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4/13 12:28:33
Name 삭제됨
Subject [삭제예정] 이사가려는데 대출 감당이 될까요? 조언부탁드려요! (수정됨)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몽키매직
25/04/13 12:54
수정 아이콘
dsr 로 20% 정도인 것 같은데 무리 근처도 아닌 것 같습니다...
25/04/13 13:06
수정 아이콘
대략 육아에 들어가는 비용 200만원 합친다고 생각하면 거의 10억 가까이 대출 받는건데 괜찮은건가요? 덜덜...
이런식으로 대출을 일으켜본적이 없어서 감이 없네요...ㅜㅜ
그리고 세후로 계산하면 대출로만 거의 절반의 월급이 날아가는건데 받아본적이 없어서 가능할지를 모르겠네요.
거의 다 결정해놓고 이거 놓쳐서 고민 중인데 어렵습니다.
몽키매직
25/04/13 13:39
수정 아이콘
절반이요? 7억 4.3% 40년 원리금균등으로 계산하면 월 납입액이 300만원인데요...
대출 상담부터 받아보세요.
25/04/13 14:03
수정 아이콘
그 정도는 감당 가능하다고 판단되서 그렇게 하려고 했는데 아기가 생기면 200만원 정도 추가 지출이 생기니까 그럼 월 500이잖아요.
답변 감사합니다.
25/04/13 14:42
수정 아이콘
애가 3살인데 200만원 정도 추가 지출은 없습니다.
그 반도 안 들어요
25/04/13 14:54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부모님이나 애를 봐주시는 분한테 보통 150-200정도 드리더라구요.
맞벌이 유무가 큰 것 같습니다.
프즈히
25/04/13 13:10
수정 아이콘
많이들 아래와 같이 생각하고 매수를 하시죠. 저도 동의합니다. 물론 부동산 시장 예측을 하셔서 사고 팔고 하실 수 있으면 그게 베스트지만 그렁 목적이 아니신거 같아서 제외하겠습니다.


1. 좋은 집 샀는데, 집값 오르고, 애 키울 돈 충분

→ 노 프러블럼.

2. 좋은 집 샀는데, 집값 안 오르거나 떨어지고, 애 키울 돈 충분

→ 당장 노 프러블럼, 돈 못 벌었을 뿐.

3. 좋은 집 샀는데, 집값 오르고, 애 키울 돈 부족

→ 매도 후 차익으로 애 키움.

또는

→ 월세 놓고 더 저렴한 곳으로 이사, 월세 차익으로 애 키움.

4. 좋은 집 샀는데, 집값 안 오르거나 떨어지고, 애 키울 돈 부족

→ 월세 놓고 더 저렴한 곳으로 이사, 월세 차익으로 애 키움.

5. 약간 안좋은 집 샀거나, 집 안 샀는데, 현재 사는 지역 집값 폭등

→ 월세 부담 급증, 이사도 어려움.

→ 애 키울 돈 부족, 생활비 압박.



결론은 혹시나 쪼들려 지면 그때 팔거나 이사하면 된다입니다.
집값이 떨어져서 손해보면 어떡하지? -> 이사갈 매물도 싸졌을겁니다.
집값이 어떻게 될지는 예측하기 어렵고, 어쩌면 원하는 시기이 바로 임신이 안될지도 모릅니다.(시기상 아직은 임신이 아니라고 가정)
심리적으로 가장 아프게 다가오는 경우는 안샀는데(싼거샀는데) 폭등하는 케이스입니다.
25/04/13 13:18
수정 아이콘
조언 감사합니다. 이렇게 생각해보니까 괜찮은 것 같기도 하네요.
다른곳으로 월세 가는 건 생각도 안해봤습니다.
모나크모나크
25/04/13 13:24
수정 아이콘
수입 좋으시고 순자산도 충분하신데 엄살같다는 이야기 많이 들으실듯요. 현금흐름 보시고 감당 가능하심 가심 될 것 같습니다. 마음에 드는 곳에 사는 것도 삶에서 굉장히 큰 만족감을 주거든요.
25/04/13 14:04
수정 아이콘
넵 답변 감사합니다.
결혼하고 두 번째 집으로 이사가는거라 고민이 많네요ㅠㅜ
이런 부분 잘 몰랐어서 계속 공부하는 중 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0402 [삭제예정] 마비노기 모바일 발열이 너무 심한데 괜찮은가요? [15] 콩순이4122 25/04/23 4122
180401 [질문] 발게이3 편의설 관련 필수모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윈터6460 25/04/23 6460
180400 [질문] 이 펜던트등, 센서등으로 바꿀 수 있을까요? (사진 있음) [8] Mrs. GREEN APPLE4412 25/04/22 4412
180399 [질문] 절대음감의 장점? [35] Grundia5333 25/04/22 5333
180398 [질문] 일본 (벳부) 여행 일정 한 번만 더 조언 부탁드립니다. [13] 쉬군4614 25/04/22 4614
180397 [질문] 데스크톱 이륙해도 될까요? [17] 추대왕5392 25/04/22 5392
180396 [삭제예정] 회사에서 쓸 모니터용 사생활 보호필름 거치대식으로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윈터4207 25/04/22 4207
180394 [질문] T1 주전 경쟁 결국 어떻게 될 것 같으신가요? [45] 쎌라비4990 25/04/22 4990
180393 [질문] 신용카드 문의 [7] 원딜은안해요3817 25/04/22 3817
180392 [질문] 틴팅(썬팅) 테라룩스라는 브랜드 아시나요? [17] 이너피스4498 25/04/22 4498
180391 [질문] 요즘 대학 휴학냈는데 [22] 4국수4853 25/04/22 4853
180389 [질문] 영문 번역 AI 추천 요청드려요 [10] 하루아빠3724 25/04/21 3724
180388 [질문] SRT 입석 질문 [7] 스디4439 25/04/21 4439
180387 [질문] 갤럭시 폴드 이제 가도 됩니까 [15] 그말싫4108 25/04/21 4108
180386 [질문] 영화 1 작품 판타지 소설 1작품을 찾습니다. [2] 닉언급금지3868 25/04/21 3868
180385 [질문] 와이파이 계층 아래에 와이파이 자동 연결 방법이 있나요? [8] PEPE4200 25/04/21 4200
180384 [질문] 연도를 걸쳐 근무했을 때 최저임금 계산 [6] Equalright3786 25/04/21 3786
180383 [질문] 비수면으로 대장내시경 받아보신분 계신가요? [38] Ha.록4392 25/04/21 4392
180381 [질문] 헬창 동생 선물 질문입니다. (퇴사자) [10] 정 주지 마!4980 25/04/21 4980
180380 [질문] 특정 사상을 게임에 넣은 제작자는 제제가 없나요? [20] 물소6510 25/04/20 6510
180379 [질문] 상조 서비스를 미리 가입해야 좋나요? [17] 싱싱싱싱6946 25/04/20 6946
180377 [질문]  고급 영작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5] 미키맨틀6784 25/04/19 6784
180376 [질문] 2000년대 초반 편의점에서 팔았던 과일소주를 찾습니다. [4] 카서스7180 25/04/19 718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