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7/24 21:38:18
Name 콩알이
Subject [질문] 수출기업과 내수기업의 경제 기여도
"김밥 코리아"라는 수출기업이 있고,
"김밥 나라"라는 별개의 내수기업이 있다고 가정하고요,

두 기업이 모두 똑같이
(고용도, 인건비도 동일, 재료비도 동일,
... 매출액도, 순수익도 동일, 납세액도 동일....)
김밥을 만들어 팔았는데,

"김밥 코리아"는 외국에 수출해서 돈을 벌었고,
"김밥 나라"는 국내에서 판매하여 같은 돈을 벌었다면
어느 기업이 한국 경제에 더 많은 기여를 한 것입니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항정살
24/07/24 21:52
수정 아이콘
수출이죠. 왜냐면 우리나라는 원자재는 거의 없이 수입한 원자재를 재가공해서 파는 나라니까요. 오죽하면 수출 많이 하면 나라에서 상도 주잖아요.
콩알이
24/07/25 16:14
수정 아이콘
좋은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07/24 22: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으음...결국 GDP로 계산되었을때 문제인건데 일반적으로는 해외로 파는게 돈을 더 벌긴 하겠죠 같은 물건을 만들었다 치면...
그런데 조건이 같은 금액을 벌었다라...그러면 GDP로는 같을거같군요...
콩알이
24/07/25 16:14
수정 아이콘
좋은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사람되고싶다
24/07/24 22:10
수정 아이콘
많은 분들이 오해하시지만 경제학적으론 동등합니다. 단지 수출이 더 넓은 시장을 가져서 기회가 많고 유리할 뿐입니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의존도가 높아서(원자재, 에너지, 식량 등) 이를 안정적으로 사올 수 있을 정도의 외화가 필요할 뿐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외환보유고는 IMF 트라우마로 과하다시피 쌓아두고 있어서 이제와선 외환위기 올 체급은 아니기도 합니다. 물론 수출해서 달러 더 벌어오면 좋긴 한데 그게 절박하게 필수적인 상황이냐하면 이젠 아니죠. 개인적으로는 우리가 너무 과하게 수출에 집착해서 내수를 등한시한다고 생각합니다. 내수는 그렇게 홀대받을 게 아닌데도 다들 수출이 내수보다 우월한줄 알아서...
닉네임을바꾸다
24/07/24 22:14
수정 아이콘
근데 결국 님 말대로 의존도 생각하면...아무래도 수출해서 달러챙기는게 낫다는 판단을 하는것도...뭐...
원화는 있어봐야 막상 원자재는 하나도 못사니까...
사람되고싶다
24/07/24 22: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게 딜레마인 게 그 원자재를 사오는 이유가 우리가 쓰려는 것도 있지만 더 큰 부분이 (제조업) 수출 하기 위해서 사오는 거라서... 수출 제조업에 목메면 그거 때문에 더욱더 해외의존도가 높아지고 외부충격에 더 취약해집니다. 오히려 내수 비중이 높은(= 무역 의존도가 낮은) 나라는 외부 충격에 상대적으로 강해서 일장일단이 있습니다.

사실 미국 정도 빼면 이 세상에 에너지 원자재 자급 되는 나라는 없어요. 다 국제시장에서 사옵니다. 개인도 마찬가지지만 필수적으로 소비하는 이상만 벌면 돼요. 외화는 식량이랑 비슷하다 보면 얼추 맞는 게, 없으면 굶어죽어서 정말 필수적인 건 맞는데 그렇다고 무작정 다른 소비 다 줄이고 식량만 쌓아두는 건 또 능사는 아니라서... 안정적으로 끼니 유지할 정도 되면 남는 돈으로 물건도 사고 여가도 즐기고 하는 거죠 뭐.
닉네임을바꾸다
24/07/24 22: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이미 수출주도형이니 이걸 내수로 바꿀려면 현 산업구조가 전부 엎어져야할터라...미국정도의 거대한 내수가 아니면 내수 전환되는건 성장은 거의 끝난다는거기도 하고...음....결국 더 많은 시장에 더 많이 팔아야 성장이란게 가능하다는걸 생각하면 말이죠...님 말대로 외부충격엔 안정적이지만...
사람되고싶다
24/07/24 22:56
수정 아이콘
그야 원질문은 수출, 내수 제외하면 나머지 조건은 다 똑같다는 가정이니까요. 결과적으로 수출산업이 돈이 되니까 하는 건 괜찮은데 그냥 수출 자체가 무조건 선이고 내수보다 우선한다는 게 아니란 걸 말하고 싶었습니다. 아무리 수출산업이라도 돈 안되는 저부가가치 산업이라면 차라리 놓아주는 게 우리나라 해외의존도도 줄이고 더 좋지 않나 요새 생각합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07/24 22: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저부가가치를 털어내는거는 털어내는거고 그 자리는 결국 다른 고부가가치로 수출파트를 채워야하는게 이나라의 숙명에 가까울겁니다...크크
수출에서 저부가가치만 딱 털어내고 거긴 내수로 채우자하자고 채워지지도 않을거고요...
콩알이
24/07/25 16:14
수정 아이콘
두분 모두 좋은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콘칩콘치즈
24/07/24 22:11
수정 아이콘
경제 기여도라고 하는게 좀 애매하지만 해외에서 달러를 벌어오는 산업이 내수산업보단 더 기여를 많이 한다고 생각합니다.
콩알이
24/07/25 16:15
수정 아이콘
좋은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24/07/24 22:24
수정 아이콘
일감으로는 수출기업이 아닐까 싶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출기업이 내수기업보다 다양한 산업에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이죠. 김밥으로 생각하더라도 내수기업에는 필요없는 항만, 검역, 통관, 해운 같은 산업에 고용을 창출할 가능성이 있죠. 장기간 보존을 위한 노하우, 현지 법령 준수, 현지 판로의 개척과 관리 같은 좀 더 고도화된 지식이 사회에 축적되는 효과도 있고요. 거기에 외화획득이라는 점도 크죠.

다만... 수출기업과 내수기업이 조건으로 제시하신 같은 매출액에서 같은 비용구조와 같은 순이익이 나올 수 있는지는 좀 의문이라, 질문에 대한 정확한 대답이 아닐지도 모르겠습니다.
콩알이
24/07/25 16:15
수정 아이콘
좋은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공부맨
24/07/25 00:56
수정 아이콘
이론적 기여는 같을거라보지만

김밥업체가 대기업이라면
독점으로인한 국내시장의 경제적 이득이 온전하지 않을거라봐서

수출기업이 더 큰 경제적이득이 클 거라고 봅니다.
콩알이
24/07/25 16:15
수정 아이콘
좋은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24/07/25 09:34
수정 아이콘
달러를 벌어오는 측면이 훨씬 크다고 봅니다. 달러가 부족하면 결국 내수도 망가져요.
내수로 돌아간다는 일본도 엔화를 거의 준기축통화처럼 써서 요새 망가져가는데.
원화는 해외에서 거의 힘을 못쓰니까요.
콩알이
24/07/25 16:15
수정 아이콘
좋은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다람쥐룰루
24/07/25 12:41
수정 아이콘
국내에 외화가 부족하다면야 수출기업이 더 기여를 했다고 봐야겠지만요 저게 뭐 경제학 문제로 나왔으면 동등하다가 정답이겠죠
콩알이
24/07/25 16:15
수정 아이콘
좋은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콩알이
24/07/25 16:17
수정 아이콘
다수결로 결정할 문제는 아니겠지만,
중지를 모으자면 이론적으로는 같지만 수출기업의 기여가 더 큰것으로 수렴되네요.
댓글 달아드린 모든 분들깨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2916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5893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5870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8967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71185
181691 [질문] PC 구입 질문입니다. [7] Zakk WyldE1397 25/09/16 1397
181690 [질문] 다들 잠 푹 주무시나요? [20] 독각1884 25/09/16 1884
181689 [질문] 음식물 처리기? 쓰시는분 [7] 짧게짧게무새1565 25/09/15 1565
181688 [질문] 골프로 인한 좌우비대칭 [7] 無欲則剛1589 25/09/15 1589
181687 [질문] 효도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19] 일월마가2212 25/09/15 2212
181686 [질문] 헤드셋 질문입니다. [11] 자가타이칸1143 25/09/15 1143
181685 [질문] 신혼부부 서울 집 첫 매매 질문입니다. [23] 가니야1777 25/09/15 1777
181684 [질문] 이번 주 금요일 (9/19) 인천공항 장기주차장 자리 있을까요? [6] Alfine1116 25/09/15 1116
181683 [질문] 토플 100점 따려면 어느정도 투자가 필요할까요? [9] rnsr1321 25/09/15 1321
181682 [질문] 에버랜드 문의드립니다. [15] 자취방809 25/09/15 809
181681 [질문] 전기쪽 취업을 아버지 연줄로 면접도 봤는데 연락이 없는 건 뭘까요? [26] 블랙리스트1481 25/09/15 1481
181680 [질문] 투자 조언 부탁드립니다. (미장 직투 VS 주담대 상환) [8] 아이언맨1661 25/09/15 1661
181679 [질문] 벽걸이 에어컨 바람막이 관련 질문드립니다. [5] SaNa986 25/09/15 986
181678 [질문] 급하게 추석연휴 기간 휴가계획 짜야 합니다 ㅠㅠ [6] 클레멘티아2628 25/09/15 2628
181677 [질문] 엘프 여캐릭터 셋이 그려진 표지가 있는 만화 혹은 라이트 노벨 제목 [9] 수퍼카2396 25/09/15 2396
181676 [질문] 간짜장 먹고 싶어요. 맛있는 간짜장 추천해주세요. [16] 하얀사신3241 25/09/14 3241
181675 [질문] 완전섬맵 프로토스 대 프로토스 동족전에서 리버드랍이 왜 패스트캐리어에 빌드싸움에서 지나요? [4] 잘가라장동건2527 25/09/14 2527
181674 [질문] 영드나 시트콤 중 이런 작품이 어떤 것이 있을까요? [2] SaiNT1931 25/09/14 193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