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5/22 11:30:35
Name kurt
Subject [정치] 안철수는 채상병 재의결 투표를 할 것인가?

與 "채상병 특검법 부결 단일대오"…안철수·김웅은 "찬성"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698487?sid=100

지난 본회의 의결때 김웅 의원은 찬성 투표를 하고
찬성표를 던지겠다고 한 안철수 의원은 다른 여당 의원들과 함께 퇴장을 했었습니다.

어찌보면 다시 투표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온 것인데, 아직까지 21대 국회인 관계로
17표 이상의 이탈표가 나와야 합니다.

5월 29일에 21대 국회가 종료되고 하루 전에 28일에 마지막 본회의가 열릴 예정이라고 합니다.

거부권 10번으로 탄핵 마일리지가 다 찼다고 합니다.
대통령은 5년이지만 '국민의 힘'은 계속되어야 할텐데 말이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패트와매트
24/05/22 11:33
수정 아이콘
뭐 하던대로 계속 간보시겠죠
24/05/22 11:33
수정 아이콘
못할겁니다.
이번에 여당이 낸 아이디어가
[참석 하되 투표하러 가지않는다] 입니다.
그러니까 [당론 전원 기권] 이죠.

저번에 투표할때 같이 퇴장했죠?
이번에도 같을겁니다.
박한울
24/05/22 12:17
수정 아이콘
재의결에선 국힘 전원 기권이면 통과입니다!
잘못아신게 아닌지!
24/05/22 12:21
수정 아이콘
재석 상태에서 기권이면
2/3 찬성이 안나왔으므로 가결 안됩니다.
투표 전 퇴장이 아니고
앉아있되 기표소에 안들어가는겁니다
박한울
24/05/22 12:22
수정 아이콘
참석후 기권!
제가 잘못 앍었습니다!
박한울
24/05/22 12:24
수정 아이콘
나름 머리 잘썼네요!
참석후 전원기권이라!

무기명투표란걸 감안하면 더더욱
24/05/22 12:26
수정 아이콘
정치의 퇴행이죠.
참 슬픈 일입니다.
앤서니 디노조
24/05/22 12:45
수정 아이콘
재석의 기준이 투표함에 넣으면서 누르는 부저? 같은걸로 되는지라 이 전략 안 통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애초에 이게 가능하면 민주당이 체포동의안건으로 머리 썩힐 일이 없었겠죠
jjohny=쿠마
24/05/22 13:47
수정 아이콘
대한민국헌법 제53조 ③대통령은 법률안의 일부에 대하여 또는 법률안을 수정하여 재의를 요구할 수 없다.
④재의의 요구가 있을 때에는 국회는 재의에 붙이고, [재적의원 과반수의 출석][출석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전과 같은 의결을 하면 그 법률안은 법률로서 확정된다.

재의요구권/재의결 표결과 관련해서, 헌법에는 정확히 상기와 같이 나와 있습니다.

여기서 [출석][본회의장 출석]으로 해석한다면, 원댓글의 방식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출석][기표소 입장]으로 해석한다면 원댓글의 방식은 불가능할테고요.

정확한 해석 기준을 잘 모르겠네요.
앤서니 디노조
24/05/22 14:03
수정 아이콘
https://naver.me/5smOElct

작년 체포동의안 당시에 관련하여 민형배 의원이 유사한 주장을 한 데에 대한 팩트체크성 기사인데

국회 관계자는 “이러한 무기명 투표의 경우 투표행위를 마쳐야 재석으로 카운트된다” 라는 유권해석이 있네요. 즉 본회의장 들어가는 순간 유효하게 인정받을 수 있는건 찬성/반대, 본인이 실수해서 나오는 무효표, 기권표 4가지의 경우 외엔 없는 듯 합니다
24/05/22 14:07
수정 아이콘
아 그럼 다행이네요.

저도 방송에서 들은 내용으로 쓴건데
투표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면 기권전략은 의미가 없네요
DownTeamisDown
24/05/22 14:18
수정 아이콘
만약에 이건 다른방법인데 무기명 비밀투표에서 일부러 표를 오픈해서 무효화 시키는 전략으로 가면 어떻게 되려나요
닉네임을바꾸다
24/05/22 14:00
수정 아이콘
표결함쓸땐 명패내는건가 그럴겁니다...나중에 짝 맞춰서 확인하고...
사람되고싶다
24/05/22 13:39
수정 아이콘
아니 이게 말이 되나요? 비밀투표 원칙 대놓고 엿멕이는 건데...
jjohny=쿠마
24/05/22 13:43
수정 아이콘
저도 이 부분이 가능한지 잘 모르겠어서 좀 의아했는데, 의아해하시는 분들이 더 계신 것 같네요.
출처를 알려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4/05/22 13:52
수정 아이콘
오늘 장르만 여의도 방송에서
여당이 검토하고 있다고 장성철 정치평론가가 얘기하더군요.
아이디어라고는 하는데,
만약 기표소 들어가지 않아도 출석이 인정된다면
여당 입장에서 저는 100% 이 전략으로 간다고 생각합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05/22 11:35
수정 아이콘
찬성표 던진다는 사람이 한명 더 나왔던가하던데...
24/05/22 13:26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565997?sid=165
유의동 의원이 찬성한다고 했습니다. 이번에 낙선했고, 유승민계 의원이죠.
raindraw
24/05/22 11:35
수정 아이콘
안철수가 찬성 투표를 던진다는게 상상이 안가네요.
이제는 제 머리 속에서 그냥 간보다 아무 것도 안하는 캐릭터로 굳어져 버렸습니다.
덴드로븀
24/05/22 11:37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WQcgDgDaXqc
[단독영상] 안철수 전 대표는 왜 도망쳤을까?? - 2018. 8. 22.

벌써 6년전이네요.
타마노코시
24/05/22 11:37
수정 아이콘
간은 침묵의 장기라더만...
국힙원탑뉴진스
24/05/22 14:40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호랑이기운
24/05/22 11:41
수정 아이콘
소심투표 예상합니다
사업드래군
24/05/22 11:43
수정 아이콘
모든 결정에서 항상 최악의 선택만 했기 때문에 절대 못할 겁니다.
24/05/22 11:45
수정 아이콘
그럼 역배충인 제가 이번엔 투표한다에 걸어보는 걸로 크크
24/05/22 11:47
수정 아이콘
그럴 깡(?)이 있었으면 지금 쯤 더 높은 곳에 있었겠죠.
24/05/22 11:48
수정 아이콘
저도 안철수는 깡이 부족해서 무리지 않을까 싶습니다.
본인이 주도해서 나설때 안철수도 생각보다 물러서는 경우가 좀 있어서...
24/05/22 11:49
수정 아이콘
총선 전에는 공천이 걸렸다 치더라도 총선도 끝났는데 이번에도 못 나서면 통산 46호 철수 쯤 될듯..
24/05/22 11:53
수정 아이콘
표결직전 [철수] 할 듯요.
쪼아저씨
24/05/22 12:38
수정 아이콘
[안]철수 했으면 좋겠네요..
24/05/22 12:10
수정 아이콘
찬성하겠죠.
이것도 삐면 사람취급도 못받을텐데
강동원
24/05/22 12:38
수정 아이콘
에이 이건 하겠지...

라고 할 때 안하는 것이 안철수!
닉언급금지
24/05/22 13:26
수정 아이콘
바닥에는 뚫린 구멍이라도 있지 싶은 것인지라...
위원장
24/05/22 13:27
수정 아이콘
무기명인데 할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만
확인할 길은 없겠네요
jjohny=쿠마
24/05/22 13:30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www.pgr21.com/freedom/101534#4928518

이 댓글에 따르면, 국민의힘에서는 '전원 출석하되 기표소에 들어가지 않는다'는 방식을 고려중이라는 것 같습니다.
(정보의 출처는 모르겠지만)

이렇게 하면 무기명 방식이어도 이탈표 단속이 수월해지는거죠.

다만 기표소에 들어가지 않아도 출석인원으로 카운트되는지 모르겠어서, 맞는 정보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덴드로븀
24/05/22 13:54
수정 아이콘
대한민국헌법 제53조
④ 재의의 요구가 있을 때에는 국회는 재의에 붙이고,
[재적의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전과 같은 의결을 하면 그 법률안은 법률로서 확정된다.

[출석] 이 필요한거지 기표가 꼭 필요한게 아닌것 같긴 하네요.
jjohny=쿠마
24/05/22 14:02
수정 아이콘
저도 위쪽에 비슷한 댓글을 썼었는데, 실제로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 궁금하더라고요.
jjohny=쿠마
24/05/22 14:13
수정 아이콘
여기 댓글에 따르면, 투표를 하는 사람만 집계가 된다는 얘기가 있네요.
https://www.pgr21.com/freedom/101534#4928598
DownTeamisDown
24/05/22 14:27
수정 아이콘
그냥 국회의장이 욕먹을각오로 하면 기표장에 들어가야 출석으로 해석해버릴수도 있긴합니다.
위헌심판 해봐야 특검 끝나고나서 나올꺼라서
24/05/22 13:51
수정 아이콘
-간-
꼬마산적
24/05/22 14:00
수정 아이콘
이 쫄보 가요?
에이~~!!
뜨거운눈물
24/05/22 16:22
수정 아이콘
대통령은 커녕
당대표도 못할 위인 입니다..
내이랄줄알았다
24/05/23 08:28
수정 아이콘
이번에는 본인 소신이고 거부권 쓰면 찬성하겠다고 여러번 얘기했는데요. 두고보면 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30455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09805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3411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8166 4
104767 [정치] 윤미향, 이용수, 위안부 문제와 장기 사회 운동에 대한 매우 긴 글 [14] 사부작851 25/08/16 851 0
104766 [일반] 저출생(산)문제에 대해 생각해보기 [21] Categorization2245 25/08/15 2245 0
104765 [일반] 강속구 vs 변화구 (下) [3] 無欲則剛2664 25/08/15 2664 2
104764 [정치] 윤석열 1차구속 당시 휴대폰 반입 [62] Croove7738 25/08/15 7738 0
104763 [정치] 국힘 청년 최고위원 후보 "연해주를 합병하고 군대를 주둔시키겠다" [53] 깃털달린뱀6753 25/08/15 6753 0
104762 [정치] 펀쿨섹좌, 고이즈미 日농림상, 야스쿠니신사 참배. (한국에서 현충원 참배후) [31] 코로나시즌5555 25/08/15 5555 0
104761 [정치] 앞으로의 자산 시장 [30] 문재인대통령5214 25/08/15 5214 0
104760 [일반] LLM의 창의성을 끌어내는 마법의 프롬프트 [16] 번개맞은씨앗2869 25/08/15 2869 0
104759 [일반] 바이킹 전사의 평화로운 일상을 알아보자 [6] 식별2342 25/08/15 2342 14
104758 [정치] 전당대회 중 탄찬 향해 '배신자' 전한길, 제명 거론되었지만 경고. 친윤 후보들은 적극구애 [53] 린버크6479 25/08/15 6479 0
104757 [일반] [팝송] 존 케이 새 앨범 "SALT + LIGHT" 김치찌개1343 25/08/15 1343 0
104756 [정치] 이해찬 전 대표의 영향력을 느낄 수 있었던 사진. [53] petrus6551 25/08/15 6551 0
104755 [일반] 이덕일은 본인 주전공인 독립운동사로 꾸준히 나갔으면 지금과는 평이 완전히 달랐을 거라 봅니다. [5] petrus2959 25/08/15 2959 3
104754 [정치] 김건희 "남편과 다시 살수 있을까" [24] 빼사스4634 25/08/15 4634 0
104753 [일반] "'1인 1음료' 왜 안지켜" 영수증 찢더니…손님 내쫓고 소금 뿌린 카페 [215] 페이커759293 25/08/14 9293 1
104752 [정치] 특검, 한학자 통일교 총재 금고서 관봉 등 수백억 현금 뭉치 발견 [49] 크레토스8832 25/08/14 8832 0
104751 [정치]  신동욱 "특검, 눈에 뵈는 게 없다…통일교가 반국가단체인가" [74] 기찻길9708 25/08/14 9708 0
104750 [정치] 이 대통령 "위안부 피해자 분들 명예·존엄 회복 위해 총력 다할 것" [182] petrus9530 25/08/14 9530 0
104749 [일반] GPT 5는 아마도 GPT 5o — 부제 : 안전함과 직관력의 대립 [29] 번개맞은씨앗4418 25/08/14 441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