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5/01 14:50:27
Name 퍼블레인
File #1 11B21180_F8D7_48ED_85DC_4FC746BD72D1.jpeg (84.7 KB), Download : 26
File #2 11B84927_2EBC_4760_94CC_D2D72CD182AD.jpeg (149.0 KB), Download : 9
출처 루리웹
Subject [기타] 1995년 대한민국




이 때 대학생이었던 사람들은 소위 말해서 'X 세대'라고 흔히 불리웠던 세대들이고, 1970년대 초~중반생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쉽게 말해서 1970년생 ~ 1975년생들)

특히 이 시기에 대학교에 다니던 세대들은 여자 후배들이 남자 선배들을 보고 '형'이라고 호칭하던 시기였으며

그리고 '야타족'이라는 말이 유행하던 시기였는데, 고급 외제차나 스포츠 카를 몰고 부유층 부모를 둔 남자 대학생들이
여대생들에게 "야, 타!"라고 말한 다음에 여대생을 자신의 차에 태웠던 것이 일종의 유행이었기 때문에 그런 말이 생겨났던 시기였다고 한다.

지금쯤이면 50대 초반이나 40대 후반의 나이가 되어있는 세대들이라고 할 수 있음. 이들이 대학교를 졸업하고
직장에 막 대학을 졸업해서 취업을 하고 결혼을 할 시기에 터진 것이 1997년 11월에 터진 초대형 사건이 바로 IMF 사태라 회상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5/01 15:09
수정 아이콘
IMF 위기가 없었더라면 지금보다 덜 수직적이고 경직되지 않은 대한민국이 됐을지 지금과 별반 다르지 않았을지 궁금하네요
제3지대
22/05/01 15:21
수정 아이콘
금융업에 계셨던 어르신이 아쉬워하는게 imf때 회사를 정직하고 건실하게 만들고 운영하고 새롭게 기술을 만들어가려고 하던 분들이 다 망했습니다
좋은 기업 문화로 바뀌려고 할때 일이 터지는 바람에 비겁하고 지저분하게 회사 운영하는 사람들만 살아남아서 정말 좋은 새로운 기업이 나오기도 힘들어졌고 발전하기가 어려워졌다고 한탄한게 기억납니다
이 분 말대로만 본다면 기업 경영 분위기나 창업 분위기 이런건 지금보다 좋아졌을거라고 봅니다
다른거보다 도전하던 분위기가 확 꺾이면서 도전보다는 지키는 분위기로 바뀐게 있거든요
정신적으로 여유가 있다가 그게 사라지기도 했기 때문에 정신적으로 여유가 있는 그 분위기가 이어졌다면 문화, 예술, 정치도 조금 더 자유롭게 많이 토론하는 분위기로 갔을거고 그러면 지금처럼 양 극단적인 분위기가 있지 않았을거고 있었더라도 심하지 않았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한국교회가 돈에 더 미쳐버리면서 대형화를 추구하는 것도 지금보다는 덜하지 않았을겁니다
개인적으로는 뭔가 우리의 것을 되돌아보고 로컬문화에 대해서 생각하려고 할때 imf가 터지면서 이게 다 날아버린게 너무 아쉽습니다
22/05/01 17:58
수정 아이콘
없었거나 그냥 무난하게 털어냈으면 지금보다 더 좋았을거 같아요 이래저래요.
imf 가 망쳐놓은게 한둘이 아닌거 같아요..사회분위기도 그렇고..
제3지대
22/05/01 15:11
수정 아이콘
야타족이면 오렌지족이죠
미국 유학 중인 부유층 자녀들이 방학때 한국와서 압구정 로데오에서 외제차로 여대생 꼬시던 시절
영어 좀 쓴다고 혀 굴리면서 발음하고
미국에서는 찍소리 못하고 비실거리고 다니는거 뻔한데 한국에서 폼잡는거 보면서 웃기긴 했습니다
나라가 부유해지고 지금보다는 빈부격차가 크지 않아서 사회가 정신적 여유라는게 있던 시절이었습니다
EpicSide
22/05/01 15:18
수정 아이콘
50대 초반 형들이면 엑스세대가 아니라 오렌지족 아닌가...? 40대 중후반들이 엑스세대 소리 들으면서 청춘을 보냈던 것 같고....
방구차야
22/05/01 18:03
수정 아이콘
70년대 중후반생부터가 X세대 맞을겁니다. 학력고사 이전과 이후세대로 나눌수 있고, 대학교때 운동권 역시 그 기점으로 약화되다가 96연대사태 이후 끝났고요.
ComeAgain
22/05/01 15:20
수정 아이콘
당시 생활상은 [캠퍼스 러브 스토리]를 해보면 알 수 있다 들었습니다.
이탐화
22/05/01 15:21
수정 아이콘
저때 뉴스에서 기억에 남던게 오렌지족이 다니던 압구정 한 술집에서 오징어 안주가 15만원이었던건데 근 30년 지난 지금 봐도 충격적인 가격이네요
22/05/01 15:53
수정 아이콘
30년전에 용돈을 3-4백만원씩 받던 형들. 후덜덜
22/05/01 15:21
수정 아이콘
이때 유학갔던 사람들 imf 터지고 다 귀국행이었다는데…
엉망저그
22/05/01 15:24
수정 아이콘
두둥등장..이거 머쉬베놈 노래아니였어요????
이선화
22/05/01 15:33
수정 아이콘
95년 뉴스를 소개하는 유튜브에서 넣은 자막이겠네요
기술적트레이더
22/05/01 15:48
수정 아이콘
야타 지금 하면 어떨까요? 신고당하려나~~
소믈리에
22/05/01 15:56
수정 아이콘
제 개인적 생각으로 imf가 없었어도 선진국의, 그리고 동아시아 특유 저출산이 없진 않았겠지만

IMF사태가 없었다면 지금처럼 압도적이진 않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기타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과 자강두천하는 정도 아니었을까...

윗 댓글에서 기업문화 이야기가 나왔는데 그런 느낌으로 관념이 바뀌고 한 세대가 비어버렸다는 느낌이랄까.....출산율뿐이 아니라 다양한 부분에서요
서린언니
22/05/01 16:07
수정 아이콘
저때 딱 대학 입학한 신입생이었는데…. 군대갔다와보니 세상이 바뀌어 있더라구요 imf가 정말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메타몽
22/05/01 16:52
수정 아이콘
IMF가 한국을 더 각박하게 만들었고 천민자본주의 시대를 제대로 열었다고 봅니다
우리아들뭐하니
22/05/01 17:19
수정 아이콘
지금의 기업 문화는 저때 취업한 사람들이 만들었죠. IMF때 위는 다 잘려나가고 갑자기 외국에서 들어온 투자금 때문에 풍족해졌던 세대
메타몽
22/05/01 18:09
수정 아이콘
본인은 윗선들 다 짤려서 쉽게 진급했는데

그걸 다 까먹고 요즘 애들은~, 라떼는 말이야~ 이러고 있죠

그나마 그 시절 사람들의 자녀가 대학생이나, 취업때 근처로 와서 간접체험하니 예전보다는 라뗴 이즈 홀스가 좀 덜 보인다고 합니다
-안군-
22/05/01 17:2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IMF 시대가 낳은 가장 큰 폐혜는 기업들이 투자를 기피하고 리스크 헷지에만 집중하게 만든 것이라 봅니다.
저때부터 개인들은 빚을 내서 소비하고, 기업들은 오히려 저금을 하는 기이한 상황이 계속되죠. 그와 함께 빈부격차도 벌어지고요.
antidote
22/05/01 18:22
수정 아이콘
저는 꼰대라서 그런지 저게 정상인지도 모르겠고.
특히 볼링장에서 면접을 보는게 뭐가 대단한 혁신인지도 모르겠네요. 소위 말하는 자유와 방종의 경계에서 방종으로 넘어간 수준 아닌가 싶습니다.
요새 말로는 '뇌절'정도 될거 같네요.
자유로운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볼링장에서 잡 인터뷰를 하나요? 외국 나가서 취업한 제 친구들은 딱히 그런거 같지는 않던데요.

그와는 별개로 IMF의 폐해는 기업에서 리스크있는 장기 개발업무는 정말 오너나 경영자가 손대지 않으면 안하게 되었다는게 문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저런게 버블경제 때까지 없었던 일본은 전반적인 산업에서 스스로 자강해지는 여러 기술개발이 이뤄질 수 있었고 장기 불황에도 내수를 위주로 근근히 버틸 수 있는 기반이 되었는데 한국은 저 뒤로 리스크 있는 장기 개발업무를 대기업이 잘 안하게 되고 중소 중견으로 리스크를 넘겨버리고 이후 인수합병보다는 기술탈취나 더 심하게 하게 되는 방향으로 간게 아닌가 싶습니다. 현직에서 개발 하나도 할 줄 모르는데 개발이라고 직함 달고 있는 사람들 결국 할 줄 아는게 하청업체 부려먹기더군요.
아구스티너헬
22/05/02 01:52
수정 아이콘
아마 면접관도 같은 심정이었을겁니다.
그냥 요식행위였고 아무 득이 없어서 금방 없어졌습니다. 크게 의미를 둘 부분이 아닙니다.

기술개발부분은 저 당시 잠시 침체기를 보내지만 대기업의 핵심기술을 중견중소기업이 대신한 역사는 없습니다.
털어먹는 기술은 핵심기술이 아니죠
대기업도 못하는 핵심기술을 중견기업이 할 가능성도 그다지 없구요.

대기업 개발직의 문제는 꽤나 자주 발생합니다만
그들이 하는건 기술관리 업무고 핵심기술을 외주주는 경우는 없습니다.
삼성 엘지 현대등의 성장근거를 이룬 핵심기술들은 다 자체개발한거죠
22/05/01 18:56
수정 아이콘
저희 아버지가 아파트 7채 잃으셨어요.
아버지가 차를 5대 갈아타고 다니셨죠. 인생 알 수 없어요. 한순간 입니다.

고등학교때 교내 잡일 해주시던분이 imf전에 은행 지점장이셨더라구요. 아버지가 학교 방문했다가 알아보셔서 같이있던 저와 주변 친구과 선생님들도 놀랬던 기억이 있네요.
아수날
22/05/01 20:17
수정 아이콘
.....,,
22/05/01 23:16
수정 아이콘
대리 부장이 면접관으로 참여 저 뉴스 기억나네요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54004 [기타] 인도에서 바로 1위 찍은 한국드라마.MP4 [11] insane7191 22/05/11 7191
454003 [기타]  졸지에 레고 "되팔렘"이 되어버린 레고 유튜버(feat MBC) [43] insane7586 22/05/11 7586
454002 [기타] 머스크, 트럼프 계정 영구정지 철회…"바보 같은 결정 뒤집겠다" [18] 어서오고6532 22/05/11 6532
454001 [기타] 일본식 무인매장 호불호 [14] Lord Be Goja7912 22/05/11 7912
454000 [유머] 일본 러브호텔 후기 [41] 어서오고11271 22/05/11 11271
453999 [기타] 3점짜리 고3 수학문제 5초 만에 푸는 법??? [46] 우주전쟁9333 22/05/11 9333
453998 [유머] 오늘의 수치플레이... [27] 로각좁10171 22/05/11 10171
453997 [유머] 고기랑 같이먹는 면 vs [47] roqur8080 22/05/11 8080
453996 [유머] 낮술 맛있게 먹는 법.jpg [19] Rain#17455 22/05/11 7455
453995 [LOL] 맛잘알 [36] roqur6306 22/05/11 6306
453993 [동물&귀욤] 정찰 플랫폼 [6] 흰긴수염돌고래4901 22/05/11 4901
453992 [서브컬쳐] 누가 안가르쳐줘도 남자라면 한번쯤 해본다는 그것 [12] Cand9577 22/05/11 9577
453989 [게임] 축구게임 'FIFA 시리즈'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31] Davi4ever11072 22/05/11 11072
453988 [유머] 일레븐 진핑? 이왜진? [3] manymaster7839 22/05/11 7839
453987 [유머] 중국 귀빈들이 즐겨찾는 만찬 장소 떴네요....... [9] 아수날10989 22/05/11 10989
453986 [유머] 스마트폰 카메라 시력검사.jpg [5] VictoryFood8883 22/05/11 8883
453985 [서브컬쳐] 엔드게임이 있을수 있었던 시리즈 [24] 제가LA에있을때7866 22/05/11 7866
453984 [서브컬쳐] 엔드게임 엔딩 크레딧에 환호하는 사람들 [29] 제가LA에있을때8282 22/05/11 8282
453983 [서브컬쳐] 아래 mcu 글을 보고 생각나는 영상 [2] 제가LA에있을때4860 22/05/11 4860
453982 [기타] 안경 쓴 학생들이 일진녀에게 한번씩 당해본다는 장난 [17] 묻고 더블로 가!14470 22/05/11 14470
453979 [동물&귀욤] 가족 나들이 다녀온 다음날 아침 [6] 흰긴수염돌고래7180 22/05/10 7180
453978 [기타] 이거 실제로 봤으면 피지알 할재... [38] 우주전쟁10203 22/05/10 10203
453977 [유머] 오사카에 사는 사람들 마츠다씨.. 젊은 시절 사진.. [33] League of Legend11337 22/05/10 113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