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2/23 00:24
보수주의에 대응 되는 개념이 진보주의 입니다. 우선 보수주의란 말은 프랑스의 사토브리아의 보수주의자란 잡지책에서 유래되는데 나폴레옹 몰락 이후에 민주주의 이념이 확산되는 것을 막고 왕정복고의 정당성을 옹호하는 뜻으로 사용 되었습니다.
보수라는 말은 새로운 것을 반대하고 원래의 것을 중시하여 규정하려는 것으로서 실험보다는 경험을 중요시하고 변화보다는 안정을 위하려는 태도나 심리상태를 말합니다. 사실 인간이라면 누구나 안정지향적이기 때문에 보수적이라고 할수 있겟죠. 진보주의란 보수주의에 반대 되는 개념이니 안정적이고, 경험적인 것 보다는 실험과 변화를 강조한다고 말할 수 있겠죠. 보수주의와 진보주의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사실 -_- 잘 기억이 나지 않네요.. 그리고 좌파와 우파는 프랑스혁명때 생겨난 말입니다. 의장석을 중심으로 좀 더 개혁적인 주장을 편 사람들이 좌측에 앉아 있었고, 보수적입장인 사람들이 의장 우측편에 앉아 있었기 때문입니다.
10/02/23 00:35
저도 몇년전에 책을 읽었는데 노병철,변종헌, 임상수 교수가 같이 쓴 현대사회와 이데올로기란 책이 쉽고 설명이 잘되어 있습니다.
하나 사셔도 괜찮을 책일듯 합니다. 그리고 정치 철학쪽에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책은 연세대에 김만권 교수가 쓴 "자유주의에 관한 짧은 에세이들"이 괜찬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쓴 "세상을 보는 열입곱개의 시선" 이란 책도 정말 좋은 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