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12/17 03:36
심리학 전공은 아닌데 저 역시 전공은 경영이고 마케팅 박사과정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마케팅의 경우 주로 세 가지 백그라운드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있습니다. 1) 심리학 배경 --> 주로 소비자 심리 또는 행동등을 가르치고 종종 다른 과목들(광고, 서비스마케팅 등등)도 가르칩니다. 2) 통계학 배경 --> 주로 마케팅조사론, 마케팅리서치, 데이타베이스 마케팅등의 과목을 가르칩니다. 3) 경제학 또는 수학 배경 --> 무로 가격론, 유통론 등을 가르칩니다. 1)의 심리학 배경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아직도 마케팅 분야의 주류이긴 하지만 점점 그 비중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일 겁니다. 사실 마케팅 공부를 위해 심리학을 학부에서 부전공으로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님이 혹시 나중에 석사 또는 박사 과정에 진학할 경우에 그때 필요한 부분만 참조하여도 충분합니다. 님의 학문적 호기심이 주된 이유라면 당연히 심리학 공부하셔도 되지만 마케팅이 궁극적인 타겟인 경우에는 심리학 보다는 경제학, 통계학을 부전공으로 하는 것을 권유드리고 싶습니다. 수학도 좋구요. 이러한 과목들이 한 살이라도 어릴때 해둘수록 유리합니다. 심리학 같은 과목은 오히려 조금 나이가 들어 사고의 폭이 넓어졌을 때 하는게 유리합니다. 님의 원질문에 대해서는 저도 자세히는 모릅니다만 심리학이라는 것이 대개 어떤 특정 실험상황을 만들고 그 결과로 가설을 검증하는 방식이 주류인데... 한 3,4 학년용 과목중에 실험조사론(방법론) 또는 심리통계 등등과 같은 과목이 있을 것입니다. 저런 과목들은 마케팅에서 소비자 행동 연구시에도 도움이 많이 될 겁니다.
07/12/17 11:35
우선은 재학 중 이신 학교 심리학과 홈페이지 들어가서 과목 알아보시길 권해드리며...
대략적으로 과목을 말하자면 발달(아동,청년,성인,노인,여성), 지각, 범죄, 생물, 임상, 사회, 통계, 산업, 건강, 심리검사 등등 많은 세부과목이 존재합니다. 난이도는 과목 별로 다르지만 무수히 많은 이론들이 있기 때문에 저처럼 외우는 쪽에 약하시면 난이도는 끝내줍니다. 생물심리학은 고등학교 이과계열이 아니셨다면 상당히 난이도를 선사해 드릴 것이며 수학 쪽에 약하시다면 통계 역시 뜨거운 맛을 보여드릴 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