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1/10/06 00:58:44
Name 루헨진어린이
Subject 한의학의 효능에 대한 질문입니다.
의사 아버지를 둔 친구 얘기를 들어보니

친구 아버지는 한의학의 효술을 부정적으로 보고 계시더군요

효과가 전무한 것은 아니지만 플래시보 효과(?) 대략 이런 정도라구요.




저나 제 주변의 대다수 사람들 생각은 뼈가 부러지면 병원, 삐거나 접질리면 한의원가서 침맞기

이렇게 알고 있는데요.. 한의학의 효과가 과연 현대과학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어느 정도까지

검증이 된 건지 궁금합니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한의학이 그저 플래시보 효과라고는 생각되지 않는군요

친구 아버지는 의사이시니 아무래도 자기 자신의 의학적 소견에 대한 자부심으로 그런 말씀을 하신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한의학에 조예가 깊으신 분이나 한의학 관련 업계에 몸담고 계신분들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1/10/06 01:00
수정 아이콘
저기 부두교 치료법도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죠
맥주귀신
11/10/06 01:02
수정 아이콘
질문 바로 밑에 있는 편강탕 배너 크크
근데 피쟐광고수입은 어디에 사용되나요?
뜬금없긴하지만
다리기
11/10/06 01:18
수정 아이콘
한의학을 인정하지 않는건 편협한 시각입니다.

플라시보 효과로 치유할 수 있는 범위가 어디까지라고 생각하는건지...
무지개빛깔처럼
11/10/06 01:29
수정 아이콘
친구말로는 고위층 의사들은 알아서 한약 먹는데요.
11/10/06 01:30
수정 아이콘
11/10/06 01:33
수정 아이콘
저는 한의학계와 관계가 없으므로, 비전문적인 답변을 하겠습니다.

한의학 효과는 그다지 검증되지 않은 것으로 압니다. '검증'이라는 절차에 대한 방법론부터가 현대과학과는 다르므로 그렇기도 하죠.
좀 심하게 말하면 비과학적이라 해도 무방할 정도이기도 합니다. (다 그렇다는게 아니며, 과학적이 아니라고 꼭 나쁘다는 소리 또한 아님)

효과가 있나 없나 따위는 사실 일반인들 입장에서는 별로 와닿지도 않는 얘기고 알 필요도 없다고 봅니다. 중요한건 어떤 상황에서 뭘 선택해야 하느냐 하는 것이죠.
거의 대부분의 경우 그냥 일반 병원가는게 무조건 좋습니다. 특히 외과는 무조건.

근데 그런게 아니라 좀 애매한것들 있잖아요. 다이어트.. 신경정신과 관련 질환.. 난치병 등등..


한의사들, 자기 지인들이 어디 급히 아프면 바로 일반 병원보냅니다. 한의학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란걸 스스로가 잘 아니까요.
뭐, 넷상에서야 뇌줄중 증상이 있는데 침놓고 뻘짓하다가 더 악화되었다는 얘기가 떠돌고는 하지만 실제로 그런 일은 매우 드뭅니다-_-
하다못해 그냥 맹장염 증상이 나타난다 싶으면 거의 대부분의 한의사는 닥치고 병원으로 보내죠.

한편, 현대의학으로 절대 치료불가능한 난치병으로 시한부로 접어든 지인이 있으면 현대의학에 결코 의존하지 않습니다.
그냥 공진단같은걸 시가로 수천만원어치 만들어서 퍼먹이죠. (가격대비 효율이 매우 낮은것은 사실이나, 지금의 한의학으로는 그만한게 없지요.)

뭔 말이냐. 이런 예에서도 알 수 있듯, 음.. 뭔가 다릅니다.



지금은 둘이 서로 다른것이지만 언젠가는 합쳐질 것 같은데요. 아직 현대과학의 수준이 너무 못미치는 측면도 있죠.
'예를들면 특정한 발음이나 발성을 내는 어떤 훈련방식이 어떤 장기에 미치는 영향' 같은게 밝혀진바는 전혀 없습니다. 전혀 과학적이지 않은 방식으로는 검증이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물론 그걸 두고 '전혀 검증되지 않은 이상한 것' 이라고 해도 틀린말은 아니지만..
11/10/06 01:51
수정 아이콘
저는 개인적으로 신경정신과랑 좀 인연이 깊은데.. (간증 모드 돌입)

제가 진단하는 것과 한의사가 진단하는 것과, 의사가 진단하는게 크게 다르지 않아요. 원인이 뭐냐, 어떤 계기가 있었냐, 어떤 체질이냐, 식습관이 어떠냐, 생활이 어떠냐, 가족병력은 어떠냐, 어떻게 해결해야 하냐, 뭔 음식을 먹는게 좋으냐.. 그래도 안되면 어떻게 해야하냐.. 등등등..
한의원을 가도, 그냥 신경정신과를 가도 대답은 대략 비슷합니다.
구체적 해결방법에 이르러서는, 정작 환자 본인이 훨씬 더 디테일하고 전문적인 방법을 가지고 있죠-_- 물론 그 중에는 과학적 검증따위는 전혀 거친바 없는 것이 매우 많습니다만, 저는 제가 아는 방법들이 그 어떤 것보다도 과학적이라고 확신하며, 아마도 실제로 그럴 것입니다.
11/10/06 05:41
수정 아이콘
뭐랄까 효능이 없다고 말하기는 그렇지만, 검증은 현대 의학과 과학의 시선에서 볼 때 안 된 부분이 많죠.
모로가도 서울만 가도 된다는 말이 있죠. 그 말처럼 오늘날 한의학이 특정 분야들에서 분명한 효능을 발휘하고는 있습니다만은 병의 원인 규명과 치료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들은 현대 과학의 관점에서 볼 때 무지하게 미흡합니다. 길은 어딘지 도저히 모르겠고 어떻게 왔는지는 모르겠는데 서울에 와있는 거랄까요. 플라시보 효과로 설명하는 것도 도저히 설명할 방법이 없으니까 그렇게 말하는 것일 거구요.
농담조로 말해보면 아픈 환자와 그 치료 방법을 음양오행(극화해서 말하자면)으로 설명하는 것은 설명력이 확실히 떨어지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바른 과정이 올바른 답을 유도할 가능성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은 사실이나 그렇다고 올바른 과정이 올바른 답과 완전한 동의어는 아니며, 말끔하지 않은 과정으로 유도된 답도 올바를 가능성이 있긴 하므로 한의학도 나름 의의는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비비안
11/10/06 08:04
수정 아이콘
인류가 지금까지 과학적 방법으로 쌓아올린 수많은 학문들,(물리학,생물학,전자학등등)즉 현대과학을 기반으로 하는 검증이라면 전혀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켈로그김
11/10/06 08:47
수정 아이콘
플라시보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흔히 양약이라고 말하는 의약품의 경우에..
플라시보의 115%정도만 효과가 있어도 효과를 인정합니다.
(이 부분은 살짝 가물하네요.. 105%였을지도 모르고.. 109%인거 같기도 하고.. 여튼, 2배, 3배 정도가 아니라 1.1배 정도라는거..)

플라시보 무시할게 아니죠.
11/10/06 09:35
수정 아이콘
의사들, 특히 젊은 계층에서 한의학을 인정하기는 매우 드물겁니다.

연륜이 있는 의사들은 환자들이 한의사에게도 치료를 같이 받는다는걸 알기 때문에 한의학쪽 공부를 해서 성분을 파악하고 처방이나 치료에 반영을 하기도 하더군요. 개인적으로 의사한테 한의원에 갔다왔다는 말을 했다 하면 '그거 다 스테로이드에요, 한의사한테 왜 가셨어요?' 라고 따져 묻는 의사들보다, 열린 시각을 갖고 양쪽을 공부하신 분들이 더 신뢰가 갑니다. 솔직히 환자입장에선 내 몸이 아픈데 한방이든 양방이든 차도가 보여야 안심이 되고, 그렇게 해야 병이 낫는거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6107 부모님 이혼 그리고 결혼... [4] 레알로얄2152 11/10/06 2152
116106 아이패드 앱 관련 질문드립니다 (클났어여 ㅠㅠ) [4] m_m1569 11/10/06 1569
116105 마왕?나오는 만화책 질문입니다 [9] 개떵이다2154 11/10/06 2154
116104 리버풀 관련 질문입니다 [5] 라디오헤드1695 11/10/06 1695
116103 음.. 굉장히 뜬금없는 질문입니다만... 음식에 관한겁니다. [4] 아라리1739 11/10/06 1739
116102 피지알 서버운영비 및 광고 수입관련 질문입니다 [15] 맥주귀신2305 11/10/06 2305
116101 [물리] 이중슬릿 실험과 관련하여 한 가지 질문사항이 있습니다. 평균APM5141730 11/10/06 1730
116100 한의학의 효능에 대한 질문입니다. [14] 루헨진어린이2161 11/10/06 2161
116099 신발 질문드립니다. [2] QWERTY1825 11/10/06 1825
116098 가요중 유명한 듀엣곡은 뭐가 있을까요? [18] possible3544 11/10/06 3544
116097 PR(Public Relations) 종사자 분 계신가요? [2] ChRh열혈팬1314 11/10/06 1314
116096 pdf문서파일의 좌우부분을 각기 따로 인쇄하는 게 가능할까요...? [1] nexon1555 11/10/06 1555
116095 움직이는 바탕화면은 만들 수 없나요? [2] renoir1833 11/10/06 1833
116094 도난(?)당한 차량의 과속 범칙금 관련 질문입니다. [1] tannenbaum1756 11/10/06 1756
116093 아프리카 별x 에 대해서... [30] 에휴존슨이무슨죄3030 11/10/06 3030
116090 갤스2 휴대폰 사려고 하는데 도움좀 주세요. [2] StormBreak1723 11/10/06 1723
116089 제 여자친구의 심리가 궁금합니다. [20] 탈퇴한 회원2581 11/10/05 2581
116088 한국-호주(시드니)왕복 항공권 어떻게해야 싸게 살수 있을까요? 아스날1808 11/10/05 1808
116087 lol이란 겜이 얼마나 걸리나요? [6] 개떵이다1858 11/10/05 1858
116086 kt와 lgt간에도 번호교환이 가능할까요? [1] LoveYJ1244 11/10/05 1244
116085 마이너스 통장 개설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3] 응흥2018 11/10/05 2018
116082 컴퓨터 느림 현상.. 가상 메모리 부족 질문드립니다. [2] 등짝에칼빵1540 11/10/05 1540
116080 n타워 질문입니다! [1] 야누스1317 11/10/05 131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