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1/17 21:23:21
Name nexon
Subject [질문] 스페이스X의 로켓이 발사대로 돌아오는 이 기술의 원리는 무엇일까요...?



https://twitter.com/elonmusk/status/1880025359636394458


공상과학영화에 나올 것 같은 장면인데요

저렇게 하려면 화력의 세기와 로켓의 무게중심 등 계산할 것이 엄청 많고 그 계산을 실현할 수 있는지도 의문인데

실제로 저것을 구현해냈다는 것이 놀랍네요... @.@

실제로 로켓을 조종한 것은 사람일 텐데 저런 움직임을 만들어낸 기술의 원리는 무엇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뒹구르르
25/01/17 21:30
수정 아이콘
사람이 조정하는 건 아니고 자동제어로 착륙한다고 보시면 되고
기술의 원리를 설명하기엔 너무 많은 요소들이 있어서 좀 어렵고

비유하자면 손바닥에 가는 막대기 긴 방향으로 세워보신적 있죠?
그거 계속 서있게 하려면 손바닥 열심히 움직여서 균형잡아야 되고 그거 몇초 버티기 힘들잖아요
대충 로켓 제트 분사로 그 손바닥으로 막대 균형잡기처럼 바로 서있게 조정하는라고 생각하시면 비슷할거 같네요
덴드로븀
25/01/17 21:37
수정 아이콘
사람이 하는게 아니라 컴퓨터로 자동으로 계산해서 균형도 잡고 추력도 조절하면서 착륙하는거죠.
말이야 쉽지만 이걸 구현하기 위해서 수백수천명이 십수년간 인생을 갈아서 만들어낸 걸작입니다.

그래서 저 크기의 로켓을 저만큼 제어하는 회사는 지구상에 스페이스X 한곳뿐입니다.

대형 로켓 재착륙 기술은 제프 베조스의 뉴 글렌도 어제 성공했는데 그정도는 이미 스페이스X 가 몇년전에 성공해버린거구요.
고라니
25/01/18 00:03
수정 아이콘
제어 소프트웨어입니다. 마이크로초 나노초단위로 센서값 계속 받아서 보정하는거에요. 사람이 조종 안해요.
요새는 일반 비행기 여객기도 날씨 좋은 날엔 기장이 직접 안할 수 있습니다. 로켓은 그거의 고급버전이죠.
방구차야
25/01/18 02: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무조건 수평을 유지하려는 자이로드롭..아니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기본으로 분리후 자유낙하할때 로켓이 뒤집히지 않게 자이로 스코프가 상단,하단에 있어서 사방으로 분사되는 미세조절 분사구로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지상에 가까워졌을때는 메인발사구로 속도를 줄이는게 (중불,약불 단계조절)기본원리가 아닌가합니다.
Funtastic
25/01/18 07:45
수정 아이콘
크고 무거워서 관성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외란에는 강해서, 생각하시는 것보다 뭐 엄청나게 어려운 자세제어는 아닙니다. (우리는 왜/안 못하냐? 기술력이 떨어지는 것도 있겠지만, 저런거 한다고 돈 타기도 어렵고 어떤 오너도 저런 도전을 결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시작도 할 수 없는 환경)
그렇다고 쉬운 기술은 아니고 무진장 어렵겠지만, 저런 기존의 공학자들이 보기엔 너무도 허무맹랑한 발상(저런거 한다고 하면 등짝각에 예산 안나옴)을 실제로 연구하고 만들어내고 실행할 수 있게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일론 머스크의 능력과 재력이 착륙기술보다 훨씬 더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cruithne
25/01/18 10:40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SSyopeCsfZ0?si=yiGs_ViR9WSscspU&t=61

자세제어야 여기저기서들 많이 하는거죠. 다만 그 스케일이 크고 흉악할 뿐...
빼사스
25/01/18 15:01
수정 아이콘
오히려 저래야 재사용 로켓의 폭발을 줄일 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문제 없이 딱 자리에 앉히는 게 쉽잖은 반면 저건 딱 젓가락처럼 잡아주니까 놀라운 기술 같아요.
25/01/19 00:58
수정 아이콘
드드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1135 [질문] 기독교 믿음에 대한 질문 [34] 하루아빠3001 25/07/14 3001
181134 [질문] 두번째 피검사 결과 확인 해주실있나요 [8] poocang2367 25/07/14 2367
181133 [질문] 성폭행 피해자의 신뢰관계인 동석 [5] klavsax3543 25/07/14 3543
181132 [질문] 40대 독거남 입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꿀팁 좀 공유 부탁 드려요 [16] 크림샴푸3070 25/07/14 3070
181131 [질문] 마크 돌아가는 노트북 추천 부탁 드립니다. [1] 우엉징아리1231 25/07/14 1231
181130 [질문] 디아블로4 이제 입문한 사람인데 초보적인 질문 몇 드립니다. [11] 바카스1958 25/07/14 1958
181129 [질문] 달리기 시 존2 심박수 유지에 대한 고민 [14] 놔라1734 25/07/14 1734
181128 [질문] 노트북에 터치스크린이 있으면 유용한가요? [17] Karolin2237 25/07/14 2237
181127 [질문] 무이자 할부 많은 카드 추천 부탁 드립니다. [3] 무명헌터1460 25/07/14 1460
181126 [질문] PPT 특화되어있는 AI? 종류 추천 부탁드려요! [5] 요아정2006 25/07/14 2006
181125 [질문] 헬로우 애너하임! [4] 단지우유2217 25/07/13 2217
181124 [질문] 부모님이 쓰시기 좋은 튼튼한 유선 이어폰 추천 해주세요. [10] 44년신혼2년2172 25/07/13 2172
181123 [질문] 8월에 일본 삿포로 여행을 3박 4일로 가는데요 [6] 아이폰15pro2324 25/07/13 2324
181122 [질문] 갤25 플러스, 단통법 폐지 전에 살까요, 폐지 후에 살까요? [2] 광개토태왕2480 25/07/13 2480
181121 [질문] 화면을 꺼도 작동하는 카메라앱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콩돌이1627 25/07/13 1627
181120 [질문] 핸드폰 교체 / 고가요금제 3개월 유지 조건 [6] Azure_1240 25/07/13 1240
181119 [질문] 폴드7, 사전예약이 좋을까요 단통법 철회 이후에 구매가 나을까요? [3] 시린비1511 25/07/13 1511
181118 [질문] 보르조이의 아오오니영상을 찾고 있습니다 [1] 카오루1221 25/07/13 1221
181117 [질문] LCK나 혹은 국제대회 도핑테스트는 어떻게 하나요? [2] 클레멘티아1463 25/07/13 1463
181116 [질문] XBOX PC 게임패스 다운로드 속도 문의(0x800704C6) sangbung21129 25/07/13 1129
181115 [질문] 걸그룹 탑티어 보컬은 누가 있을까요? - 2000년생 이후 조건 [14] MoonWatch2310 25/07/13 2310
181114 [질문] 매장에서 사용할 핸드폰을 구입하려고 합니다. 고요1915 25/07/13 1915
181113 [질문] 5살 아이랑 겨울 여행 나트랑 vs 푸꾸옥 어디를 더 추천하시나요? [8] 기억의습작1989 25/07/12 198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