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6/11 16:37:16
Name 산딸기먹자
File #1 3.jpg (35.2 KB), Download : 25
출처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tockus&no=2872539
Subject [기타] 30년 장투해도 전고점 회복을 못함


나스닥과 코스피도 저렇게 될지 궁금하네요

작년에 다들 고점찍고 30년동안 저렇게 될수도 있을거같은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비알론소
22/06/11 16:40
수정 아이콘
??? : 적립식 투자를 했으면 수익이 났고 어쩌고 저쩌고..
닉네임을바꾸다
22/06/11 19:08
수정 아이콘
뭐 대부분은 횡보인데도 본전은 커녕 더 꼴아박...읍읍
antidote
22/06/11 16:44
수정 아이콘
실제로 미국에서 25년간 지수가 횡보했던 시기도 존재할 겁니다.
나스닥 같은 경우는 작년의 고점이 깨질려면 수십년간 찐성장이 나오거나 고인플레가 와서 돈이 문자그대로 휴지가 되거나 정도 외에는 시나리오가 딱히 없지 않나 싶네요.
그래도 장기적으로는 우상향일겁니다. 30년 40년을 보고 투자해야겠지만.
닉네임을바꾸다
22/06/11 16: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일본은 디플레이션이니까요...
보통 장기투자시 자산가치가 오른다의 핵심은 인플레이션으로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도 깔려있는건데...저기는 돈의 가치가 30년동안 거의 제자리니 전제가 애초에 좀 어긋나있죠...
그러니 올릴려면 순수하게 자산 그 자체의 가치가 올라야하니 빡세죠...
22/06/11 16:53
수정 아이콘
25년 장투했으면 전고점 회복!
마음에평화를
22/06/11 16:54
수정 아이콘
그렇지만 또 20년 전에 투자했으면 충분히 이득이니..
주식은 타이밍인가..
22/06/11 16:55
수정 아이콘
남들이 다 산다고 하는 급상승 시기에는 휘둘려서 투자하면 안된다는 교훈이네요.
탑클라우드
22/06/11 17:04
수정 아이콘
소위 고수들의 이야기를 꾸준히 찾아 들으며 제가 내린 결론은... '핵심은 현명한 대응'입니다.
저 와중에도 30여년간 장투하며 순간 순간 현명한 대응으로 수익을 만든 이들도 있겠죠 흐흐
아이군
22/06/11 17:22
수정 아이콘
장기적 우상향은 맞는 말인데, 그렇다고 비싼 타이밍에 사도 된다는 말은 아니죠...
iPhoneXX
22/06/11 17:23
수정 아이콘
장기투자는 괜찮은 가격대에 사놓고 묻혀둔다는 말이지 고점에 물려서 묵혀두는건 그냥 존버
엄정화
22/06/11 17:30
수정 아이콘
국장은 오르면 연공에서 그렇게 많이 산 걸 다 던지는데 박스 못뚫죠...
닉네임을바꾸다
22/06/11 19:09
수정 아이콘
뭐 일본은행처럼 사놓기만하고 팔지 말아야...클클
22/06/11 17:30
수정 아이콘
당장 우리나라 코스닥 닷컴버블때 2900이넘었습니다...22년동안 회복 못했고 코스닥은 처음 상장 때부터 1204로 시작했습니다.
22/06/11 19:53
수정 아이콘
다음을 코스닥 닷컴버블때 샀으면 20년 존버해서 카카오가 다음을 인수하고 코로나때 떡상했을때야 전고점을 돌파하죠 크크크
대불암용산
22/06/11 18:59
수정 아이콘
으악;;; 장투도 무조건 성공하는게 아니네요 덜덜
닉네임을바꾸다
22/06/11 19:03
수정 아이콘
무조건 반드시 이런건 원래 성립이 어렵죠...
확률적으로 높다는거정도만 가능하죠 크크
사비알론소
22/06/11 19:17
수정 아이콘
그건 너무 당연한게 당장 20년전 코스피 시총 10위 기업 목록만 보셔도..
그나마 지수가 우상향할 확률이 높으니(높다는거지 무조건도 아님) 지수 장투는 초보에게 추천할만 하죠
뒹굴뒹굴
22/06/11 19:15
수정 아이콘
모든 자산 가격은 보통은 우상향 하는거죠.
다만 개별 항목은 다른 얘기인거고..
거기다가 일본은 인구가 줄어서 서서히 가난해지는걸 선택했다고 표현하던데
우리도 사실 같은 선택하면 전체적으로도 우상향 안할 수 있을 겁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2/06/11 19:35
수정 아이콘
뭐 선진국중 미국빼면 인구 대부분 줄걸요...외부유입없으면...
Heptapod
22/06/11 22:51
수정 아이콘
그래도 똑같은 금액 매달 적립식 투자했으면 배당금 합해서 대략 2~3배 정도는 불어났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56031 [기타] 식당 사장의 광역도발 [10] 니시무라 호노카9872 22/06/12 9872
456030 [유머] 보물선 발견... 눈돌아간 유럽국가.jpg [14] TWICE쯔위10509 22/06/12 10509
456029 [유머] 팩폭 날리는 여캠 [7] 메롱약오르징까꿍9230 22/06/12 9230
456028 [기타] 소주가 쓴 이유.jpg [61] 니시무라 호노카12060 22/06/12 12060
456027 [유머] 합스부르크 가 후손 근황 [5] 훈수둘팔자8772 22/06/12 8772
456025 [기타] 어그로가 끌린 결과.... [5] 닉넴길이제한8자9774 22/06/12 9774
456024 [스포츠] 이정후 曰 평기싫.JPG [9] insane10566 22/06/12 10566
456023 [동물&귀욤] 왜 우리나라에는 고라니가 많은 걸까? [23] VictoryFood11709 22/06/12 11709
456022 [기타] 쭈펄의 재즈 페스티벌 [9] 유나7508 22/06/12 7508
456021 [스타1] 프로토스 유저 까는 사람은 여혐인 이유 [36] 오곡물티슈11732 22/06/12 11732
456020 [기타]  여기 소주 83병 주세요.JPG [50] Aqours11895 22/06/12 11895
456019 [기타] 파파고로 PGR을 번역해 보았다. 된장까스4606 22/06/12 4606
456018 [기타] 뭔가 다급해 보이는 사람들..... [19] 닉넴길이제한8자9089 22/06/12 9089
456017 [스포츠] WWE) 풀타임레슬러 시절 존시나의 하루.JPG [8] 비타에듀5170 22/06/12 5170
456016 [유머] 그 시절 아재들 추억의 유머.jpg [5] 실제상황입니다6052 22/06/12 6052
456015 [스포츠] 중국 축구가 소림 축구라는 평가에 중국인들이 화난 이유 [11] Davi4ever9982 22/06/12 9982
456014 [기타] 재미있어 보이는 시뮬레이터 게임 하나 소개합니다. [13] 물맛이좋아요7136 22/06/12 7136
456013 [LOL] 롤분토론 새로운 얼굴? [248] SNMA19728 22/06/12 19728
456012 [기타] 비트코인 근황 [56] 니시무라 호노카14381 22/06/12 14381
456011 [유머] 마블 액션 근황 [54] 어서오고11235 22/06/12 11235
456010 [유머] 부지런하지만 부족한 친구 [9] TWICE쯔위9838 22/06/12 9838
456009 [유머] 역대급 사랑니라는 디씨인 근황(혐) [28] TWICE쯔위10962 22/06/12 10962
456008 [유머] 27,000,000mAh 보조배터리.jpg [23] TWICE쯔위9562 22/06/12 956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