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9/17 22:16:05
Name Myoi Mina
출처 펨코
Subject [기타] 냉전시대 소련군이 거대한 상비군을 유지한 이유

냉전이 절정에 다달은 1970년대에는 거의 전차 5만대,상비군 500만명을 유지하였다 

image.png 냉전시대 소련군이 거대한 상비군을 유지한 이유


이렇게 까지 많은 상비군을 유지하는데는 이유가 있었다 

밑의 자료를 보자 


image.png 냉전시대 소련군이 거대한 상비군을 유지한 이유
이 자료들은 1980년 소련의 참모진이 분석한 자료들이다.


이당시 근위사단에 쓰이던 t-80b를 제외한 주력이던 t-72a,t-64b보다 


서방제 주력전차 레오파드2,xm1가 1.2-1.5배 정도는 강력하다고 보았다 


하지만 당시 소련사단은 t-55,t-62로 무장하고 있었던 부대도 많았다.


그러면 이제 사단별 전투력을 비교해보자 



image.png 냉전시대 소련군이 거대한 상비군을 유지한 이유


육군끼리만 붙었을때도 기본적으로 소련사단보다 서방사단이 1.2-1.3배정도 강력하다고 보았다 

(물론 근위사단은 서방사단 못지 않지만 모스크바 지키는 군대니까 어찌보면 당연한것이다)


재밌는것은 자기네 소련사단 뿐만 아니라 미국사단 보다도 서독사단이 전투력에 있어서 더 우위에 있다고 판단했다.


주목해야될 부분은 방공에 대해서 진심이었던 소련도 

image.png 냉전시대 소련군이 거대한 상비군을 유지한 이유
소련 자기들이 봤을때 대공장비가 서방제가 자기네 소련제보다 2-3배 우수하다고 분석하였다 


image.png 냉전시대 소련군이 거대한 상비군을 유지한 이유
그리고 공군은 자기네들이 봤을때에도 잽도 안된다고 생각하였다 


이때 당시 나토도 전차 2만여대 가량이 있었고 성능의 우위+공군지원을 생각하면....

결국 소련이 냉전시기 당시 평시에 전차 5만대를 굴리고 상비군 500만을 유지했던 이유를 알수있는 분석이였다. 

(이렇지 않으면 우리는 나토를 이길수가 없단 말이야 ㅠㅠ)




저 당시 소련을 위시한 공산권 국가들 야금기술도 서방에 한참 밀린것도 컸죠


(독일 통일 전 유럽에서 서독의 위세가 대단하기도 했었고..그거 보고 많이 쫄기도 했었을거니와..)



이런 소련을 반대로 서방에서는 과대평가했었죠 크크크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9/17 22:21
수정 아이콘
저 때는 어떻게 저런 무친 쇼미더머니가 가능했던 것일까요? 복지에 전혀 신경을 안 써서 인가
김삼관
24/09/17 22:35
수정 아이콘
사유재산이 거의 없으니 자본가들이 챙길 돈을 횡령하는 일부만 챙기고 죄다 쏟아부어서 그런게 아닐까요 
24/09/18 00:29
수정 아이콘
소련은 사회주의 국가라서 오히려 복지에 신경쓴 모습이 많이 보이죠.
집도 나라가 다 만들어 줄 정도 였으니까요.
당시, 세계 GDP 2위가 소련이었습니다.
한국화약주식회사
24/09/18 00: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러시아인들은 소련이 무너지고 러시아가 되면서 각종 의료, 주거, 취업, 심지어 다챠라는 별장까지 휴양지마다 작게나마 주던 복지 혜택이 사라져버린뒤 외환 위기까지 겪으며 지옥의 90년대를 맞이하죠.

그 배경엔 공산주의적 자본 사용도 있기 때문에 인건비가 원가에 가까울 정도라는 점도 있지만 (국방 연구개발에 필요한 고학력 자원들은 고연봉이 필요하지만 소련은 그럴 필요가 없었죠.) 소련이 항상 3위 안에 들던 석유 수출국이면서 지하자원 수출국이였다는 점도 있습니다. 실제로 소련의 저런 미친 국방비 소진이 이뤄진 70년대는 지속적인 오일쇼크로 고유가시대에 진입하며 소련이 돈을 쓸어담던 시기고, 이후 80년대 저유가+ 아프가니스탄 전쟁 + 원전 사고가 겹치며 군사력 팽창은 커녕 유지조차 버거워지기 시작하죠.
Energy Poor
24/09/17 22:25
수정 아이콘
톰캣이 이글보다 전투력이 높군요.
24/09/17 22:57
수정 아이콘
정비나 유지보수성은 개나 줘버리고 공격력에 올인한 전투기 아니었던가요? 하하
총알이모자라2
24/09/17 23:00
수정 아이콘
당시 사거리가 가장 긴 피닉스 미사일을 풀로 채우면 8개나 실을수 있으니 일단 이론적 평가는 높을수밖에 없죠. 근데 피닉스로 격추기록은 없고-공중전에 쏜적도 없지만... 단거리 사이드와인더 격추기록만있다는..
한국화약주식회사
24/09/18 01:01
수정 아이콘
6발...이고 항모 작전시에는 무게때문에 4발이 한계긴 했습니다. 이란-이라크 전때 상호간의 교차검증으로는 이라크는 16대가 피닉스에 의해 격추되었다고 주장하지만 그것보단 많을 거라는게 대다수 의견이긴 한데 일단 그 당시 이란이 가진 피닉스 수량이 300여발 약간 안되긴 했는데 전후 50여발 정도 남았고, 이라크군 전투기 대다수가 RWR, 레이더 경보장치가 없기 때문에 자신에게 피닉스가 날아온다는걸 모르고 맞는 상황이 제법 나왔거든오.
다람쥐룰루
24/09/18 01:35
수정 아이콘
공포 그 자체네요 언제 어디서 날린지 모르는 공대공 미사일이 날아와서 아군 전투기가 레이더에서 사라졌다...
한국화약주식회사
24/09/18 01:05
수정 아이콘
일단 장거리 탐지-공격이 가능하단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습니다만 그걸 까먹는 근접전 능력과 천조국조차 재앙으로 여긴 유지보수의 문제가 있습니다.

미 해군이 항모에서 톰켓을 치운 이유도, 보통 항공모함에 16~20대의 톰켓이 배치된다면 (나머지는 지상 타격을 위한 공격기들) 이중 출항 초가 아니라면 작전 가능한 톰켓은 항상 6~10에 불과했기 때문이죠. 심지어 4대조차 안될때도 있었습니다. 반면 호넷과 슈퍼호넷은 공격기들까지 대체했기 때문에 항공모함에 48~60대를 싣고 이중 30~48대는 작전이 가능한 정도의 유지보수 능력을 가졌으니 전투력으로 따지면 슈퍼호넷으로 가는게 더 나았습니다.
24/09/17 22:36
수정 아이콘
워게임 세팅값이라던데, 워게임이라서 좀 더 과대평가한게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VictoryFood
24/09/17 22:57
수정 아이콘
이건 펜타곤 의견도 들어봐야...
24/09/17 23:00
수정 아이콘
하지만 실전 경험을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는 장비의 성능보다 어떻게 언제 누가 쓰느냐가 훨씬 중요하다는 결론이..
메가트롤
24/09/17 23:57
수정 아이콘
T-80B 2.8
레오파르트2 2.4
흠터레스팅...
한국화약주식회사
24/09/18 01:07
수정 아이콘
당시 초기형 레오파르트2와 T-80B라면 저 정도 값을 줄만하긴 합니다. T-80 시리즈는 이제 레오파르트2A4쯤 가야...
(물론 소련군 입장에선 30% 정도 좋은데 유지비가 10배 드는 돈먹는 하마...)
복타르
24/09/17 23:59
수정 아이콘
우러전이후 러시아 전력의 허상을 알게 되니까, 소련이 자랑하던 막대한 상비군도 알고보면...
DogSound-_-*
24/09/18 00:01
수정 아이콘
엠육공a2가 a3보다 전투력이 높게 봤나봐요
한국화약주식회사
24/09/18 01:13
수정 아이콘
이론상 M60A2의 전투력은 모든 전차를 일거에 뚜껑 따버릴 대전차 미사일로 선빵을 때리고 이후 152mm 포가 단포신+복잡해진 탄약이라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대구경으로 상대 전차를 무력화 시킨다는 완벽한 계획이였습니다만 이것도 이 미사일+주포 통합 시스템의 유지보수능력이 재앙 수준이라 미군의 보급 능력조차 이를 유지 못했고...
손꾸랔
24/09/18 00:06
수정 아이콘
원폭에 수폭까지 쟁여놓고선 인력과 자원을 너무 낭비했네요.. 대신에 온난화는 좀 늦춰졌을라나..
Jedi Woon
24/09/18 00:25
수정 아이콘
소련에서는 성능 차이로, 미국에서는 물량 차이로 서로 국방 예산 달라고 징징 댔겠네요.
아이군
24/09/18 04:28
수정 아이콘
냉전시대 일화 보면 온갖 병맛이 다 있음....

제가 기억하는 재미있는 일화 두 가지가,

1. 당시 CIA기준으로 유럽 전선에서 미국이 소련에 약간 열세라는 평가가 나오니깐, 미국의 강경파에서
"동맹국 빼고 붙은 건 불공평하니깐 동맹국 넣고 붙여라!!" 라는 주장이 나왔다는 거..... 도대체 어떤 약을 먹어야 동유럽(동독 우크라이나 폴란드등)이 중 서부 유럽(서독 프랑스 영국)보다 강할거라는 생각을 할 수가 있을까요.....

2. 미군에서 80년대부터 소련이 신탱크를 수천대 양산했다고 주장했음.... 그런데 그 탱크의 전차가 무려 아르마타 였음...(정확히는 아르마타의 전신인 T-95) 개발 초기 단계부터 정찰을 시작한 미국의 첩보능력이 대단한 것인가 2020년대에도 양산이 지지부진한 전차를 1980년대에 양산했다고 하는 미군의 허풍이 대단한 것인가 40년간 개발해 놓고 아직도 양산 못하는 러시아의 기술력이 대단한 것인가....
도뿔이
24/09/18 06:11
수정 아이콘
+어마어마한 국경선이죠. 최소한 뒤통수 맞을 걱정은 없던 서유럽, 어디서든 맞을 걱정 없던 미국(우주로부터는 제외)과는 달리 어마어마한 국경선 길이에 상당수의 국경선이 긴장관계가 있는 나라들이라... 흔히들 알고 있는 나토+일본에 한덩치 하던 터키, 70년대까지 엄청난 친미국가였던 이란, 꽤나 자주 티격태격하던 중국, 자신들의 판단착오로 전쟁까지 했던 아프간 등등 외부의 적도 많고 작게는 소련내, 넓게는 바르샤바 조약기구 내의 국가들에게까지 무력투사가 필요하다보이...
24/09/18 07:01
수정 아이콘
소련이 평가한 서방유닛의 전투력이니까

당연히 과장이죠

저걸 팩트로 받아들이는것도 곤란합니다

반대로 미국도 소련의 전투력을 과대평가했죠

이게 웃을일이 아닌게

이게 우리나라가 북한에 그대로 하고있는..
파르셀
24/09/18 11:16
수정 아이콘
이게 다 각국 국방부가 예산 조금이라도 더 얻으려는 방법입니다!?
이른취침
24/09/18 13:24
수정 아이콘
과소평가해서 줘터지는 것 보단 낫다는 심정?
+ 예산 더 주세요 징징용
미드웨이
24/09/18 18:30
수정 아이콘
예산 더 받아먹을라고 하는 군의 몸부림도 있지만 사실 얼마나 강한지는 실제로 붙어봐야아는게 크죠. 서류상으로만 보면 아랍연합군이 절대로 이스라엘에 패배할수없었지만 전쟁은 사람이 하는거라서 패배했던것처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6032 [LOL] 63빌딩 근황 [30] Leeka12554 24/09/27 12554
506031 [게임] 스타크래프트 1,2 11월 5일에 게임패스 추가 [10] 크레토스12561 24/09/27 12561
506030 [게임] 와우 엔드 컨텐츠 신화 레이드란.. [22] 길갈11401 24/09/27 11401
506029 [유머] 오늘 21시에 시작하는 라이브 토크 방송 [5] Leeka11351 24/09/27 11351
506028 [LOL] LCK 규정위반으로 송출 임시정지 [18] Leeka12156 24/09/27 12156
506027 [게임] 아랑전설-스파 콜라보 비하인드(feat.한류) [4] 인간흑인대머리남캐7698 24/09/26 7698
506026 [게임] Monster Hunter Wilds - 프로모션 영상 4 [2] STEAM5875 24/09/26 5875
506025 [LOL] 2024 월즈곡....덕분에...오히려 재조명... [4] Janzisuka8960 24/09/26 8960
506023 [유머] 공포게임 도입부가 시작되지 않는다.manhwa [10] 인간흑인대머리남캐9581 24/09/26 9581
506022 [유머] 일본인 사위를 데려와도 소통 가능한 엄마.jpg [12] Myoi Mina 12888 24/09/26 12888
506021 [LOL] 린킨파크는 무죄다!! [33] 데갠10873 24/09/26 10873
506020 [LOL] [롤 뮤비] ...동체시력 몇인거 [5] Janzisuka7398 24/09/26 7398
506019 [LOL] 돌아온 따봉좌 [8] 카루오스7947 24/09/26 7947
506018 [게임] 진.삼국무쌍 오리진 플레이영상 [11] STEAM8104 24/09/26 8104
506017 [기타] 한국 왜이리 은행나무 많은거야 [44] VictoryFood12488 24/09/26 12488
506016 [유머] 일본의 세계 최장 복역 사형수 근황 [19] 인간흑인대머리남캐11598 24/09/26 11598
506015 [LOL] Heavy is The Crown (팬메이드 뮤비) [5] 무딜링호흡머신6570 24/09/26 6570
506014 [게임] 아랑전설 CotW × 스트리트 파이터 콜라보 [6] STEAM6413 24/09/26 6413
506013 [기타] 아저씨를 낳았다.jpg [16] 로즈마리12614 24/09/26 12614
506012 [기타] 저자의 고민이 느껴지는 책 제목 [3] 65C029295 24/09/26 9295
506011 [게임] 오버워치 신규 콜라보 [9] Riina7803 24/09/26 7803
506010 [기타] 어린 아이들 시점에서 볼 때의 유치원 선생님 [8] 묻고 더블로 가!10139 24/09/26 10139
506009 [게임] FM) 2030 월드컵 결과 피파 깡소주행(?).JPG [24] 비타에듀8278 24/09/26 827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