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4/24 22:54:25
Name 첫수
File #1 모트라인_2.png (267.9 KB), Download : 27
출처 https://www.youtube.com/post/UgkxCrKqIMODg6vM9x17gpnwUrwdiebNBkIH
Subject [기타] 자동차 유튜브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기차 무게 논란


요즘 포르쉐를 포함해 독일차 전기차 무게에 대한 말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

모트라인에서 타이칸과 이트론 GT(같은 폴랫폼입니다)무게에 대한 논란과 테슬라와 포르쉐 전기차 파워 트레인 기술력 격차에 대한

덧글이 많이 달리자 이런 글을 올렸네요. 덧글도 핫한데 특정 덧글을 퍼오면 편향될 것 같아 가져오진 않았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허니띠
22/04/24 23:01
수정 아이콘
저 유튜브는 뭔가 근거가 있나요? 그냥 내가 이랬다 저랬다 내가 맞다?
요즘 차관련 유튜버들 어디서 근거를 가지고 와서 주장을 하는지 알수가 없네요.
개발자 출신 정도는 되는지..
러프윈드
22/04/24 23:02
수정 아이콘
같은가격, 같은전비, 같은동력성능이면 무조건 무거울수록 좋음
환경미화
22/04/24 23:05
수정 아이콘
네..?무거운게 좋은거에요??
러프윈드
22/04/24 23:06
수정 아이콘
같은 전비나 연비면 무조건 무거운게 좋죠

보통은 연비는 무게에 반비례해서 그렇지...
하아아아암
22/04/24 23:07
수정 아이콘
같은 전비 같은 동력성능 뽑는데 더 무거우면 손해보는건 없고 이득만 있지않을까요?
도라지
22/04/24 23:16
수정 아이콘
접지력과 안정성이 올라가긴 할겁니다.
돼지붕붕이
22/04/25 00:12
수정 아이콘
마력,연비,가속력 똑같은데 무게만 틀리다?
그럼 무거운쪽이 더 기술이 좋은겁니다.
개발괴발
22/04/25 01:10
수정 아이콘
차가 무거울수록 하중 변동(탑승인원 증가)에따른 브레이크 답력도 안정화되고 차도 덜 기우뚱거립니다. 그래서 사장님 차들(벤츠S, G90등등)이 엄청 무겁지요. 무거우면 연비와 동력성능 떨어지는게 문젠건데 연비동력성능이 같다면 무겁지 않아야 될 이유가 없죠.
율리우스 카이사르
22/04/25 06:45
수정 아이콘
무게 자체에서 오는 좋은점들이 많으니까요. 같은 전비라는 가정하에….
음란파괴왕
22/04/25 03: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다만 무거울 수록 전비가 떨어지고 동력성능이 안좋아지며 비싸지는 문제가...
광안리
22/04/24 23:07
수정 아이콘
원래도 그냥 예능용으로 생각하는 유튜버인데 국평오 거리는거 보니 선민의식도 있나보네요
22/04/25 01:01
수정 아이콘
진짜 본인은 고졸인데 국평오 거리는거 보니까.. 이런 생각하면 안되는 거죠?
덴드로븀
22/04/24 23:08
수정 아이콘
아자씨들 그냥 다같이 모여서 현피 떠요. 조회수 달달하게 먹겠구만
아케이드
22/04/24 23:11
수정 아이콘
가볍고 연비 좋으면 좋긴 한데 그걸 절대적으로 봐 버리면 안전성에 대한 투자로 어쩔수 없이 무거워지는 부분을 간과할 수도 있죠
예를 들어 중국에서 제일 잘 팔린다는 500만원짜리 홍광미니 같은 경EV 엄청 가볍고 전비 최강이죠 그런데 그만큼 깡통이라 안전성 최악이구요
차량이라는게 결국 사람이 타는 물건이고 목숨을 좌우할 수도 있는데 오직 전비와 성능만으로 따지는 건 좀 근시안적인거 같아요
아이는사랑입니다
22/04/24 23:12
수정 아이콘
윤성로는 화가 많죠
22/04/24 23:13
수정 아이콘
자전거는 무조건 가벼운게 좋습니다 이거레알 반박불가
글쓴이
22/04/24 23:14
수정 아이콘
3대 500 유행할때랑 비슷한건가요?
미메시스
22/04/24 23:19
수정 아이콘
트위지는 사실상 오토바이 아닌가요 크크
화염투척사
22/04/24 23:27
수정 아이콘
서피스가 생각나네요.

자동차 치고 엄청 가볍습니다.
-> 안전이랑 에어컨은요?
-> 오토바이 대용입니다.
티오 플라토
22/04/24 23:21
수정 아이콘
논란의 시작은 '특정 브랜드 차량의 무게가 무거워서 생기는 안좋은 점이, 다른 좋은 점을 상쇄시키고 남을 정도인가' 인 것 같은데..
애초에 사람마다 차량을 볼 때 주안점을 주는 정도가 달라서 평가가 갈리는 것도 당연해 보입니다.
특히 무게같은건 차량 가치와 직관적으로 연상하기 쉽지 않아서 판단하기 어렵고 누구 하나의 말을 신뢰하기 힘드네요 크크
22/04/24 23:22
수정 아이콘
들고다닐꺼야? 무게따지게...
안전때메 무거운게 좋지 않나
antidote
22/04/24 23:24
수정 아이콘
트위지류의 차들은 충돌 안전테스트에서 다른 차들에 비해 심각하게 낮은 결과가 나올 것이 뻔하니 동등선상에 놓고 비교하는 것은 맞지 않죠.
테슬라도 전기차니 충돌시 화재가 안난다는 보장이 없다는 문제가 있지만 트위지를 놓고 테슬라를 폄하하려면
각종 충돌테스트 결과에서 테슬라가 다른 메이커 대비 압도적으로 나쁘다 이런 결과를 갖고 와야 맞다고 봅니다.
라떼는말아야
22/04/24 23:24
수정 아이콘
전기차 시대에.. 브랜드 가치가 과연 어찌될지...

저는 개인적으로 독3사의 가치가 유지되기 어렵다고 봅니다만 근거는 없습니다 흐흐
티오 플라토
22/04/24 23:26
수정 아이콘
저도 이번에 신차들 비교해보면서, 브랜드 가치 떼놓고 보면 테슬라/현기차에 비해서 독3사가 좀 딸리는 것 같은 느낌을 많이 받았어요. 심지어 독3사들은 포드나 gm보다 전기차를 못만드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벚꽃자몽
22/04/25 00:21
수정 아이콘
저도 비슷한 생각이네요. 독3사가 기본적으로 내연기관차를 잘 만들었으니까 브랜드 가치가 있는거라 생각하네요. 전기차 제대로 못 만들면 유지 될리 없다 생각합니다.
한방에발할라
22/04/25 02:27
수정 아이콘
독3사만이 아니라 도요타도 지금 전기차 내놓고 있는 거 보면 영 불안불안하죠. 내연기관에서 절대강자 위치에 있었던 업체일수록 뭐라고 해야할지....기존에 자신들이 이뤄놓은 게 너무 대단하다 보니까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래에 늦게 대응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럴거면서폿왜함
22/04/24 23:27
수정 아이콘
3대 500치는 분들은 밀어서 평행주차 가능하겠네요
푸쉬풀레그
22/04/24 23:30
수정 아이콘
독3사가 만드는 전기차들은 좋은 의미든 나쁜 의미든 내연기관의 느낌을 내는 전기차들을 만드는 거 같아요.
이게 우리 세대에는 먹히겠지만 10년 정도 후에 차를 사게 될 지금의 10대들에게 먹힐지는 잘 모르겠어요.
잘못하다가는 마치 잘 나갔던 피처폰 시절을 잊지 못하고 스마트폰에 피처폰 감성을 넣던 엘지폰이 될 수도...
니가커서된게나다
22/04/24 23:35
수정 아이콘
그런데 배터리가 무거워서 동급대비 내연차량보다 전기차가 무거운거 아닌가요? 진동이나 소음이 전기차가 내연보다 적은거도 상수에 가까운거 같은데

그런 견지에서라면 무게는 최대한 내연차량에 가까운게 기존 감성이나 공학에 가까울거 같아서 가벼운게 더 좋은거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드네요
antidote
22/04/24 23:51
수정 아이콘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애초에 기존의 공학에서 다루던 차량동역학에서의 자동차 중량에 비해 이미 전기차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전기차의 중량이 무거운 것이 가벼운 것보다 좋다라는 말은 맞다고 보기가 좀 어렵다고 봅니다.
깜디아
22/04/24 23:36
수정 아이콘
기술 과도기엔 언제나 여러 논란들이 있어왔으니 그냥 보면서 즐기기만 하면 될 거 같습니다.
신흥강자 원펀맨과 전통강자 슈퍼맨 과의 캐릭터 대결이랄까...
22/04/24 23:52
수정 아이콘
완전히 같은 차가 아니면 무게는 하나의 요소일 뿐이죠...
그말싫
22/04/25 00:30
수정 아이콘
저게 뭔 개똥논리죠...
테슬라랑 타이칸은 운동성능이 삐까뜨는 차니까 무게를 논하는 건데...
멜린스
22/04/25 08:05
수정 아이콘
테슬라랑 타이칸이 운동성능이 비슷한가요?
그말싫
22/04/25 08:24
수정 아이콘
운동성능이란게 단순 비교가 되겠냐만은 드래그 테스트들 보면 S Plaid는 타이칸 압살하고 나머지 모델들은 타이칸 약우세 정도죠.
22/04/25 01:55
수정 아이콘
대체 왜 이 논란이 (한국서만) 벌어지는지 어리둥절...
어서오고
22/04/25 06:20
수정 아이콘
배터리를 똑같이 넣고 무게가 무겁다면 모르겠지만 무게가 늘어난 원인이 배터리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기술력을 논하는거 아닌가요?
Cazellnu
22/04/25 07:21
수정 아이콘
테슬람때문이죠 뭘
아싸리리이
22/04/25 08:13
수정 아이콘
뭐 윗 모트라인이야. 테슬람들 때문에 일부러 어그로끈거라... 웃고 넘어가는거지만 동급차량에서 전기차던 내연차던 무거워서 생기는 이점은 단 하나도 없죠.
바람의바람
22/04/25 08:39
수정 아이콘
근데 이 자동차 유튜버 세계도 보면 의외로 복잡하죠
서로 물고 물리는... 그래서 개인적으로 최종 선택은
장진택, 한상기 두 곳 위주로 봅니다
만사여의
22/04/25 10:37
수정 아이콘
무게당 출력을 얘기해야지.. 뭔 말도 안되는 어그로를..
앓아누워
22/04/25 11:03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무게차이로 손해볼 정도의 드라이빙을 할 도로가 있긴한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53491 [기타] 2021년기준 지방 4대 빵집 실적비교 [52] 아롱이다롱이8937 22/05/03 8937
453490 [기타] (약간후방?) 간만에 생존신고한 일러스트레이터 K [15] 묻고 더블로 가!10301 22/05/03 10301
453489 [유머] 중식뷔페 1인당 9,900원 호불호.jpg [23] 김치찌개11725 22/05/03 11725
453488 [유머] 뭔진 몰라도 해봤으면 아재.jpg [36] 김치찌개8240 22/05/03 8240
453487 [유머] 피자 이상으로 창렬 음식.jpg [39] 김치찌개9412 22/05/03 9412
453486 [유머] 오지랖이다 vs 싸가지 없는 거다 [35] 김치찌개6787 22/05/03 6787
453485 [유머] 샤워순서 5가지로 분류.jpg [40] 김치찌개7092 22/05/03 7092
453484 [방송] 2만년만의 기회 [4] League of Legend8328 22/05/03 8328
453483 [유머] 유일하게 폭탄 세일중인 것 [13] 퀀텀리프9193 22/05/03 9193
453482 [LOL] 와 ~! 너구리다 ! [3] League of Legend5352 22/05/02 5352
453481 [유머] 자기 취향이 없는 사람 [62] 데브레첸10006 22/05/02 10006
453480 [기타] 태국 제2외국어 한국어 응시 비율 근황 [19] 내설수9321 22/05/02 9321
453479 [스포츠] 비바람부는 밤의 스토크와 투석기 로리델랍 [21] Yureka7700 22/05/02 7700
453478 [기타] 나토의 동진은 1인치도 허락하지 않겠다는 푸짜르! [21] 된장까스7591 22/05/02 7591
453476 [기타] 20년전 만화 에피소드 [1] 톰슨가젤연탄구이4580 22/05/02 4580
453475 [스포츠] 현대 스포츠에서 내추럴 소리 들으려면 [15] 담배상품권8761 22/05/02 8761
453474 [유머] 창조론이 거짓인이유 [37] roqur8461 22/05/02 8461
453473 [유머] 조선시대에도 과실치사의 개념이 있었을까? [6] TWICE쯔위5744 22/05/02 5744
453472 [스포츠] 심권호 근황 [16] TWICE쯔위8722 22/05/02 8722
453471 [유머] 제로콜라 실제로 혈당변화가 없을까? 인체실험 [66] League of Legend9832 22/05/02 9832
453470 [기타] 매출 600억 올렸다는 빵집.mp4 [36] insane10469 22/05/02 10469
453469 [기타]  한글패치의 현실 [29] Aqours9673 22/05/02 9673
453467 [동물&귀욤] 하...요놈들... [8] 공기청정기6035 22/05/02 60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