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3/31 18:38:23
Name Duvet
File #1 1396170493_111.jpg (43.5 KB), Download : 28
Subject [기타] [스타1]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명예의 전당 헌액자


1. 테란 : 6명

1) 임요환 BoxeR

스타리그 2회우승 4회준우승
MSL 1회우승
토탈 3회우승 4회준우승


2) 이윤열 NaDa

스타리그 3회우승 1회준우승
MSL 3회우승 3회준우승
토탈 6회우승 4회준우승


3) 최연성 iloveOov

스타리그 2회우승
MSL 3회우승
토탈 5회우승


4) 서지훈 XellOs

스타리그 1회우승
토탈 1회우승


5) 이영호 FlaSh

스타리그 3회우승 1회준우승
MSL 3회우승 1회준우승
토탈 6회우승 2회준우승


6) 정명훈 FanTaSy

스타리그 1회우승 4회준우승
토탈 1회우승 4회준우승



토탈 22회우승 14회준우승






2. 프로토스 : 9명


1) 기욤패트리 Grrrr...

스타리그 1회우승
토탈 1회우승


2) 김동수 GARIMTO

스타리그 2회우승
토탈 2회우승


3) 박정석 Reach

스타리그 1회우승 1회준우승
MSL 2회준우승
토탈 1회우승 3회준우승


4) 강민 Nal_rA

스타리그 1회우승 1회준우승
MSL 1회우승 1회준우승
토탈 2회우승 2회준우승



5) 박용욱 Kingdom

스타리그 1회우승
MSL 1회준우승
토탈 1회우승 1회준우승



6) 김택용 Bisu

MSL 3회우승 1회준우승
토탈 3회우승 1회준우승



7) 송병구 Stork

스타리그 1회우승 3회준우승
MSL 1회준우승
토탈 1회우승 4회준우승



8) 오영종 AnyTime

스타리그 1회우승 1회준우승
토탈 1회우승 1회준우승



9) 허영무 JangBi

스타리그 2회우승
MSL 2회준우승
토탈 2회우승 2회준우승



토탈 14회우승 14회준우승






3. 저그 : 5명


1) 조용호 ChoJJa

스타리그 2회준우승
MSL 1회우승 1회준우승
토탈 1회우승 3회준우승



2) 박태민 GoRush

MSL 1회우승
토탈 1회우승



3) 박성준 July

스타리그 3회우승 2회준우승
토탈 3회우승 2회준우승



4) 이제동 Jaedong

스타리그 3회우승 1회준우승
MSL 2회우승 3회준우승
토탈 5회우승 4회준우승



5) 홍진호 YellOw

스타리그 2회준우승
MSL 3회준우승
토탈 5회준우승



토탈 10회우승 9회준우승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니시키노 마키
14/03/31 18:39
수정 아이콘
자세히 보니 한분만 가나다 순서로 배열되지 않으셨습니다.
14/03/31 18:40
수정 아이콘
홍진호의 위엄인가요 유일무이한 온리 준우승
마르키아르
14/03/31 18:43
수정 아이콘
우승횟수가 엄청나네요..

모든 선수의 우승횟수를 곱하면, 엄청난 숫자가 탄생이..덜덜..
anic4685
14/03/31 20:33
수정 아이콘
0이 탄생하나요...응?!
하하맨
14/03/31 18:56
수정 아이콘
2번째 선수 정보가 잘못됐네요....우승이 없을리가요..
사티레브
14/03/31 18:56
수정 아이콘
박태민선수가 명전에 올랏엇군요
눈물이 주룩주룩
14/03/31 19:06
수정 아이콘
인간적으로 황신은 2번으로 올려드려야...
honnysun
14/03/31 19:33
수정 아이콘
우승도 못해본사람을 ㅠㅜ
살다보니별일이
14/03/31 19:50
수정 아이콘
테란라인에서 이윤열 이영호 최연성 셋이 토스 9명의 우승횟수보다 많군요 -_-...
바스테트
14/03/31 19:54
수정 아이콘
준우승도 1등만큼 하면 모두가 기억하죠 2등이라고 기억하지 말란 법이 없습니다! 헤헤헤
킹이바
14/03/31 20:33
수정 아이콘
박태민, 오영종, 서지훈 선수는 상.대.적.으로 다른 선수들에 비해 조금 밀리는 감이 있네요.
뭐 이 선수들말고 더 들어갈 선수도 별로 생각나진 않지만요.
사상최악
14/03/31 21:33
수정 아이콘
서지훈 선수 빼고 마재윤 선수 넣어야겠네요.
스타본지7년
14/03/31 21:36
수정 아이콘
조작범은 넣는게 아니죠. 선수가 아닌 걍 범죄자. 설마 스타판 박살나게 한 범죄자를 선수인정하시나요?
14/03/31 21:36
수정 아이콘
이건 또 왠 관심병적인 댓글이신지....
14/03/31 21:36
수정 아이콘
조작범이 명예의 전당에 들어가기는 힘들죠.

그리고 마재윤은 우승 준우승 커리어가 다 박탈되었습니다. 0회우승 0회준우승이에요
14/03/31 22:46
수정 아이콘
마재윤이 선수인가요?
사상최악
14/03/31 21:41
수정 아이콘
마재윤 선수를 빼놓은 저그 리스트에 의미가 있을까 싶네요.
반대로 서지훈 선수는 너무 무게감이 떨어지고...
우승 횟수가 기준이라면, 변길섭 선수, 한동욱 선수, 박성균 선수, 박지수 선수도 있는데.

하지만 전당 주인이 굳이 안 넣고 안 빼고 싶다면 상관없습니다. 그냥 제 기준에 그렇다는 거죠.
14/03/31 22:10
수정 아이콘
전적이 0승 0패 우승 0회 준우승 0 회라 오히려 더 떨어져보이네요
14/03/31 22:12
수정 아이콘
공식전 0경기인 선수도 아닌 일개 사람을 왜 집어넣어야 하는지 이해가 안가는군요
패스트캐리어
14/03/31 22:59
수정 아이콘
누가 조작하랬나요? 닉값하고 계신거면 미안합니다.
No52.Bendtner
14/04/01 10:21
수정 아이콘
꾸준~하시네요
브루드워
14/03/31 22:32
수정 아이콘
역시 브루드워 최강의 종족은 프로토스임이 분명하군요.
명예의 전당 20명 중에 테란과 저그를 합해야 간신히 프로토스보다 많은 정도네요.
최강종족인 프로토스 상대로 박성준, 조용호 선수는 1년에 한 번 이길까말까 했다는 이야기도 있었고요...
그대의품에Dive
14/04/01 00:16
수정 아이콘
이렇게 보니 스타크래프트의 주인공은 프로토스가 맞는 것 같네요.
스토리 상으로도 프로토스가 주인공 포지션 아닌가요?
그리드세이버
14/04/01 00:29
수정 아이콘
조금 많은 감이 있네요.
14/04/01 00:36
수정 아이콘
대충 커리어를 보니 우승+준우승 횟수가 4회 이상되는 선수들로만 모아봤습니다.

테란 : 임요환 이윤열 최연성 이영호 정명훈
저그 : 홍진호 조용호 박성준 [빈칸] 이제동
토스 : 박정석 강민 송병구 허영무 김택용

14명 정도면 괜찮을 것 같은데... 프로리그 역대 개인 성적도 감안하면 어떤 변화가 생길 지 ... 갑자기 궁금해지네요
곤줄박이
14/04/01 14:29
수정 아이콘
오히려 이정도로 추리니 더 나아보이네요.
14/04/01 17:07
수정 아이콘
이게 더 적당해보이네요
14/04/01 03:26
수정 아이콘
서프로 팬이지만 좀 쳐지는 건 사실이네요. 꽤 오랜시간 스타리그 승률1위에 팀리그 3대장이 큰가 봅니다.
개인적으로는 강도경 코치가 들어가는게 나아 보이는데.
14/04/01 22:48
수정 아이콘
저도 서지훈선수 광팬이었습니다만 쳐진다는 말에 반박을 못하겠습니다
그만큼 우승횟수로만 평가한다면 저 자리에 낄 여지는 없기야 하겠죠

하지만 GO시절 CJ로 창단되기까지의 의리의 모습으로 인한 팬들에게서의 호감적인 이미지
팀리그에서의 강력하였던 포스, 이윤열-최연성-서지훈 3각관계에서의 커뮤니티의 열띠었던 팬덤간의 논쟁
그만큼 외적인 요소도 없지않아 한 몫 했으리라 생각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6024 [기타] [스타1] 격동의 2007 시즌 : 드래프트 세대 라이즈 [54] 구밀복검16886 15/01/12 16886 19
55914 [스타1] 홍진호가 가진 이름. [35] 저글링앞다리16214 14/12/23 16214 32
55416 [기타] [스타1] 그때 그시절, 기억에 남는 경기들 [11] 구름이가는곳6900 14/10/17 6900 0
55010 [기타] [스타1] 프로토스 연대기 Ⅳ : 제국의 역습 [17] 한니발7940 14/08/30 7940 9
54866 [스타2] 프로리그 올스타전(이벤트전)이 보고 싶습니다 [15] 사신군5851 14/08/09 5851 0
54821 [기타] [스타1] 원배럭 더블의 시작 [23] 구밀복검12901 14/08/03 12901 3
54706 [기타] 임요환의 Ing [7] Love.of.Tears.10098 14/07/19 10098 7
54644 [LOL] 돌아온 캡틴잭. CJ 시대를 종결짓다. [16] Leeka8193 14/07/12 8193 3
53792 [기타] [스타1]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명예의 전당 헌액자 [29] Duvet10238 14/03/31 10238 0
53543 [기타] [스타1] PGR은 스타크래프트 커뮤니티 입니다. [24] 김신욱9542 14/02/28 9542 4
53159 [기타] [스타1] 테테전 보기 좋은 날! [43] 한니발13995 14/01/05 13995 22
53149 [LOL] 매라와 엠비션, 사활을 걸다 [35] becker12738 14/01/04 12738 39
51912 [스타2] 어느 라이트 유저가 본 스타2와 짧은 결승전 후기 [13] 세라핌™9050 13/08/10 9050 2
51647 [기타] <더 지니어스 : 게임의 법칙>으로 돌아보는 ‘폭풍’ 홍진호 [59] 한니발23743 13/07/11 23743 114
51285 [기타] [스타1] 비전 키고 게임해서 이영호, 잡을 수 있을까요? [120] 이슬먹고살죠13497 13/05/29 13497 0
50481 [LOL] CJ의 팀 개편과 프로 스포츠. [89] par333k9784 13/02/05 9784 1
49929 e스포츠 자선 바자회를 다녀왔습니다 [23] 노틸러스6804 12/12/30 6804 0
49817 DAUM <5> 上 [5] 한니발11999 12/12/25 11999 7
49247 그들은 성공적이었나(박용욱) [17] 영웅과몽상가6899 12/11/09 6899 0
49145 엄재경 해설님이 강의를 오셨습니다. [51] DEICIDE14622 12/10/31 14622 15
48919 DAUM <3> 下 [8] 한니발10848 12/10/13 10848 11
48918 DAUM <3> 上 [3] 한니발10622 12/10/13 10622 17
48211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명예의 전당 선수 투표가 열렸습니다. [93] VKRKO 8821 12/08/15 882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