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2/20 23:11:04
Name 된장까스
File #1 19523a9ceea538f18.jpg (49.9 KB), Download : 403
출처 2차 루리웹
Subject [유머] 드디어 실제 판매를 시작한 5070ti 한국 가격 근황 jpg


옛날에는 저 돈이면 PC 한대 뚝딱이었는데 말이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anymaster
25/02/20 23:29
수정 아이콘
저건 생색내기용이고 실 가격은 170만원대라는 말이...
십자포화
25/02/20 23:33
수정 아이콘
10년 전만 해도 적당한 메인스트림 CPU에 퍼포먼스급 글카를 장착하던 가격인데....
25/02/20 23:42
수정 아이콘
120대에 4080s 산 사람들이 승리자
지나가던S
25/02/20 23:53
수정 아이콘
저건 출시 특가 가격이라서 오늘 1분 안에 구매 못했으면 못 구하는 가격이고
최소 2개월은 160~180만 원 아니면 5070Ti는 구매 못 할 겁니다.
제가 지금 쓰고 있는 본체+모니터+스피커+키보드+마우스+외장하드를 다 합쳐도 50만 원은 더해야 하는 군요.
25/02/21 00:14
수정 아이콘
비디오게임이 점점 비싼 취미가 되어가네요.
25/02/21 00:50
수정 아이콘
그냥 4080S 중고 알아보는게 속편할듯 깡성능도 훨씬 좋고
25/02/21 01:03
수정 아이콘
클라우드 게이밍 관련주가가 올라야 되는거 아닌가요
25/02/21 01:21
수정 아이콘
그중 가장 쓸만하다고 취급되는게 지포스 나우고 스태디아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돈을 아무리 쏟아부어도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망하기 때문에... 클라우드 게이밍은 지구 전역에 광케이블 서버 다 깔아둘거 아니면 가망이없죠.
뒹굴뒹굴
25/02/21 07:09
수정 아이콘
지포스나우보다는 그래도 게임패스가 좀 낫지 않나요?
빠독이
25/02/21 01:38
수정 아이콘
제가 작년에 7500f+6800으로 본체 맞췄는데 저거 하나보다 싸군요.
이걸로도 듀얼모니터에 다른 거 다 틀어두고도 몬헌 와일즈 베타 FHD 상옵이 괜찮게 돌아가는데 이 정도면 만족합니다.
25/02/21 02:21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굳이 고사양 작업을 안해도 상급기 가고 그랬는데 이제는 4060에도 만족하는 제가 되었습니다..
태양의맛썬칩
25/02/21 02:49
수정 아이콘
소니가 플스5프로를 괜히 그 가격으로 파는게 아니었어요.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본 거죠
25/02/21 05:02
수정 아이콘
플5프로 100만원 인 이유
25/02/21 06:18
수정 아이콘
4080super야 오래살자..
25/02/21 07:27
수정 아이콘
1080을 70에 줬는데 .. 5년만 더 버티자.. 
에이펙스
25/02/21 07:49
수정 아이콘
지금도 저돈이면 pc한대 뚝딱이에요 크크
다람쥐룰루
25/02/21 07:53
수정 아이콘
2222
데몬헌터
25/02/21 08:01
수정 아이콘
3060ti야 힘을내!
25/02/21 08:12
수정 아이콘
듀얼 Gpu LGFS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커버 가능!
25/02/21 08:40
수정 아이콘
그것도 파워, 세팅값생각하면 애매합니다
최소 4070에 듀얼해야 5070ti비빌수있어서
25/02/21 10:06
수정 아이콘
있는거 최대한 활용해보는 쪽이라, 세팅하는 재미도 있습니다 흐흐
25/02/21 08:37
수정 아이콘
1070아 힘내자
발적화
25/02/21 09:11
수정 아이콘
3080 아 올해도 힘내보자
이민들레
25/02/21 09:41
수정 아이콘
물가 오른거 생각하면 그냥 정상일지도..?
아케르나르
25/02/21 09:51
수정 아이콘
PC게임 유저 수가 줄어드는 것도 영향이 있으려나요? 엔비디아의 주 매출은 이제 기업용이고 그래픽카드는 곁다리라 사던 말던 신경 안 쓰고 가격 올려치는 것도 있겠지만.. 저만 해도 이제 피씨게임은 잘 안하고 남 하는 거 보는 경우가 잦거든요. 모바일 게임으로 많이 넘어왔고, 앞으로도 그 추세가 변할 거 같지는 않네요.
Lord Be Goja
25/02/21 10:33
수정 아이콘
pc게임시장은 계속 증가해서 현재 최고치입니다
게이밍 그래픽카드 출하량도(단 유닛이 아니라 매출액입니다.) 작년이 최고점이였고요..

https://gigglehd.com/gg/game/16819744
보시면 스팀동접자가 코시국보다도 늘었다는걸 알수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지포스사업부매출만 해도 암드전체의 60%정도에(amd가 인수한 자일링스FPGA사업부까지 포함)달하기 때문에 절대 안팔리는 제품군이 아닙니다


단 이런 게이밍 시장의 증가보다도 ai관련 시장의 증가와 규모가 압도적이라서...(현재 전체 메모리 시장 거래액에서 HBM이 30%이상을 차지할 정도) 밀리는거죠
아케르나르
25/02/21 10:58
수정 아이콘
음... 검색해보니 PC게임시장 규모는 모바일, 콘솔에 이어서 3위이고 23년 성장률이 8%로 높았다는 내용은 있네요.
https://m.thisisgame.com/webzine/pds/nboard/267/?category=3&n=189153
또 찾아보니 엔비디아에서 게임과 데이터 센터의 매출 비중이 각각 43%, 45%군요. 생각보다는 많이 높아서 놀랐습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61126625870272&mediaCodeNo=257
Lord Be Goja
25/02/21 11: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예전에 콘솔 독점하던 시리즈들이 독점을 안하거나 몇달만하고 피시로 빨리 내는것도 피시게임시장이 2010년대나 그 이전에 비해 엄청 성장해서 그렇습니다.(물론 개발비용이 너무 증가해서 콘솔만 가지고 원금회수하는게 빡세진것도 무시못하죠) 피시게임의 진짜 암흑기는 다들 황금기라고생각한 2000년즈음.. 콘솔은 천만단위 게임이 90년대에 나왔는데 (파판7) 그즈음 pc rpg를 보면 폴아웃 1,2는 합쳐서 백만이하 발더스2는 2백만..디아2가 4백만 수준이였죠
그런데 개발비증가가 판매량에 비해 커저서  스튜디오가 많이들 사라졌죠
페스티
25/02/21 11:52
수정 아이콘
4080s 사길 잘했다!
25/02/21 20:32
수정 아이콘
3070 40만원 아래로산거같은데 너무 잘삿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2360 [유머] 예술가들에 의해 감쪽같이 사라진 자동차 [5] 유머8511 25/02/23 8511
512359 [기타] 청구서를 찢어버리고 싶을 정도의 아파트 관리비 [46] a-ha11896 25/02/23 11896
512358 [서브컬쳐] 기동전사 건담 지쿠악스 방영 날짜 공개 [11] 된장까스6044 25/02/23 6044
512357 [유머] 몽골 기마병이 강한 이유 [24] 길갈11428 25/02/23 11428
512356 [동물&귀욤] 호스 줄 정리해주는 코끼리 [15] VictoryFood7633 25/02/23 7633
512355 [유머] 해외에서 한국인의 맵부심 부리면 안되는 이유. [25] 캬라11539 25/02/23 11539
512354 [유머] 한국인들은 부정하는 놀라운 사실.jpg [8] 캬라10740 25/02/23 10740
512353 [기타] 납치 성폭행으로 옥살이 8개월...JPG [61] 실제상황입니다12250 25/02/23 12250
512351 [기타] 회사가 어렵다는 내용에 많이 안타까워 하는 예비역들 [13] a-ha10630 25/02/23 10630
512350 [게임] 스파6 시각 장애인도 할수있는것 [1] STEAM4722 25/02/23 4722
512349 [기타] 속초가 최근 인기 관광지가 된 비결 [29] 묻고 더블로 가!11136 25/02/23 11136
512348 [게임] 동양인은 게임할 때 밝기를 올려야 하는 이유 [30] CoMbI COLa10273 25/02/23 10273
512347 [기타] 건강한 바나나킥을 먹은 펨코인 [6] 닭강정8081 25/02/23 8081
512346 [방송] 잊고있었던 미래하면 떠오르는 것 [9] 김삼관8157 25/02/23 8157
512345 [게임] 카운터사이드 사과문 [29] 묻고 더블로 가!10252 25/02/23 10252
512344 [서브컬쳐] 우마무스메 신데렐라 그레이 공식 pv [15] 낭천6973 25/02/22 6973
512343 [유머] 소름 돋는 개통령 강형욱 인스타 게시글..jpg [21] 김아무개14138 25/02/22 14138
512342 [유머] 그래픽카드에 마더보드를 꽂아보세요 [20] 유머10188 25/02/22 10188
512341 [서브컬쳐] 말딸) 일섭 4주년 공개 우마무스메들 [13] 김티모6889 25/02/22 6889
512340 [방송] 가정파탄낸 MBC [26] 유머13697 25/02/22 13697
512339 [유머] 지구: 봄이 코앞인데 춥다는 피드백이 있습니다. [29] 길갈12976 25/02/22 12976
512338 [유머] 이거 안전한거 맞니? [7] 유머9620 25/02/22 9620
512337 [유머] 조선 정조시절 여자가 슬피 운 이유 [10] 유머10613 25/02/22 106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