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5/25 17:03:04
Name Leeka
File #1 0004592211_001_20210525161801253.jpg (93.4 KB), Download : 76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08&aid=0004592211
Subject [유머] 2021년 1분기 전세계 TV시장 매출 점유율 (수정됨)


삼성 + 엘지 합이 52.1% 로 과반 돌파..


75인치 이상 매출 점유율은 삼성이 46.5%
80인치 이상 매출 점유율은 삼성이 52.4% 로.. 대형 TV 시장에서는 독주중..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구르는너구리
21/05/25 17:05
수정 아이콘
판매대수 기준인가요? 금액 기준인가요?
뭐가됐든 대단하긴 하네요.
21/05/25 17:06
수정 아이콘
매출 기준이라고 합니다. (제목에 혼동 없게 수정을)
칠데이즈
21/05/25 17:08
수정 아이콘
LG가 티비도 삼성한테 밀리나 보네요?
Bronx Bombers
21/05/25 17:10
수정 아이콘
애초에 LG가 앞선 적이 없을걸요
삼성이 TV 세계 1위는 거의 20년 다 되어가는걸로 압니

그리고 가전도 매출로만 보면 삼성이 LG보다 앞설겁니다.
백년지기
21/05/25 17:13
수정 아이콘
저도 글로벌 점유율이 삼성이 앞서는 줄은 알았지만 2,3등 합쳐도 1등한테 안될 정도의 격차일줄은 몰랐네요.
지니팅커벨여행
21/05/25 18:47
수정 아이콘
가전 매출은 월풀에 이어 LG가 2위라고 합니다.
2020년 원화 환산기준 월풀 22조8천655억원
LG 생활가전(H&A) 22조2천691억원
삼성은 찾아봐도 안 나오네요.
21/05/25 17:12
수정 아이콘
삼성이 15년인가 세계 1위입니다.. TV시장은..
덴드로븀
21/05/25 17:13
수정 아이콘
언제나 2위였습니다.
블리츠크랭크
21/05/25 17:14
수정 아이콘
OLED 티비가 프리미엄 시장에서 선전중인거지 전체로 보면 20여년간 이긴적이 없습니다
Wonderboy
21/05/25 17:18
수정 아이콘
TV 세트 판매는 삼성이 항상 앞서왔습니다.
대형 패널 출하량은 LGD가 많구요.
21/05/25 17:35
수정 아이콘
가장 많이 팔리는 LCD TV 기준으로
삼성과 LG에 선호도 차이가 좀 나는 관계로...

삼성이 항상 TV는 LG에 앞서있었습니다.
평행선
21/05/25 18:42
수정 아이콘
엘지는 마케팅이 1위인 듯...
아케이드
21/05/25 17:08
수정 아이콘
삼성 LG 1,2위야 당연한 건데 소니가 3위네요???
당연히 중국 업체들일 줄...
자두삶아
21/05/25 17:11
수정 아이콘
소니도 OLED 패널은 LG거로 알고 있습니다.
자사 패널도 있긴 한데 이건 성능과 무관하게 수율이 안나와서 미친 듯이 비싸고...
아케이드
21/05/25 17:14
수정 아이콘
자사 패널을 만들고 있다는게 더 신기하네요
21/05/25 17:42
수정 아이콘
유튜브에 박가네 방송보니 소니만 자기꺼 만들고 나머지는 이미 다 중국에 팔려나갔다고 하더라고요.
21/05/25 17:45
수정 아이콘
TV용 대형 OLED 패널은 전세계에서 LG만 만들고 있습니다.
21/05/25 17:22
수정 아이콘
현재 TV용 OLED 패널은 LG 독점일텐데요? 삼성도 양산에 실패했고, 소니도 전량 LG한테 물량 받아서 만들고 있고.. 소니는 생산에서 아예 손을 뗀걸로 알고 있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1/05/25 17:31
수정 아이콘
뭐 재팬디스플레이 아래 OLED라인이 있긴 있다던거같은데 유의미하진 않겠죠...크크 TV용이 가능한지는 둘째치고...
21/05/25 17:48
수정 아이콘
JOLED가 모니터에 들어가는 중형 OLED 패널 공장 올린게 작년이던가..니까 TV는 택도 없죠 크크
시나브로
21/05/25 17:09
수정 아이콘
한국사람 아니라 해도 쓰라면 삼성, 엘지 쓸 듯.. 격세지감이네요 아니 역전한 게 격세지감이 아니라 이제는 소니가 최고였던 때가 더 격세지감이지만.

2000년대 초까지도 소니 TV가 최고 자리였던 거 같은데
아케이드
21/05/25 17:14
수정 아이콘
소니는 브라운관 시대 이후 TV 사업을 한번 접었었죠
그래서 한동안 점유율이 0이었는데 브랜드 파워 덕인지 많이 올라왔네요
시나브로
21/05/25 17:18
수정 아이콘
정보 감사합니다. 왜 그랬나 궁금했는데 역시 나무위키에 잘 나와 있네요.
도날드트럼프
21/05/25 17:15
수정 아이콘
하이어가 세계정복할거라던 때가 있었는데
지나보니 택도없네요
근데 미국 유럽 매장 가봐도 삼성 lg 가 탑2로 크고
우리나라 매장이랑 다를게 별로없더라구요
단비아빠
21/05/25 17:31
수정 아이콘
하이얼은 백색가전 위주라 위 목록의 업체들과 좀 포커싱이 틀린 것 같기는 합니다.
아마 TV도 자체생산이 아니라 OEM 아닐까 싶은 기분...
TV말고 냉장고 세탁기 뭐 이런 쪽에선 입지가 좀 더 나을 것 같기는 합니다만...
Midea보다 나은지는 잘 모르겠네요.
하이얼 창홍 미디어 다 써봤는데 미디어가 제일 나은 것 같긴 하던데 말이죠.
하이얼에서 따로 런칭한 무슨 프리미엄 브랜드 이런 것도 있긴 하던데
도날드트럼프
21/05/25 17:37
수정 아이콘
하 저는 좀 예전 이야기여서 2000년대 중반에 하이얼이 막 부상하기 시작했을 때
백색가전 tv 할거 없이 다 하이얼이 세계정복할 것 처럼 이야기되던 때가 있었던 것으로 기억하거든요
(제 기억이 틀렸을 수도 있습니다)
tv도 그렇지만 백색가전도 결국 중국업체의 세계침공은 사실상 어려워진 것 같고
tv는 뭐 말할 것도 없는 것 같고 그렇습니다.
21/05/25 19:21
수정 아이콘
기억 맞으십니다. 샤오미, 화웨이 이전에 하이얼 기세가 무서웠죠. 그게 2010년 전후였던거 같아요
이른취침
21/05/25 17:21
수정 아이콘
?? :전교에서 2등인데 반에서도 2등?
티모대위
21/05/25 17:30
수정 아이콘
TV만큼은 세계적으로 평등하게 삼성 엘지 소니 순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거의 어느 나라나 이 순서로 먹어주는...
개념은?
21/05/25 18:17
수정 아이콘
뜬금없이 궁금한게 있는데 코스트코랑 전자랜드랑 TV 값이 왜이렇게 차이날까요??? 똑같은 삼성이고 똑같은 크기인데 말이죠.
AttackDDang
21/05/25 19:35
수정 아이콘
세부모델이 엄청 다릅니다.
Dolby, HDR, 매직리모컨, 거기다가 패널내 RGB 서브픽셀 배열까지 다릅니다. 이게 다르면 개구율이 달라지고 투과율이 달라지고 밝기or전력소모에서 차이가 납니다.
개념은?
21/05/25 23:02
수정 아이콘
그냥 비싼게 비싼값 한다고 생각하면 되겠군요 크크
21/05/25 19:50
수정 아이콘
모델도 다르고 코스트코 마진율도 다릅니다. 훨씬 낮아요.
지니팅커벨여행
21/05/25 18:48
수정 아이콘
삼성은 브라운관 시절부터 TV 1위였던 것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23573 [기타] 유튜버가 물에빠진 4살애기 살렸네요 [4] 부리뿌리13311 21/05/30 13311
423572 [유머] 초딩때 한번쯤 상상해 보던 것 [13] 퍼블레인12580 21/05/30 12580
423571 [유머] 면접 자유복장이라매.. [22] 퍼블레인15877 21/05/30 15877
423570 [방송] 오늘자 그알에서 건진 역대급 짤방.jpg [45] 삭제됨21623 21/05/30 21623
423569 [LOL] RNG 근황.txt [24] Rain#110762 21/05/30 10762
423568 [유머] (민감한정보체크) 너무 크면 안좋은 이유 [17] 추천12710 21/05/29 12710
423567 [기타] 피지알러들이 애용하는 물건 [7] 퍼블레인9593 21/05/29 9593
423566 [유머] 유투브 "저작권은 신성하게 지켜져야 합니다" [7] 길갈13424 21/05/29 13424
423565 [유머] 지옥에서 만난 애완견 [14] 퍼블레인11557 21/05/29 11557
423564 [게임] GTA5.jpg [8] KOS-MOS9388 21/05/29 9388
423563 [유머] 김가연이 [임]과 통장 비밀번호를 공유한 이유 [24] 메롱약오르징까꿍13376 21/05/29 13376
423562 [기타] 국민연금, 1분기 기금 운용 수익률 3.94% (본문추가) [54] 비타에듀14036 21/05/29 14036
423561 [유머] 감스트 나락송 지하철 버전 외.swf [7] TWICE쯔위8804 21/05/29 8804
423560 [유머] 커밍아웃 한 여동생 [8] 메롱약오르징까꿍13410 21/05/29 13410
423559 [유머] 블라인드에 뜬 gs 근황 [42] TWICE쯔위16647 21/05/29 16647
423558 [유머] 당근 근황 [12] 메롱약오르징까꿍11384 21/05/29 11384
423557 [기타] 박진성 시인이 만 17세 여학생에 보낸 카톡 내용 [72] 닭강정19219 21/05/29 19219
423556 [유머] 룸메가 빵 사오래 [10] KOS-MOS12280 21/05/29 12280
423555 [스포츠] 류현진이 오늘 5이닝 2실점 한 이유.JPG [8] insane10708 21/05/29 10708
423553 [서브컬쳐] 학창시절 공감 .manga [8] 추천7874 21/05/29 7874
423552 [기타] LG폰만의 트레이드마크였던것 [28] 추천10772 21/05/29 10772
423551 [동물&귀욤] 인간아 저게 뭐고? [2] 이정재8091 21/05/29 8091
423550 [유머] 실생활에서 가장 접하기 쉽고 유용한 호신용품.jpg [18] Pika4813841 21/05/29 1384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