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4/20 16:18:28
Name Lord Be Goja
File #1 천명.png (1.52 MB), Download : 27
출처 기글하드웨어 / 맥무러즈
Link #2 https://gigglehd.com/gg/hard/12120155
Subject [기타] 애플,프로세서 개발팀은 약 천명




----------------------------------------------------

시간대를 초월이라는건 그냥 시차를 이야기하는거겠죠?? 새벽3시에도 일을 한다는건 아닐듯?!

삼성이 2019년에 자체 CPU개발을 포기할때 해당일을 하던사람들이 약 300명으로 알려져있는데,(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624157#home ) 개발팀 규모차이가 굉장히 컸군요
https://www.macrumors.com/2022/04/18/apple-silicon-johny-srouji-interview/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우주전쟁
22/04/20 16:20
수정 아이콘
프로세서는 만들지만 차는 못 만들겠지...쿨럭...;;
시린비
22/04/20 16:20
수정 아이콘
시간을 초월해서 잘못된 방향으로 간 경우 시간을 되돌려가며 일하는게 아닐까요
GregoryHouse
22/04/20 16:22
수정 아이콘
어느 분야든 우리나라 기업은 사람에 대한 투자가 열악한것 같아요

가끔씩 해외 동종업계랑 코웍할때가 있는데 인력 규모가 기본 3배더라고요
물뿔소
22/04/20 16:41
수정 아이콘
어느 업무를 봐도 국내보다 사람이 많더라구요.
레스토랑 같은 곳은 피크타임에 근무하는 사람들 보면 인원이 저리 많은게 신기하고,
혼자 할 법한 비즈니스도 여러 명이서 하거나 짧은 시간만이라도 사람을 쓰는게 보이니 많이 다르구나 싶었네요.

국내는 한 명이 긴 시간동안 업무를 맡긴다면, 해외에서는 긴 시간을 줄이고, 줄인 시간만큼 다른 사람을 쓰는데 +로 거기에 기본 근무 인원도 더 많네요.
유리한
22/04/20 18:59
수정 아이콘
게다가 일정도 훨씬 길더라구요..
숨고르기
22/04/20 16:45
수정 아이콘
외국과 달리 국내기업들은 그때그때 성과나 시장 상황에 따라서 연봉을 깎거나 해고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채용을 매우 보수적으로 할 수 밖에 없는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쩔수 없이 고연봉을 줘야하는 핵심 인재들은 요즘 아예 임원(1년짜리 계약직)으로 많이 채용하더군요. 미등기라도 직함만 임원으로 싸인하는 순간 노동 관련법 보호를 하나도 못받게 되는 과거 판례에 의한 꼼수 같은 관행인데 덕분에 IT기업들 젊은 임원 기하급수적으로 잔뜩 늘어나고 있어서 언젠가는 문제가 될겁니다.
뜨거운눈물
22/04/20 16:23
수정 아이콘
1,000명 와
저분들 연봉만해도 엄청나겠죠?
그렇게 연봉을 주더라도 계속 사상 최고 실적을 내니
새로운 칩만드는데는 문제는 없을테고..
덴드로븀
22/04/20 16:32
수정 아이콘
3억씩 줘도 1년 3000억인데 애플 작년 매출이 대충 450조원이니까 매출의 0.1% 도 안되는돈...이긴 합니다? 크크크크
interconnect
22/04/20 16:44
수정 아이콘
지인썰로는 격려 명목 지급 보너스가 3억이라고 합니다.
덴드로븀
22/04/20 16:55
수정 아이콘
스톡이 아니라 캐쉬로 3억 수준이라는거죠?

대충 불러본건데 평균 연봉이 더 높을수도 있다는거겠군요 크크크
22/04/20 18:41
수정 아이콘
애플이면 3억보다 더줄걸요
Capernaum
22/04/21 02:52
수정 아이콘
3억으로 m1 뽑아낼리가..

10억이상 줄듯
문문문무
22/04/20 16:24
수정 아이콘
음... 규모의경제? 승자의 권리? 인보다는 과?
벌점받는사람바보
22/04/20 16:31
수정 아이콘
애플이 칩회사가 아니였어?
벨로티
22/04/20 16:33
수정 아이콘
저 중 외계인은 몇명일까요?
김성수
22/04/20 16:41
수정 아이콘
20% 정도는 되지 않을까요?
통계를 찾아봤는데 잘 안 나오더라고요.
프랑켄~~
22/04/20 16:34
수정 아이콘
돈 많은 기업이 많은 투자를 할 수 있으니, 밑의 기업들이 따라가기 점차 힘들어지는 듯.. 애플은 그냥 제품을 파는게 아니라, 자기들의 세상을 구축하고, 사람들이 거기서 못나가게 하는 거 같아 거부감이 들어 안 쓰고 있네요..(막연한 두려움 같은게 있음)
AaronJudge99
22/04/20 19:51
수정 아이콘
그쵸 애플은 생태계 구축이 목적이죠
잡스시절부터 쭉
22/04/20 16:36
수정 아이콘
주관적인 생각이지만 한국 기업들이 고급 인력들을 빅스케일로 굴려서 빅스케일에 맞는 하나의 큰 결과물을 내는 능력이 아주 떨어지지 않나 하는 생각을 요즘 들어 하고 있습니다.
타마노코시
22/04/20 16:38
수정 아이콘
그 이유는 몇몇 고연봉 인력을 홍보용으로 뽑기는 하겠지만, 평균적으로 고연봉의 고급인력들을 대규모로 채용하는 걸 기피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22/04/20 16:43
수정 아이콘
아... 이게 사람을 대규모로 채용하는거 자체를 기피하는거 같지는 않고요.
대규모의 결과물 '하나'를 만드는걸 대단히 기피한다고 해야할까요.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10의 능력을 가진 사람 10명을 모아서 100짜리 하나를 하는거보다 그 10명에게 각각 10짜리 일을 시켜서 10짜리 10개를 만드는걸 선호하는거 같아요.
근데 사실 요즘 한국 기업들에게 필요한 것은 100짜리 하나인 경우가 많은거 같거든요...
타마노코시
22/04/20 16:49
수정 아이콘
Fast Follower로서의 역할만을 해서 그런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그런 대규모 프로젝트는 대규모의 input 대비 risk도 높은데 그에 대한 risk 관리를 하는 경험도 없어서 꺼리지 않을까 하는데 그게 채용에서도 나타나는 것 같아요.
nm막장
22/04/20 17:02
수정 아이콘
와 우리회사에 딱 맞는 말이네요
22/04/20 17:29
수정 아이콘
리스크관리 측면에선, 100짜리를 시도하는 거 자체가 크크크
멋진신세계
22/04/20 18:58
수정 아이콘
아.. 저희 회사만 이런 게 아니었군요 덜덜
제3지대
22/04/20 16:41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고급인력을 빅스케일로 굴려서 빅스케일에 맞는 결과물을 만들어낸 경험이 없으니까요
가성비로 인력 갈아넣는데 익숙하니 이게 한계인듯 합니다
interconnect
22/04/20 16:48
수정 아이콘
매우 동의합니다. 유전자가 없어요.
사측에서 생각해보면 이제는 글로벌 경쟁력을 가질 프로젝트에 맞는 고급 인력들을 모을 도리가 없어서 어쩔 수 없나.라는 생각도 있습니다.
22/04/20 17:56
수정 아이콘
프로젝트 관리자가 좋은 인재가 없고 그 인재를 굴릴 시스템 문화 이런게 없다 뭐 이런말씀이신거같습니다.
최종병기캐리어
22/04/20 19:04
수정 아이콘
친구가 미국에서 건축설계하는데, 퇴근전에 인도에 있는 업체에 실시설계 일감 주고 아침에 출근해서 확인한다고 하더라구요. 아마 이런 방식이 아닐까합니다.

근데 두바이 왕자님들때문에 새벽에 컨퍼런스콜해야한다고 빡쳐있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52816 [기타] 할머니 vs 휴대폰 판매자 [161] 푸크린10309 22/04/21 10309
452815 [기타] 마이클 버리 근황(feat 테슬라) [18] 니시무라 호노카6137 22/04/21 6137
452813 [유머] 택배왔어요~ [3] League of Legend4183 22/04/21 4183
452812 [스타1] 프로게이머들이 일반인에게 안진마인 이유 [9] ioi(아이오아이)7940 22/04/21 7940
452811 [기타] 테크몽 복귀 [31] 푸크린7694 22/04/21 7694
452810 [게임] 김정균감독 무게감 발언에 대한 돌갤 반응 모음집 [15] 치미7884 22/04/21 7884
452809 [기타] 지하철에서 옆에 앉지 않는 여자들의 심리 [37] 쎌라비9415 22/04/21 9415
452808 [기타] 한국에서 가장 비만 비율이 높은 세대 [41] 쎌라비9227 22/04/21 9227
452807 [유머] 웹소설 트렌드 히스토리.jpg [37] prohibit7377 22/04/21 7377
452806 [유머] 미대생의 광기.jpg [11] Starlord7776 22/04/21 7776
452805 [유머] 교수님이 무조건 메일 읽게 하는 법 [13] 로즈마리7394 22/04/21 7394
452804 [기타] 이은해 인생 요약 [80] 쎌라비13335 22/04/21 13335
452803 [유머] 혼돈속의 질서 [3] 페스티5473 22/04/21 5473
452802 [유머] 인도 유명 유튜버가 한국와서 깜짝 놀란 이유.jpg [33] TWICE쯔위9613 22/04/21 9613
452801 [기타] 미쳐버린 NFT 시장 근황 [34] 모노레드8422 22/04/21 8422
452799 [유머] 양조위, 전도연, 류승범 동반출연.youtube [8] AKbizs6196 22/04/21 6196
452798 [기타] 한달동안 책 2694권 읽을 수 있는 방법.MP4 [37] insane6300 22/04/21 6300
452797 [방송] 한국이 건설한 금강산 관광구역 건물 줄폭파중 [20] League of Legend8916 22/04/21 8916
452796 [유머] 이때 드웨인존슨을 구하시오 [15] 퀀텀리프6013 22/04/21 6013
452795 [기타] 러시아의 토착 프차 치킨집 [6] Lord Be Goja6185 22/04/21 6185
452794 [유머] 모 대학의 다독왕.jpg [20] 로즈마리7165 22/04/21 7165
452793 [스타1] 아프리카 스타판에 등장한 현역 농구선수 피지컬.MP4 [2] insane7268 22/04/21 7268
452792 [기타] 애플이 첫 폴더블 기기를 위해 모회사에게 요구사항을 전달 [41] Lord Be Goja7811 22/04/21 78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