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12/04 17:08
    
        	      
	 존리 선생님의 철학과 마인드는 배울만합니다.
 평생하는 투자 적금식으로 길게 보고 가야하는건 배웠습니다. 다만 메리츠에서 운용하시는 펀드 수익률은 그닥.. 
	20/12/04 17:09
    
        	      
	 너무 극단적인 가치투자자죠. 
 자본 규모가 훨씬 크고 투명한 미국시장에 적용하면 몰라도 시총 10분의 1도 안되는 한국주식에서 무작정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단적으로 메리츠 펀드의 수익율도 인덱스조차 못따라가는 경우가 많아요. 
	20/12/04 17:16
    
        	      
	 존리 등이 주장하는 가치투자라는 개념이 성립하려면 
 '저평가 우량주 혹은 좋은 회사 + 장기보유' - > '시장수익율 상회' 라는 대전제가 성립되어야하는데, 이게 안되면 위에서 말하는 엑티브 펀드나 가치 투자를 할 필요가 없어지죠. 그냥 인덱스 보유하거나, 그때그때 매매로 대응하는게 낫습니다. 저분 말대로 10년전 시총 상위 우량주 지금까지 들고 있었으면 수익율은 그야말로 처참하겠죠. 딱 두 종목 살아남았습니다. 삼성전자와 LG생활건강 
	20/12/04 18:24
    
        	      
	 이 사람 쓴 책 읽어보면 한국에 참 저평가 되어 있는 주식들이 많다며 한국에 눈을 돌려라 한국인들은 저력이 있다 한국에 투자해라 이런 말들을 몇장에 걸쳐서 하죠. 
 
	20/12/04 18:25
    
        	      
	 그럴수도 있는데 가장 추천하는건 연금저축펀드를 가입 후 소득공제(약 60만원) 받는 연 400만원어치 미국 ETF를 사라입니다. 원 댓글에 미국주식에나 적용된다는 말씀이 있어서요. 저 방법이 좋다 아니다를 말하는 건 아닙니다. 
 
	20/12/04 17:40
    
        	      
	 본인도 자금 분할의 중요성을 알고 있을텐데 무조건 주식만 외치는 건 좀...
 은행, 주식, 달러, 펀드, 금, 코인 등 문어발처럼 그중에서도 안정적인 것과 역동적인 것의 조화를 이뤄서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것만이 정론이라고 생각합니다. 
	20/12/04 17:56
    
        	      
	 예전에 미래에셋증권 박현주 회장님도 [돈은 아름다운 꽃이다]라는 책을 내며 투자인생과 투자에 대해 말씀하셨죠.
 ....인사이트 펀드 나올 때였고 출간일이 2007년 8월 27일 
	20/12/04 17:56
    
        	      
	 이런 글은 보고 즐기면 되는 거죠.
 본인도 100% 다 옳다고 주장하는 건 아닐 겁니다. 큰 그림에서 보면, 자본주의 사회에서 주식을 빼고 투자를 생각할 수는 없는 것이고, 한다면 가능하면 긴 기간, 기왕이면 어렸을 때부터 투자에 노출되는 것은 필요하다고 봅니다. 고등학생 시절에 기본적인 경제/ 투자 교육 같은 것을 받을 수 있으면 어떨까 합니다. 적어도 대학생 시절에 그런 것이 있었으면 좋았을텐데, 라는 생각을 예전에 해 보았죠. 
	20/12/04 18:13
    
        	      
	 전 이 사람 책 (왜 주식인가) 읽고나니 알겠더라구요..돈 주고 안사서 다행; 
 특히 앞부분 국뽕은 관문급이라 참 힘들었습니다.. 
	20/12/04 18:28
    
        	      
	 1번부터 논쟁의 여지가 있다고 보이고 장투와 가치투자의 중요성도 알고 글에도 맞는 말도 있지만 틀린말도 있어서요. 
 여하튼 주식하려면 공부부터 해야하고 자기만의 철학이 중요하죠. 그게 가치투자든 기술적 투자든 뭐든. 
	20/12/04 20:36
    
        	      
	(수정됨) 마케터로서 본인회사 AUM 증대 및 메리츠자산운용 네임밸류 상승시켰으니 펀드매니저가 아닌 회사CEO로서 역할은 충실히 했다고 생각합니다. 시니어들의 최고능력은 세일즈인데 이 분때매 리테일고객들 많이 메리츠자산운용 펀드로 유입되었을테니깐요. 어짜피 대표이사면 본인이 펀드 안굴려요 전문사모아닌이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