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5/11/03 23:37:06
Name 하늘의이름
Subject [LOL] 쵸비 응원글
안녕하세요.
4강이 끝나고 시간이 조금 흘렀네요. 결승이 끝나면 다들 또 한동안 그 여운을 곱씹게 될 것 같아, 지금 이 시점에 짧은 뻘글을 남깁니다.


저는 현재 대학에서 연구하고 학생들을 가르치는 평범한 교수입니다. PGR은 제가 모르는 것이 생길때마다 질문글을 열심히 검색하고 가끔 질문도 드리면서 감사히 이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LoL 이라는 게임을 처음 알게 된 건 약 10년 전쯤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때만 해도 저는 스타크래프트를 정말 좋아했기에, LoL이 스타를 몰아내고 인기를 얻는 것이 썩 반갑지 않았던 기억이 납니다. 아마 그때가 2015년 롤드컵 시즌이었던 것 같아요. 스타때부터 좋아하던 김동준 해설이 “리븐이랑 피오라가 붙는다, 꼭 친구 불러서 봐야 한다”고 하던 멘트를 우연히 들으면서 처음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 스맵과 마린의 대결이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확실하진 않습니다.


학창시절부터 스타크래프트를 즐겨했고, 이영호 선수의 팬이었습니다. 그는 시대의 지배자였죠. 이제동, 김택용 같은 강력한 경쟁자들이 있었지만, 결국 승리의 기억은 늘 이영호에게 돌아갔습니다. 그 시절 친구들과 신양에서 같이 게임보고, 기숙사 돌아가면서 경기 이야기하는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아무튼, 이영호가 나오는 게임 기다리고, 프로리그를 항상 기다리던 것도 기억나네요.


돌아와서, 우연히 아프리카 TV에서 락스타이거즈와 SKT T1의 경기를 보면서 LoL에 빠져들게 되었습니다. 이상하게도 저는 SKT보다 2인자처럼 보이던 락스타이거즈에게 더 끌렸습니다. 프레이, 스맵을 특히 좋아했죠. 하지만 그 시절엔 LoL을 열정적으로 보진 않았습니다. 락스가 될 듯하면서도 늘 한 끗 차이로 미끄러졌고, 그래서 결승전이나 중요한 경기만 챙겨보곤 했습니다. 특히 2016년 롤드컵 4강은 아직도 팬으로서 쓰라린 기억으로 남아 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리핀 이라는 팀이 나타났습니다. 갑자기 등장해 모든 팀을 압도하던 그 팀은 정말 신기했죠. 락스도 해체되고 삼성에도 정이 안 가던 시절이라, 자연스레 그리핀을 응원하게 됐습니다. 팀의 중심은 타잔이었지만, 제 눈에는 쵸비 선수의 플레이가 강렬하게 남았습니다. 완벽에 가까운, 잘 죽지도 않는, 거의 완성형 같은 느낌이었죠. 저는 그때부터 쵸비가 ‘스타의 이영호처럼 될 선수’라고 생각했습니다. 정규 시즌에서 그 기대에 부응했지만, 롤드컵 진출에는 실패했죠. 그래도 신생팀이 보여줄 수 있는 모든 걸 보여줬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참 신기하게도 그리핀은 유독 2등의 서사가 많았습니다. 결승에서 힘을 내지 못하는 쵸비의 모습도 보였고, 늘 SKT1, 페이커에게 좌절하곤 했습니다. 제가 이영호에게서 봤던, 기억했던 서사와는 조금 달랐습니다. 그래도 한 번 마음이 간 팬심은 쉽게 식지 않더군요. 그 무렵 저는 박사과정을 마치고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습니다. 시차 때문에 경기를 챙겨보긴 어려웠지만, 정규 시즌의 쵸비는 늘 기대 이상이었습니다. 다만 플레이오프에서는 늘 아쉬움이 남았죠. 그렇게 DRX, 한화, 그리고 젠지에 이르러 드디어 첫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이후 4연속 우승이라는 놀라운 기록도 세웠죠. 물론 그 과정에서 팀 구성은 조금씩 바뀌었지만, 그래도 젠지는 분명 쵸비가 중심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분들도 그렇겠지만, 응원하는 팀이 잘하면 게임 시청하는 것이 정말 재미있습니다.
그렇지, 역시 이영호의 서사를 쵸비가 가져가는구나..! 그렇게 생각이 들었는데..
쉽지 않았습니다. 지금까지 쵸비는 롤드컵 무대에서 정규 시즌의 모습만큼을 보여주진 못했습니다. 이제는 완연한 베테랑이 된 그가 여전히 그 무대를 극복하지 못하는 게 안타깝습니다. MSI 2연패, LCK 4연속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세우고도, 롤드컵은 여전히 젠지와 쵸비의 무대가 아니네요.


이번 KT전 4강이 끝나고, 예년과 마찬?가지로 접속하던 LOL 관련 커뮤니티를 닫고, 현생을 살다가 문득 ‘쵸비는 지금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싶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응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부디 쵸비 선수가 본인의 경기 스타일처럼 덤덤하게 받아들이길 바랍니다. “이 또한 지나가리라.” 플레이오프 때 힘들었던 시절에도, 수차례 준우승에도 좌절하지 않았던 것처럼요.
그리고 일반 팬으로서의 솔직한 마음은 이렇습니다. 지금처럼만 해도 괜찮습니다. 스스로 자기위안 하는 것이긴 합니다만, 1년 중 10개월은 승자의 기분으로, 2개월은 패자의 기분으로 사는 셈이잖아요. 이게 얼마나 좋아요. 결국 나중 훗날에 선수 평가가 어떻고, 역대 순위가 어떻고, 하는 것은 솔직히 저 같은 라이트 팬들은 지금 당장 관심이 없습니다. 롤드컵이 모든 선수의 꿈의 무대이자 목표인 건 맞지만, 그것만이 전부는 아닙니다. 쵸비 선수가 너무 그 무게에 짓눌리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LCK와 MSI에서 써내려가는 본인만의 역사도 충분히 값지니까요.


결국 모든 건 잘 될 거라 믿습니다. 저는 연구실 학생들에게 늘 말합니다. “연구란 열에 아홉, 혹은 그 이상 실패지만, 일희일비하지 않고 인내하고 노력하면 결국엔 좋은 결과를 얻는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선순환을 계속 만들 수 있다”고요. 세상사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지금의 자리에서 묵묵히 도전하면, 언젠가 쵸비 선수도 진심으로 만족할 결과를 얻을 거라 믿습니다. LCK에서 그랬던 것처럼 언젠가는 물꼬를 트고, 선순환을 만들 수 있을거에요. 좌절을 했겠지만, 얼른 털어버리길 바랍니다. 다만 LoL이라는 종목의 특성상, 같은 팀으로 오래 함께하기 어렵다는 게 아쉬울 뿐입니다. 지금의 젠지는 정말 케미가 잘 맞고, 모두가 쵸비만큼 실력이 뛰어난 선수들이기에 내년에도 함께하길 바라는데,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잡담이 길었네요. 제 30대 초반부터 후반까지, 제 여가의 많은 부분을 쵸비 선수가 속한 팀을 응원하며 보냈습니다. 이제는 부교수가 되었고, 보살펴야할 원생들과 집에 아이들도 있지만, 여전히 일과를 마치면 밤에 LoL을 열심히 봅니다. 이렇게 나이를 먹어가네요. ^^ 페이커라는 훌륭한 롤모델도 있으니, 쵸비 선수가 본인의 이야기를 끝까지 써 내려가길 바랍니다. 저는 결국, 쵸비를 스타의 이영호와 닮은 서사로 기억하게 될 것 같습니다. 쵸비 선수, 그렇게 만들어주세요.
비록 인터넷 상이지만 언제나 응원합니다. 쵸비 화이팅.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1/03 23:41
수정 아이콘
추천하려고 로그인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저도 쵸비 우승하는거 한번 보고싶은데 쉽지 않네요 허헛
대상혁 말대로 언젠간 우승할 선수라고 믿습니다!
25/11/03 23:45
수정 아이콘
쵸비 화이팅. 선수가 포기하지 않는 한 팬들도 포기하지 않습니다.
잘 추스르고 힘냈으면 좋겠어요
25/11/03 23:53
수정 아이콘
쵸비 선수 응원합니다. 사실 KT가 이번 롤드컵에서 크랙팀이라 그런거지, 젠지가 내년에도 우승가능성이 큰건 모두들 동의하는 사항이라고 생각합니다.
25/11/03 23:54
수정 아이콘
내년이 되면 또 여지없는, 모두가 가장 두려워 하는 선수가 되어 있을 겁니다. 그리고 언젠가는 뻗은 그 손이 가닿을 날이 오겠지요.
25/11/04 00:21
수정 아이콘
언젠가 롤드컵 우승할 선수입니다. 화이팅!
반니스텔루이
25/11/04 00:54
수정 아이콘
t1 응원하는 입장에서 제일 무서운게 기인이랑 쵸비였죠. 내년에도 여전히 무서운 선수로 자리잡을겁니다 크크
실제상황입니다
25/11/04 01:31
수정 아이콘
이러니 저러니 해도 쵸비가 최소 2번은 월즈 우승할 것 같습니다
스페셜위크
25/11/04 02:07
수정 아이콘
22년 아니면 23년 정도부터 일까요,
한 3~4년 전체동안 쵸비는 평균점 가장 높은 롤선수였다고 생각합니다.
계속된 롤드컵에서의 부진이 트라우마가 되질 않길 바라고 꼭 롤드컵 드는 모습 보고 싶습니다
다시마두장
25/11/04 03:07
수정 아이콘
쵸비같은 선수의 무서움은 남들은 한번 두드릴까 말까 한 기회의 문을 열릴 때 까지 몇 번이고 두드릴 수 있는 능력에 있죠.
클템 말마따나 다음 시즌 시작이 되면 또 귀신같이 잘할거고, 지금의 좌절은 언젠가의 우승을 위한 서사를 쌓는 과정이라 생각합니다.
하늘의이름
25/11/04 07:21
수정 아이콘
답글 달아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담담하게 목표를 바라보면서도 포기하지 않는 마음, 그게 참 어렵더라구요. 쵸비 선수가 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앞으로도 계속 해나가길 바랍니다.
감자크로켓
25/11/04 07:21
수정 아이콘
쵸비 파이팅! 반드시 쵸비는 월즈 트로피를 들어올릴 겁니다.
마스터플랜
25/11/04 07:41
수정 아이콘
페이커조차 쵸비가 롤드컵 우승을 할거라 믿어의심치않는다라고까지 했는데 롤알못들이나 쵸비 조롱하는거죠. 
shooooting
25/11/04 09:04
수정 아이콘
쵸비 화이팅!!!
25/11/04 09:08
수정 아이콘
여전히 현시점 전반적인 세계 최고의 폼은 쵸비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실력이 있으니 하다보면 우승할 가능성도 높다고 생각하고요. 혹여나 시간이 지나서 폼이 떨어져 더이상 최고의 폼이 아니게 된다하더라도, 지금 워낙 폼이 좋기 때문에 충분이 1인분의 역할을 하며 팀원의 도움으로 우승을 달성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요.

겨우 3년여 전까지 무관의 제왕으로 불렸었지만 4번 연속으로 먹고 5회 우승에, 국제전을 못한다 소릴 들었지만 MSI를 두 번 먹었잖아요. 가다보면 언젠가는 될 겁니다. 이창호도 국제전에 약하다는 소릴 들었었어요. 쵸비선수 응원합니다.
럭셔리컨트롤
25/11/04 09:23
수정 아이콘
쵸비선수 분명히 월즈 우승하실겁니다.
힘내세요.
25/11/04 09:57
수정 아이콘
4강 입장 전에도 보니 부담감에 잠을 못잔건지 긴장을 한건지 눈을 엄청 깜빡이더라구요.
너무 부담감에 짓눌리지 않고 게임하면 더 좋은 결과 얻을 수 있을 겁니다.
한화거너스
25/11/04 11:04
수정 아이콘
이런 분이 계셨었군요... 저랑 현재 직업부터, 겜돌이였던 학창시절 박정석, 홍진호 응원하다 이영호의 KT 덕에 성불했던 추억까지 너무도 비슷한 점이 많아서 반갑습니다.:) 저는 15년쯤 부터 데프트 따라다니다가 20 DRX 부터 쵸비를 함께 응원하고 있는 입장인데, 작년까지는 글쓴분과 같은 심정이었지만 올해는 쉽지 않네요. 현생도 있고 너무 바쁘다보니 점점 더 응원하기 지쳐가네요. 이러나저러나 결국 내년 어느 순간부터는 다시 쵸비의 소식을 찾아보고 있을 것 같긴 합니다만, 지금 당장은 저도 놓아주려고 합니다. 겨우 일개 팬이지만, 쵸비 선수가 이 글을 볼 수 있다면 꼭 추스려서 화이팅 하기 바랍니다.
VinHaDaddy
25/11/04 11:08
수정 아이콘
쵸비가 이 글 보고 힘냈으면 좋겠습니다.
이른취침
25/11/04 11:18
수정 아이콘
쵸비를 진심으로 조롱하는 롤팬은 거의 없을 겁니다.
다들 실력은 인정하죠.
현시점 거의 최강의 선수고 언젠나 우승을 노릴 수 있는 선수라는 것을요.

하지만 쵸비와 그의 팀을 이용해서 다른 선수와 팀이 이룬 업적을 폄훼하려는 어그로들이 문제입니다.
다른 선수와 팀의 업적을 무시하니 그 반작용에 세게 오는 것이지요.
switchgear
+ 25/11/04 16:13
수정 아이콘
이런글에도 굳이 이런 댓글을 다는 꿋꿋함이 존경스럽네요. 젠지팬 그만 둔다는 글에도 굳이 업보 얘기를 댓글에 다시더만 이분글에는 그 반작용이 나올 구석이 어디있어서 이런 댓글을 쓰는지요?
님 댓글을 보면 그냥 예의상 전제로 입에 발린 말한다음이 결국은 그냥 하고 싶은 말로 마무리되네요. 크크
이른취침
+ 25/11/04 16:47
수정 아이콘
쵸비가 조롱당할 건 없다는 응원입니다.
나쁜 건 어그로지 선수가 아니니까요.

안좋게 생각하지 말란 좋은 취지입니다만
님이 그렇게 꼬와 보신다면 어쩔 수 없죠
이른취침
+ 25/11/04 17:11
수정 아이콘
정확하게는
https://www.pgr21.com/free2/81870#3932477
이런 댓글들 보면서 쓴 댓글입니다만?
switchgear
+ 25/11/04 17:14
수정 아이콘
패배에 분노해서 팬 그만하겠다는 글에 굳이 이런 댓글을 달고도 뭐가 문제인지 모르시는 님이니 당당하겠죠.
https://www.pgr21.com/free2/81829#3930683
이른취침
+ 25/11/04 17: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건 글쓴이가 아닌 댓글 쓴 사람한테 쓴 대댓글인데요?
님의 주장이 맞다해도 그런 논점 끌고 온 댓글부터 문제죠.

님도 쵸비선수 응원글에 굳이 이렇게 시비를 거시잖아요?

어그로들을 비난한거지 선수를 조롱한 것도 아닌데 제 잘못이 뭔지 진짜 모르겠네요.
쵸비선수 진심으로 응원팀 선수가 됐으면 할 정도로 고평가하기도 하구요.
님이 너무 꼬여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님이 제 언행을 기억해서 이렇게 지적하듯이
저도 여기서 그간 많은 걸 봐왔으니까요.




쇼메한테 했던 표현은 잊혀지지도 않네요.
switchgear
+ 25/11/04 18:0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런가요? 저 같으면 제 댓글에 이런 댓글이 달리면 첫부분만 남기고 쓸데없는 뒷부분을 삭제합니다. 왜냐면 이런 경우에는 글쓴분에 대한 공감 댓글을 쓴거지 거기에 내가 하고 싶은말을 꼭 쓰는건 실례라고 생각하는 사람이거든요.
그 전글같은 경우도 한창 화가 나서 글 쓴분이 그 댓글을 읽을때 심정이 추측되서 썼다가도 지울거고요.
제 경우는 그런데 님은 그게 아니시라니 저하고 사고 방식의 차이가 있는거고 제가 민감한것도 맞나봅니다.
이른취침
+ 25/11/04 18: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네. 참고하겠습니다.
저도 생각보다 억눌린 게 많았나봐요.
그리고 다른 쵸비팬들도 그렇게 조심해줬으면 좋겠네요.
쵸비가 이길 때가 더 많으니까요.
https://www.pgr21.com/free2/81694#3924586
이런 댓글도 있는데 다들 그냥 넘겨왔습니다.. 흐흐흐
switchgear
+ 25/11/04 18:44
수정 아이콘
제 의도를 이해해주신거 같아서 감사드리고 제 멋대로 곡해해서 단 댓글들에 대해서는 사과드립니다. 사실 이렇게 댓글들 나누다 보니 저도 홧김에 쵸비선수를 비꼬는 댓글을 쓴게 기억나서 이런 말씀 드릴 자격도 없다는게 떠 오르네요.
그깟 게임때문에 나이값도 못하고 너무 날카로웠던가 같습니다.
앞으로 자중햐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멋대로 제단해서 댓글을 단것에 대해 이른취침님께 사과드리고 댓글창 어지럽힌거에 대해 본문을 쓰신 하늘의 이름님께 사과 드립니다.
이른취침
+ 25/11/04 18:47
수정 아이콘
아닙니다. 
제가 문단순서만 바꿨어도 의도가 더 제대로 드러났을텐데
너무 의식의 흐름이었습니다.
죄송합니다
하늘의이름
+ 25/11/04 18:33
수정 아이콘
이른취침님// 저도 쵸비선수가 한창 잘 나가던 msi나 시즌 중에 다른 팀의 선수들에게 조롱이 가는 걸 본적이 있습니다. 애초에 게임게시판에 글을 거의 안쓰기도 했던 터라, 제가 조롱을 하지는 않았습다만, 그렇다고 적극적으로 말리거나 하지도 않았습니다.

그런 것들을 목도했던 관점에서 님이 그렇게 생각하시는 것도, 그런쪽으로 마음이 가는 것도 십분 이해가 되고, 존중합니다.
적절한 수준에서의 조롱?은 또 스포츠팬들이 이 판을 즐기는 매력중 하나이지 않나 싶기도 하구요 ^^ 아무튼 모두 너무 기분 상하지 않고, 즐겁게 즐기면 좋겠네요.
switchgear
+ 25/11/04 18:51
수정 아이콘
위의 마무리 댓글에서 말씀드렸듯이 댓글창 어지럽힌거에 다시 한번 사과드립니다.
소이밀크러버
25/11/04 12:09
수정 아이콘
데프트 선수도 오래 걸렸습니다

비디디 선수도 아직 더 봐야하지만 결승까지 참 오래도 걸렸고

실망이 컸지만 그래도 아직 끝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실망한 날보다 기쁨의 날이 훨씬 더 많았고요.

쵸비 선수가 꼭 원하는 바를 쟁취했으면 좋겠습니다.
25/11/04 12:10
수정 아이콘
저는 쵸비가 끝까지 우승을 하지 못할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이정도로 꾸준하게 수년간 최고점을 유지하는 선수는 없었으니까
다만 걱정되는 건 그때까지 이판이 지금같이 유지가 될 지가 더 걱정이 되죠. 크기라던가 화제성이라던가...
그래서 한 해라도 빠르게 우승을 해야 할 거라고 봤는데 일단 올해는 끝났고, 내년에도 특별한 일 없으면 우승 후보 1순위일테니, 지금 실력만 잘 유지하면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봅니다.
25/11/04 13:49
수정 아이콘
묵묵히 나아가는 자의 노력을 리스펙합니다
벌점받는사람바보
25/11/04 14:04
수정 아이콘
쵸비 뿐만 아니라 젠지의 선수들
환화 선수들과 피넛의 선수 이후의 생활도
롤드컵의 무대에 진출하지 못한 팀들도 응원 하고 있습니다.
다들 꼭 포기하지 말고 힘냈으면 좋겠네요.
25/11/04 15:08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입니다. 추천
Butternut Squash
+ 25/11/04 16:11
수정 아이콘
언제나 무서운 선수, 내년에도 무서울 선수
잘 할겁니다. 저야 제 응원팀이 있으니 그의 우승까지 응원하진 못하겠지만, 분명 잘 할겁니다
switchgear
+ 25/11/04 16:40
수정 아이콘
당일 욱 했다가 4번째 당하니 전과는 다르기 그려러니 하다가 이어지는 티베깅 글, 댓글에 또 어질어질해지는 날들이 이어지네요.
저도 나이가 몇인데 왜 이러나 싶습니다 크크
님같이 한결같이 응원하는 팬들이 있는한 쵸비선수도 힘을 얻어서 꼭 원하는 결과를 얻을거라 생각합니다. 그럴 능력이 되는 선수니까요.
하늘의이름
+ 25/11/04 18:36
수정 아이콘
하하, 그러게요.
저도 가을에서 겨울로 지나는 때에는 몇년째 현생에 집중할 수 있는? 그런 장점이 있었네요. 좋은건지 나쁜건지.. ^^;
무엇보다 젠지선수들은 저처럼 다른 것에 관심을 쏟고 잊어버리기는 힘들텐데.. 아무쪼록 팀에서 잘 케어해주길 바랄 뿐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1877 [LOL] 월즈 이벤트 참여는 다들 하셨나요? [9] 능숙한문제해결사1518 25/11/04 1518 1
81876 [LOL] 피넛이 롤드컵에 남긴 불멸의 징크스 [20] Arcturus2940 25/11/04 2940 3
81875 [LOL] 투닥거리더라도 좀 더 유쾌하게! [28] Janzisuka6324 25/11/04 6324 1
81874 [LOL] 월즈 플레이 하이라이트 10선 [10] 김삼관4299 25/11/04 4299 1
81873 [LOL] KT가 코인토스 승리, 1세트 블루진영 선택 [51] 반니스텔루이9676 25/11/04 9676 5
81872 [LOL] G2의 충격적인 스크림 데이터 [32] 라면8637 25/11/04 8637 0
81870 [LOL] 쵸비 응원글 [40] 하늘의이름6450 25/11/03 6450 51
81869 [LOL] T1-AL 전 문도픽의 비밀 [121] FIJI10675 25/11/03 10675 10
81868 2025 LOL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 - 우승팀 예측 이벤트 [247] 及時雨2990 25/11/03 2990 6
81866 [LOL] 신화와 동화, 이야기의 결말을 향해. [11] aDayInTheLife2330 25/11/03 2330 2
81865 [LOL] 그 팀은 언제나 노력했으나 나는 그렇지 못했던 이야기 [39] Janzisuka5644 25/11/03 5644 32
81864 [LOL] T1 VS KT 결승전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229] 미카10318 25/11/03 10318 5
81863 [LOL] 월즈 4강 평점 (T1 vs TES) [21] Dango5874 25/11/03 5874 1
81862 [LOL] ‘피터’ 정윤수 “보성이 형이 드는 우주 속 빛나는 별이 되고 싶다” [48] Leeka7951 25/11/03 7951 14
81861 [LOL] 작년에 재계약 할때 비디디의 인터뷰 [45] Leeka7163 25/11/03 7163 33
81860 [LOL] 여섯 번째 우승은 도란, 그리고 구마유시를 위한 우승입니다 [49] 개념은?7269 25/11/02 7269 20
81859 [LOL] 양팀 우승시 스킨 뭘 만들까요? [31] 본좌4580 25/11/02 4580 0
81858 [LOL] 페이커를 월즈 Bo5에서 3회 이상 만난 선수들 [42] ELESIS5978 25/11/02 5978 6
81857 [LOL] 근데 천마 진짜 얼척없네요 [43] 아몬8838 25/11/02 8838 13
81856 [LOL] 월즈 결승 초기 배당 [46] 반니스텔루이6397 25/11/02 6397 0
81855 [LOL] 티원의 일년 농사 간단 요약 [24] 잘생김용현7061 25/11/02 7061 0
81854 [LOL] 13승 0패 100% [31] Leeka8715 25/11/02 8715 5
81853 [LOL] 새 역사를 쓸 팀은 누구일까요 [98] TAEYEON6776 25/11/02 6776 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