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6/03/22 20:48:06
Name 진리탐구자
Subject 유형 이론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책을 읽던 중 의문이 드는 부분이 생겨서 질문합니다. 회의론 - 간단히 어떤 것도 인식할 수없다 - 에 대한 반박 중, 회의론 자체의 모순 - 어떤 것을 인식할 수 없다는 것도 하나의 인식이다 - 을 공격하는 이론에 대해서 읽고 있었습니다. 헌데, 제가 보기에는 흠잡을 데 없는 것 같았습니다만, 책에 달아놓은 해설을 보니 러셀의 '유형 이론'에 의하면 이 것이 합당한 반박이 아닐 수도 있다고 되어 있더군요. 그래서 인터넷 상에서도 검색해보았지만 간단한 사전적인 의미 정도만 나와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PGR 회원분들께 답변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끼다시
06/03/22 23:39
수정 아이콘
유형이론 자체에 대한 것은 아닌데요
그냥 도움이 될까 싶어서요....
작성자는 네이버의 hellioss 라는 분이네요...



<형식 논리학>에서 말하는 <좁은 의미>의 이율 배반은 일정한 논리 체계 속에서 명제들이 그것에 대한 논리적 부정과 함께 나타날 때 성립한다. 이것은 <구문론적 이율 배반>과 <의미론적 이율 배반>으로 구분된다.
<구문론적 이율 배반>은 논리 계산의 테두리 안에서 연역적으로 도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과학적으로 의미 있는 것이 된 간단한 예, 즉 소위 <러셀의 이율 배반>을 통해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러셀은, 자기 자신을 원소로 갖지 않는 집합들을 원소로 하는 하나의 집합에서 출발한다. 자신을 원소로 갖지 않는 집합들은 분명히 존재한다. 예를 들어 자연수의 집합은 자기 자신을 원소로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연수의 집합의 원소들은 수(數)들이지만, 자연수의 집합 그 자체는 수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자연수의 집합은 앞에서 이야기한 집합(자기 자신을 원소로 갖지 않는 집합들을 원소로 하는 하나의 집합) M의 원소가 된다. 이제 집합 M이 자기 자신을 원소로 갖는가를 따져 보자. 만약 M이 자기 자신을 원소로 가진다면, 가정과는 반대가 된다. 그러므로 이것은 전제에 따라 결코 허용될 수 없다. 그러나 만약 M이 자기 자신을 원소로 갖지 않는다면, 그것은 우리의 정의에 따라 집합 M에 속하게 되고 자기 자신을 원소로 포함하게 된다. 러셀의 집합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집합 M의 원소를 X라 할 때, 러셀의 정의는

X∈M≡~(X∈X)

가 된다.

이제 집합 M자체에 대해서 어떻게 되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집합의 변수 X에 집합M을 대입해 보자. 그러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난다.

M∈M≡~(M∈M)

이리하여 우리는, 하나의 명제가 자신의 논리적 부정과 동치임을 말해 주는 논리적 관계를 얻었다. 임의의 원소들로 집합을 형성하는 것이 허용될 수 없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현대 수학의 기초 연구와 형식 논리학은 이와 같은 구문론적 이율 배반을 회피하기 위한 수단, 예를 들자면 소위 유형 이론(類型理論, Theory of types)을 만들어 냈다.

<의미론적 이율 배반>은 다른 성격을 갖는다. 이것은 '진리','보편 타당성' 등과 같은 의미론적 개념과 관련된다. 이미 그리스인들이 알고 있던 것으로서 가장 유명한 의미론적 이율 배반은 소위 거짓말쟁이의 이율 배반이다.(이는 크레타의 이율 배반이라고도 하는데, 그 이유는 고대 크레타 섬 주민들이 대단한 거짓말쟁이들이었다는 말이 있기 때문이다.) 크레타 사람이 "내가 지금 말하고 있는 것은 거짓이다"라고 말하고 더 이상 아무 말도 하지 않을 때, 따라서 크레타 사람이 말한 것이 이 명제 자체를 의미한다는 것이 분명할 때, 거짓말쟁이의 이율 배반이 성립한다. 이와 같은 명제는 그 명제가 실제로 <거짓>이라는 사실을 전제할 때에만 <참>이다. 그러나 이것은 하나의 논리적 모순이다. 이 명제가 <거짓>이라면, 그 때에는 크레타 사람이 진실을 말했다는 것이므로 이 명제는 <참>이 된다.(크레타 사람은 바로 그가 말한 것이 <거짓>이라는 사실을 긍정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론적 이율 배반은 일련의 다른 이율 배반과 마찬가지로 대상 언어와 메타 언어의 구별에 주의함으로써 해소된다. <하나의 명제는 자신의 진리치에 대해 아무것도 진술할 수 없다>. 한 명제의 진리에 대한 진술은, 명제 자체를 정식화하는 대상 언어에 대한 메타 언어에 속한다.이러한 의미에서 크레타 사람의 진술은, 논리학적으로 보면, 명제가 아니다.

지난 100년 동안 수많은 구문론적, 의미론적 이율 배반들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유형의 구분, 대상 언어와 메타 언어의 구분 등과 같은 보조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이와 같은 이율 배반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형식 논리학과 수학의 기본 구조에서 나타나는 해소될 수 없는 모순들을 피할 수 있게 되었다.


요약하면,
유형이론에 의하면 '어느 유형 n의 참과 거짓은 그것보다 하나 높은 유형 n+1에서만 결정난다' (이건 '러셀의 유형이론'이라는 검색어로 검색해서 어느 블로그에서 본 글의 내용입니다)

따라서 하나의 명제는 자신의 진리치에 대해 아무것도 진술할 수 없다
한 명제의 진리에 대한 진술은, 명제 자체를 정식화하는 대상 언어에 대한 메타 언어에 속한다.
정도가 되겠네요....

아, 제가 아는 내용은 아닙니다... 혹시나 더 물어보시면 난감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704 개하테 물렷어요... [10] Jin's ⓚ1951 06/03/23 1951
15703 펭귄이 구버전이라고 하면서 오류메시지가 뜹니다.. [2] 똑바로살아라1511 06/03/23 1511
15702 영어 암기때문에 미치겠습니다..Help me.... [5] 해왕성1621 06/03/23 1621
15701 공대의 정의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9] 이슬라나1775 06/03/23 1775
15699 어떤 옷이 가장 알맞을까요? [4] 잃어버린기억1947 06/03/23 1947
15698 게임등을 하다가 자꾸 윈도우로 튕기네요 [1] 가시다1622 06/03/23 1622
15695 임성춘 선수 나이와 군대... [5] 해왕성3203 06/03/23 3203
15694 스타 cd 구입하려고 하는데 [14] 애정만세1706 06/03/23 1706
15692 이게 그렇게 잘못한거 일까요?(연예) [17] 고지를향하여2097 06/03/23 2097
15690 음..군대 지금부터 가장 빨리가려면 어떻게해야되죠? [2] JJ2119 06/03/23 2119
15689 핸드폰 문자에 관해서 질문이요. [4] Andante2108 06/03/23 2108
15688 영어 급질 2입니다. 마지막이네요 ㅡ.ㅡ [2] goGo!!@heaveN.1663 06/03/23 1663
15687 고치는 방법좀 알려주십시오!!! [3] JeanS1504 06/03/23 1504
15685 학교과제에대한 질문입니다 빠른답변을 부탁드릴께요 [3] 김찬민1522 06/03/22 1522
15684 음악에 대해서 물어봅니다. [3] Signal1449 06/03/22 1449
15683 영어 문장에 대한 급질입니다. -_-; [4] goGo!!@heaveN.1416 06/03/22 1416
15681 전적 관련 질문입니다. [2] 구김이1564 06/03/22 1564
15680 동대문 폭죽골목 위치 아시는 분? 타나토노트2158 06/03/22 2158
15679 한스타처럼 스타 속도 2배로 하는 프로그램... [1] 본호라이즌2148 06/03/22 2148
15678 저...스토브 기간이 언제까지인가요?? ^^ [3] 이뿌니사과1662 06/03/22 1662
15677 이번 프로게이머소양교육에 참가한 중국선수들에 대해서. [1] il manifico1533 06/03/22 1533
15676 이운재선수말입니다 [3] kiss the tears2180 06/03/22 2180
15675 유형 이론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1] 진리탐구자2673 06/03/22 267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