능.news [19] VictoryFood12033 20/11/26 12033
405274 [유머] 요즘 애들은 모르는 미니 수영장.jpg [15] KOS-MOS11455 20/11/26 1145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