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5/15 23:20:17
Name Leeka
File #1 스크린샷_2022_05_15_오후_11.16.46.png (46.6 KB), Download : 32
File #2 스크린샷_2022_05_15_오후_11.16.42.png (86.3 KB), Download : 13
출처 딤토
Subject [유머] 2년전에 보금자리론으로 집산 사람들 근황 (수정됨)




1652624417_3ba3854d_de11_4f0c_ad99_16a8d57439f2.jpg

-> 여기서 앱 쿠폰 적용하면 -0.02% 추가 금리 인하

-> 각종 우대 조건 만족시 (신혼부부등)  금리 추가 인하






1652624417_32473_33550_1155.jpg



-> 아무때나 입출금 가능한 예금이 이자 2%..

(적금을 들면 이자가 더 높음...) 



사실상 은행 예금이자보다 싼 대출이자라서 돈이 증식하는 중...



(보금자리론은 고정금리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5/15 23:23
수정 아이콘
제가 저 때 받았는데 그 때 금리가 바닥이었더라구요. 그 후로 계속 오르는 중.
22/05/15 23:23
수정 아이콘
그래도 아마 다들 보금자리론 대상이 안되는걸 원할거에요.
피식인
22/05/15 23:25
수정 아이콘
이게 좀 아이러니 한 부분인데 부부합산 소득 기준이면 고소득 맞벌이 가구한테는 기준이 좀 짜다 싶은데 독신 기준이면 생각보다 괜찮습니다.
22/05/15 23:29
수정 아이콘
그러니 더욱더 대상이 안되는걸 원하지 않을까요. 아마 2년치 평균 연봉 7천으로 기억하는데 지금 연봉7천이하로 살면서 보금자리론 받을래. 그냥 보금자리론 안받고 7천이상 연봉받을래 이니까요.
22/05/15 23:32
수정 아이콘
보금자리론 받고 나서 연봉이 7천 넘으면 되는데;; 보금자리론 받는다고 평생 연봉 7천 이하가 아니죠.

반대로
연봉 7천으로 보금자리론 받을래?
연봉 7천 100만으로 보금자리론 못받을래?

하면 전자 고르겠죠.

연봉 7천으로 보금자리론 받고 이직하고 샤이닝 때려서 1억 만들어도 되고
연봉 7천으로 보금자리론 받고 혼인신고해서 실 합산소득 1억 4천 해도 무관합니다.

심지어 혼인신고를 안했으면 남편이 연 2억 버는데 부인이 연 6천 벌면. 부인이 보금자리론 받고 -> 실행한후에 혼인신고 해도 되는 식이라..

보금자리론 대상이 안되는걸 굳이 원할 이유가..
22/05/15 23:36
수정 아이콘
처음부터 연봉 7천 넘는 삶을 원하지 않을까요? 참고로 저당시 일반 대출 받으면 2.6%였어요. 제가 그렇게 대출 받아서 집샀거든요. 0.6%뿐이 차이안나요 보금자리론이랑. 보금자리론 대출 최대한도가 3억조금 넘으니까 1년이자로 180만원 차이네요.
22/05/15 23: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말씀하신 내용만으로도

연봉 7천으로 보금자리론 받을래?
연봉 7천 100만으로 보금자리론 못받을래?

하면 후자가 손해네요... ?.. 1년 이자가 180만원 차이인데... ?


그리고 보금자리론은 평생 고정금리 + 체증식을 통한 원금 늦게 갚기 가능.. 이라 실제 매달 상환 금액 차이는 일반 주담대랑 갭이 훨씬 크고
(일반주담대는 길어야 5년 고정금리 이후 변동이 보통일텐데....)

규제지역 기준으로 20년 당시 기준 보금자리론은 LTV가 일반 주담대보다 10~30% 높은데요... 20년 당시 기준으로?..
그 당시에 규제지역은 LTV 40%였고 / 보금자리론은 50~70%가 나왔으니까.. 실제 대출 나오는 금액도 차이가 꽤 되는데... ?..

7천을 아득히 넘는 연봉 1억.. 이러면 그런 삶은 원하겠지만

7200만. 이런식으로 못받는거면 그냥 7천으로 보금자리론 받는게 훨씬 좋은데요...
22/05/15 23:46
수정 아이콘
뭐 세밀하게 이야기하면 2년 연봉 평균이라 7100받아도 보금자리론 받을수 있을거에요. 사회초년생이면 10%던가 연봉 깍아주니까 7700받아도 받을수 있을거구요. 뭐 세밀하게 얼마 연봉부턴 받네 못받네 이런 이야기를 하자는건 아니고
보금자리론은 분명히 좋은 혜택이고 당연히 받을수 있으면 받는게 좋죠. 그걸 부인하는게 아니에요. 실제로 제 업무중에 하나이기도 하구요 보금자리론 관련 업무는. 다만 일반적으로 보금자리론 받는걸 부러워하겠냐 그걸 못받는 대상이 되길 원하겠냐에서 전 후자라는 이야기 였습니다.
피식인
22/05/15 23: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다들 보금자리론을 못 받더라도 고연봉자가 되길 원할거다 라는 맥락이면 저도 당연히 거기에 동의합니다. 크크. 당연한 얘기죠. 그런데 두번째 달아주신 댓글이 그런 맥락으로 잘 읽혀 지지가 않아서 계속 댓글을 달았네요. 보금자리론을 안 받는거랑 연봉 7천 넘는 거랑 무슨 상관인가.. 라고 생각했네요. 일단 말씀하시고자 하는 바는 잘 알겠습니다.
피식인
22/05/15 23:49
수정 아이콘
누구나가 다 초봉부터 7천 넘게 받는 그런 삶을 원하겠지만, 그러려면 애초에 직업이며 직장 선택부터 잘 했어야 하는 문제니까요. 애초에 집을 산다는 고민을 하는 사람이면 이미 직장인일 가능성이 높고, 직업을 바꾼다 라는 선택지는 없을 가능성이 높죠. 대한민국 직장인 중에 연봉 7천만원을 받는 커트라인이 몇 퍼센트인지 보면 상위 10~15% 정도 됩니다. 월급쟁이 아닌 사업가, 전문직은 빠진 통계일 겁니다만, 이게 신입/경력 구분 없는 것이니, 초봉부터 바로 7천만원을 넘는 월급쟁이는 상위 5%도 안 될 거 같네요. 다들이라고 하기엔 초봉부터 7천을 넘는 직장인은 너무 소수예요.
22/05/16 00:01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경험을 말하자면 21년 1월에 보금자리론 받고 2%초반으로 집 구매했구요.
당시 20년 소득은 7천이 넘겼지만 연초러 전년도 소득정산이 안끝나서
19년 소득으로 심사받았습니다. 19년 소득은 7천보다 살짝 언더(몇십만원 정도?)인 금액이였구요.
21년에는 일하는 곳 업황이 좋아 전년도 소득보다 1.5배 더받은거 같네요.
집값도 오르고 저렴한 금리로 대출 받아 달달합니다
보금자리론은 갓대출 맞습니다.
22/05/16 00:04
수정 아이콘
받을수만 있다면야 갓대출이죠. 보통 일반적으로 5월전까지는 전년도 소득으로 사용합니다.
피식인
22/05/15 23:38
수정 아이콘
연봉 7천 이상 받으면 당연히 보금자리론 이런 거 보다 높은 연봉이 좋죠. 그런데 제가 알기로 연봉 7천이 어딘가에선 굉장히 흔한 연봉이지만, 대한민국 평균으로 보면 생각보다 상위권이고 소수입니다. 다들이라고 하기엔 거기에 포함 안 되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아요. 그리고 어차피 연봉이란 게 초봉은 낮게 시작해서 계속해서 올라가는 것인데, 사회 생활 시작한 기간이 짧으면 나중에 기대 연봉이 7천 정도는 그냥 넘어가더라도 당장 현재 연봉은 7천이 안되는 상태일 수도 있죠. 현재 연봉이 7천이 안 넘은 상태면 고려해 볼 만한 옵션이라도 봅니다. 보금자리론 혜택 받는다고 나중에 연봉 7천 넘으면 문제 되는 것도 아니구요. 뭐 애초에 현재 받는 연봉이 7천이 넘는다면 고려 대상이 아니겠죠.
22/05/16 08:14
수정 아이콘
그렇게 치면 대출할 필요없이 집사는게 제일 좋죠
말해야 입아픈 소리
하아아아암
22/05/15 23:23
수정 아이콘
받고싶어도 안해줌...ㅜ
소믈리에
22/05/15 23:24
수정 아이콘
지금 4프로 대더라구요
알라딘
22/05/15 23:31
수정 아이콘
제가 8월31일 잔금치르느라 하루차이로 2.45%에 받았었는데.. 그나마 만족합니다. 지금 사려면 답도없어서..
22/05/16 00:05
수정 아이콘
2년이 아니라 1년전에도 저거랑 비슷했습니다
제가 1년전에 2퍼 초중반대로 받았거든요
김유라
22/05/16 00:16
수정 아이콘
ㅠㅠ연봉상한선 조금만 높여줬으면...
천우희
22/05/16 00:44
수정 아이콘
전 딱 2.9프로때 받았는데 그래도 다행이다싶더라구요..
상하이드래곤즈
22/05/16 01:24
수정 아이콘
작년 11월 말일 기준 1.85 받았습니다.
0.55 추가할인 받았네요.
밀크티라떼
22/05/16 01:59
수정 아이콘
3% 초반대로 받았지만 만족합니다
록타이트
22/05/16 08:00
수정 아이콘
작년 9월에 디딤돌로 1.25 받았는데 정말 잘한 결정이었습니다.
맹꽁이
22/05/16 08:16
수정 아이콘
헐...1퍼센트대라니 부럽네요.
산다는건
22/05/16 08:48
수정 아이콘
정책 상품은 어쨌든 이용할 수 있으면 좋지요.
22/05/16 08:50
수정 아이콘
지금도 받을 수 있나요?? 연봉 7천 넘기 직전인데
20060828
22/05/16 09:40
수정 아이콘
지금은 금리가 올랐어요.
22/05/16 09:53
수정 아이콘
ㅠㅠ 집사기힘드네요
카미트리아
22/05/16 13:59
수정 아이콘
그래도 LTV 가 잘 나오고 고정 금리라는 장점이 있어서
보금 자리론 가능하면 좋습니다.
TWICE NC
22/05/16 09:21
수정 아이콘
2년전 받은 디딤돌 전세대출 이자가 2.2%입니다
고정이더라구요
해피팡팡
22/05/16 09:45
수정 아이콘
금리는 둘째치고 체증식이 가능한게 치트키죠. 물론 만 40세까지만 가능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54403 [기타] 뻔히 보이는 폰지 사기에 당한건, 당한사람 잘못이다. [33] 아지매10614 22/05/17 10614
454402 [스포츠] 제라드의 꽈당을 바로 옆에서 목격한 의외의 인물 [13] EpicSide8065 22/05/17 8065
454401 [LOL] 롤 한국섭 닉네임 추천받는 북미 프로게이머 [14] 소믈리에7341 22/05/17 7341
454399 [게임] 플스형 게임패스 요금모델 정보 [15] Heretic6753 22/05/17 6753
454398 [기타] 쌍용자동차 신차 토레스 티저 영상 공개... [43] 우주전쟁8895 22/05/17 8895
454397 [유머] 스타크래프트 여캠 3대 스신 [37] Pika4811353 22/05/17 11353
454396 [기타] 쿠팡의 로켓배송이 가짜인 이유 [31] 판을흔들어라11628 22/05/17 11628
454395 [유머] 배달비를 건물별로 차등해서 받는 가게 [20] TWICE쯔위9827 22/05/17 9827
454394 [유머] 둔촌주공 크레인 철거 시작 [43] Leeka12147 22/05/17 12147
454393 [기타] 일본 편의점에서 판다는 좀더 시원한 콜라 [36] Lord Be Goja9454 22/05/17 9454
454392 [유머] 배민의 덤앤더머 부부 [22] TWICE쯔위8679 22/05/17 8679
454391 [유머] 다이어트의 9할은 식단이라고? 훗.txt [50] 문어게임12186 22/05/17 12186
454390 [LOL] LPL 해설 조귀의 발언.Msi [29] 이호철7636 22/05/17 7636
454389 [기타] 그린 컴퓨터 발명?! (90년대 삼성컴 아님) [9] Lord Be Goja5468 22/05/17 5468
454387 [유머] 회사 생활의 무서움 [13] 퍼블레인9300 22/05/17 9300
454386 [게임] [하스스톤+인방계층] 크라니쉬 방송중 우연의 우연으로 [4] Lord Be Goja4135 22/05/17 4135
454385 [방송] 화이자 모더나 백신 부작용 관련 영상 [38] League of Legend10379 22/05/17 10379
454384 [LOL] 미스틱 vs 칸 사진을 본 중국팬들 반응.jpg [6] insane6887 22/05/17 6887
454383 [유머] 시의적절한 랄로 유튜브 [8] 어서오고7841 22/05/17 7841
454382 [스포츠] 토트넘 현지팬 근황.jpg [7] insane7605 22/05/17 7605
454381 [기타] 통속의 뇌.. 설정 추가.. [13] League of Legend7390 22/05/17 7390
454380 [유머] 출시 보름만에 엄청난 하락폭을 보여주는 etf [5] 맥스훼인8112 22/05/17 8112
454379 [스포츠] ??? : 레츠고 삼진삼진 [4] League of Legend5113 22/05/17 51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