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4/28 01:50:22
Name 나미르
Subject [일반] 역대 최악의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2025년 4월 19일 SK텔레콤의 홈 가입자 서버(HSS) 시스템에 침입한 해커의 악성코드로 가입자들의 유심 정보가 유출된
대규모 개인 정보 유출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유출된 정보들은 IMEI, IMSI, ICCID, 유심 인증키(K값) 등으로 추정되며 얼마나 많은 고객에 대한 어느 범위의 정보가 유출되었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과거에도 개인정보유출 사태는 많았지만 이전 KT, LGT 개인정보 유출 사태가 이름, 전화번호, 주민번호등
이미 털릴떄로 털린 개인정보들이었다면
이번 SKT 개인정보 유출 사태는  IMEI, IMSI, ICCID, 유심 인증키(K값) 등 정말 털려선 안되는 정보가 털려버렸습니다.





영상에서도 설명하고 있듯이
KT, LGT 개인정보 유출 사태는 집 주소가 털린거라 도둑이 내 집 찾아와도 내가 문만 안열면 보안이 되지만
SKT 개인정보 유출 사태는 집 도어락 번호가 털린거라 도둑이 언제든지 문 열고 내 물건 훔쳐갈 수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 이번 해킹 사태 대처방법으로

1. 대리점에서 유심을 교체한다. (4월 28일 오전 10시부터 무상으로 교체가능)
2. 통신사 앱에 들어가서 유심보호서비스 신청한다. (단 해외로밍 사용도 차단됨)
3. PASS 앱에 들어가서 명의도용방지 가입제한설정 신첳한다.
4. 통신사 앱에 들어가서 정보보호 알림이 신청한다.
5. 통신사 앱에 들어가서 번호도용문자서비스 신청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FastVulture
25/04/28 02:06
수정 아이콘
해외출장 중이라... 123 다 할 수가 없네요 ㅠㅠ
요키와 파피용
25/04/28 02:11
수정 아이콘
번호이동은 대처 방법이 안되나요. HSS 라면 가입자 인증 서버에 해당이 될텐데 깔끔하게 번호 이동이 답일 것 같아서요
25/04/28 02:26
수정 아이콘
그냥 통신사 바꾸는건 안될까요? ㅠㅠ저거 언제하냐
우와왕
25/04/28 14:07
수정 아이콘
약정 남으신 분들은 위약금이 있어가지구…
Jedi Woon
25/04/28 02:38
수정 아이콘
이러고도 유야무야 넘어가겠죠. 피해가 발생해도 유심 때문인지, 개인이 보안 관리를 허술하게 했는지 모르니까 보상 못한다 하겠죠.
한국인들의 개인정보는 개인정보가 아닌게 되버린지 너무 오래 되었고 무감각 해졌어요.
지탄다 에루
25/04/28 02:42
수정 아이콘
2번만 해놨었는데 혹시 몰라 4,5번도 해놨습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파르티타
25/04/28 04:33
수정 아이콘
유심을 교체하면 핸드폰이 초기화 되는건가요? 저장된 전화번호 사진 등 자료나 설치된 앱도 다 사라지나요?
타카이
25/04/28 05:29
수정 아이콘
아뇨 그냥 유심만 바뀝니다
유심에 전화번호 저장했을 경우만 옮겨주시면 됩니다
덴드로븀
25/04/28 09:3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금융앱 등 인증서 재발급 절차는 발생할 수 있고 폰 안에 사진/앱 등은 전혀 상관없습니다.

혹시라도 유심에 전화번호를 저장했다면 그것만 옮겨놓으면 됩니다.
울리히케슬러
25/04/28 05:20
수정 아이콘
혹시 skt계열 알뜰폰도 유심교채를 해야하나요??
타카이
25/04/28 05:30
수정 아이콘
skt 알뜰폰 같은 망에서 인증하기 때문에 같은 영향을 받았고 무료로 바꿔주겠다고는 합니다
25/04/28 05:57
수정 아이콘
유심을 찾아가서 바꾸게 만들게 아니라 모두 우편으로 보내줘야 하는게 아닌지..
처벌이 솜방망이니 대처도 하는둥 이군요.
몽키매직
25/04/28 07:38
수정 아이콘
우편으로 보내면 해커에게 보내게될 경우의 수가 있지 않나요? 보안 사고를 덮으려다가 더 큰 보안 사고를...
결국 실물 본인인증해가면서 재발급할 방법 밖에 없을 것 같긴 합니다.
25/04/28 09:07
수정 아이콘
신용카드 우편 배송처럼 본인확인후 전달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냥 돈 들이기 싫어 최대한 뭉개는 중 같아요.
Grateful Days~
25/04/28 07:43
수정 아이콘
이지경이면 유심이 아니라 핸드폰을 바꿔줘야할거같은데
김삼관
25/04/28 07:46
수정 아이콘
pass 명의도용방지는 어디서 하는건가요? 어플 설정 들어갔더니 보이지 않네요 아이폰 유저라 버전이 다른걸까요
허경영
25/04/28 09:24
수정 아이콘
전체-보안-명의도용방지 에서 해요
근데 사람이 많아서 지금 안되고있어요
김삼관
25/04/28 09:26
수정 아이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나중에 한적한 시간대에 해봐야겠네요 
한화우승조국통일
25/04/28 08:07
수정 아이콘
Pass 들어가니 명의도용방지서비스는 신청이 몰려서 제공이 중단되거나 지연될 수 있다고 하네요.
제정신인가...?
김삼관
25/04/28 09:27
수정 아이콘
중단은 좀..;
25/04/28 08:09
수정 아이콘
알뜰폰 업체에서도 교환해준다고 공지는 올라왔는데 방법이 고객센터 전화..
평소에도 상담사 풀 모자란 알뜰폰 업체들인데 그냥 전화할 생각도 말아야겠다 생각이 크크
일단 해외로밍 당분간 쓸일은 없으니 유심보호서비스만 신청하긴 했는데 가장 쉬운 방법은
요금제 특가 찾아서 알뜰폰 요금제를 갈아타는거 아닐까 싶네요.
신청하고 유심바꾸고 하는 작업이 귀찮아서 그냥 있는 요금제 쓰는데 겸사겸사 바꾸던가 해야지..
25/04/28 08:25
수정 아이콘
혹시 핸드폰 바꾸면서 통신사 바꾸면 다 해결되는지 궁금하네요
이정재
25/04/28 08:37
수정 아이콘
‘기업하기 힘든나라‘
iPhoneXX
25/04/28 08:47
수정 아이콘
소시민들까지 나서서 기업 걱정해주는 나라는 한국 밖에 없을듯 크크
iPhoneXX
25/04/28 08:53
수정 아이콘
당연히 28일부터 뉴스화 되고 그러면 사용량 몰릴꺼 알면서도 티월드 페이지 다운되고 하는거 보니까 생각 자체가 없는 회사 같습니다. 어짜피 속도나 망 차이도 5G와서 거의 없는거 같은데 굳이 SKT 쓸 필요가 하등 없는듯..
25/04/28 09:12
수정 아이콘
그냥 KT 알뜰폰으로 번호이동하면 끝나는 건가요?
뒹굴뒹굴
25/04/28 12:17
수정 아이콘
네 그래도 됩니다.
글쓴이
25/04/28 09:16
수정 아이콘
이거 디지털 취약계층은 어떻게 하려고 이러나 모르겠습니다. 비교적 익숙한 저도 번거로운데 걱정입니다
사업드래군
25/04/28 09: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 난리가 났는데도
1. 공식적으로 SKT에서 고객들에게 적극적으로 문자등을 통해 알려주는 행위가 전혀 없음
2. 태연히 명의도용방지는 오전 9시~오후 10시까지만 가능하다고 하고 있고, 심지어 이용량 급증 때문에 서비스 제공이 안 되고 있다는 점 양해해 달라는 문구만 계속 내놓고 아무런 대응이 없음
3. 이러한 정보들을 내가 직접 커뮤니티 등을 통해 알아보고 진행상황을 찾아보지 않으면 전혀 알 수 없음
4. 노인분들은 지금 이 시간에도 지금 이게 무슨 일인지조차 모르는 분들이 엄청많음

이 정도면 그냥 기업이 망할 수 있는 대사고인데도 그냥 무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는 것 보면 얼마나 지금까지 편하게 기업을 운영해왔고, 고객들을 개호구로 보고 있는지 잘 알겠음. 물론 당연히 이런 초대형 사고에도 정치권에서도 아무런 반응이 없음.
몰라몰라
25/04/28 09:17
수정 아이콘
털린 날도 아니고 털린 걸 인지한 날이 18일, 그런데 KISA에 신고한 건 20일. 유심교체는 28일부터 해주지만 물량은 확보해두지 않았다?
이미 시간이 너무 많이 지나서, 정말 별 일 없이 지나간다면 그건 순전히 해커의 선의에 의한 것일 뿐이라 피해가 발생하냐 마냐와는 별개로 SK는 호되게 털려야죠. 그래야 그나마 추후 이런 사건에 대한 예방약이 될텐데... 지금까지 사례를 봐서 별로 기대는 안되네요.
카페알파
25/04/28 09: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해커의 '선의' 라는 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문제가 터지는 건 시간문제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요. 아니라면, 상황이 일반적으로 생각되어지는 거랑 뭔가 조금 다른 것일 수도 있고요.
시드라
25/04/28 09:27
수정 아이콘
이 사건이 발생한 이유는 단순합니다

10년 넘게 개인정보 매번 털렸는데도 벌금? 과징금? 이 너무 약했거든요

통신사 입장에서 그깟 개인정보 털리고 시늉만 해주면 그동안은 별일 없었으니 매번 반복이 되어도 정보보안에 신경을 안 썼던 거죠

만약에 벌금? 과징금?이 자기네 이득보다 컸으면 통신사들이 정보보안 그래도 무시했을까요 아니면 신경써서 했을까요?

이번에 털린게 SKT 라서 그렇지 KT나 LG도 별 다를바 없을 껍니다

그리고 통피아라 불릴 정도로 통신사 관련해서는 모든 정치인들이 한 마음으로 쉴드 쳐주는 행태도 매우 문제입니다
cruithne
25/04/28 12:48
수정 아이콘
이번에도 마찬가지일겁니다. 대충 유심비용으로 퉁치고 넘어가겠죠. 그래도 되니까
덴드로븀
25/04/28 09:34
수정 아이콘
https://www.tworld.co.kr/web/support/notice/tworld/detail/22471
[안내 - SK텔레콤은 끝까지 책임을 다하겠습니다] 2025.04.27
유심보호서비스로 해킹 피해 막겠습니다. 믿고 가입해 주십시오.
[피해가 발생하면 SKT가 100% 책임지겠습니다.]
유심 교체도 철저히 준비할 테니 온라인 예약 신청 후 방문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향후 이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유심 불법 복제 피해 사례가 발생할 시 SKT가 책임지고 보상하겠습니다.]
피아칼라이
25/04/28 09:46
수정 아이콘
입으로는 뭔소린들 못하겠습니까. 저 소릴 믿으면 바보죠.
실제 피해 발생하면 이핑계 저핑계 대면서 결국 소비자에게 책임 돌릴게 뻔한데요.
디쿠아스점안액
25/04/28 10:17
수정 아이콘
"이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가입 못한 사람이 피해 보면 책임 못진다는 얘기죠
정보는 지들이 털려놓고 책임 일부를 기어이 피해자한테 떠넘기겠다는 속셈이 참...
25/04/28 10: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피해사례가 해킹 사고로 '인해서' 발생해야 되고, 이건 피해자가 증명해야 됩니다.
그리고 피해자가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안했거나 유심 교체 안했으면(서버가 터져서 가입을 못했든 유심수량이 없었든 해외에 있거나 거동이 불편해서 못 바꾸는 등 이유야 뭐 알바아니고) 보상을 안해주거나 적게 해주는 트집으로 쓸 겁니다.
이걸 김앤장 등 skt가 선임한 대형로펌과 싸우면서 지리한 보상소송을 몇 년 이어가서 승소해야 받아낼 수 있을 거 같고요.

skt가 당분간 몇년은 휘청거릴 정도로 과징금을 때려박든 민형사상 손해배상 책임을 일괄적으로 지우든 해야 앞으로 이런 일이 안 일어날텐데, 한국에서 그럴 일은 없을 것 같으니 이런 사고는 계속 반복될 겁니다. 보안비용보다 유심교체비+부가서비스비로 때우는게 훨씬 싸니까요.

아, 그리고 유심보호서비스 하면 번호이동할때는 저거 풀고 해야 한답니다. 즉, 손해배상 면피용 + 번호이동 과정을 귀찮게 해서 번호이동을 줄이는 것까지 일석이조네요. 어느 순간부터는 은근슬쩍 유심보호서비스 유료로 바꿔서 돈 받아먹을테고요.
스톤콜드 스터너
25/04/28 09:36
수정 아이콘
진짜 통신시장은 개방해야하는거 아닌가 싶은데 말이죠
이것들이 경쟁이 없이 너무 고이고 고여서 이러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다가도 들어와도 헬적화될것 같기도 하고...
SAS Tony Parker
25/04/28 09:44
수정 아이콘
스타링크 들어온다고 하긴 합니다
키작은나무
25/04/28 09:45
수정 아이콘
서비스 가입자들에 대해 100% 책임진다고 하지만, 막상 그때가되면 해줄리가 없겠죠. 이런일이 한두번도 아니고.
덴드로븀
25/04/28 09:54
수정 아이콘
과거 통신사 발언들은 다 찾아볼순 없겠지만
[100% 책임&보상] 이라는 문구를 통신사가 직접 공지로 박아놓은건 처음인것 같긴 합니다.

물론 저 문구가 법적 책임을 100% 진다는 소리가 아니니 너무 의미있게 받아들일 필요도 없긴 하구요.
나른한우주인
25/04/28 09:48
수정 아이콘
이정도면 타 통신사로 갈아타도 위약금이 없는 정도여야 말이 되는데요.
거기다 보이스 피싱 문자는 잘만 보내면서, 이런 문자는 없다는게 진짜 괘씸하네요.
친친나트
25/04/28 10:01
수정 아이콘
곧 해외 나가는데 그냥 esim하나 사고 로밍은 포기하고 유심보호서비스 가입하려했는데 예상대기시간 4시간 뜨네요 크크
25/04/28 10:13
수정 아이콘
헉... IMSI만 유출된줄 알고 그래도 괜찮겠거니 했는데 IMEI도 같이 유출된거면 심각한데요...
25/04/28 12:24
수정 아이콘
IMEI는 화이트/블랙리스트 기능 정도만 가능하므로 유심 바꾸면 IMEI는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IMSI-IMEI lock 걸어서 도난폰 블랙먹이는데 쓰임). 예를들면 중고폰 팔면 IMEI 넘어가버리는데 이게 문제된 적이 없잖아요. 이 때다 싶어서 폰 까지 바꿔야 한다는 글이 많이 보이는데...그럴 필욘 없습니다
25/04/28 13:47
수정 아이콘
그 얘기가 아니라 보통 금융 과정에서 IMSI+IMEI+MSISDN 조합 validation을 많이 하는데, IMEI까지 유출된거면 금융 도용 리스크가 더 크다는 뜻이었습니다.
시무룩
25/04/28 10:14
수정 아이콘
메인폰은 유심 교체한다 치고... 서브 폰은 알뜰폰 e심 쓰는중인데 이건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이네요
그냥 다른 망 알뜰폰으로 갈아타는게 제일 편한 방법일지
언네임드
25/04/28 10:26
수정 아이콘
유심을 바꿀 노력과 수고로 번호이동을 하시길
25/04/28 11:20
수정 아이콘
선택 약정과 가족결합이 많을 거 같아요,
적어도 선택약정 위약금은 없다 공지 때려야 하는데 그런것도 없고.. 에휴.
raindraw
25/04/28 10:34
수정 아이콘
솔직히 skt가 망해도 될 사안이라고 봅니다. 이걸 뭉개려는 작태를 보니 한심하기만 하네요.
25/04/28 10:39
수정 아이콘
조심해야되는 사안 맞는 것 같아요.
뽐뽀미
25/04/28 11:13
수정 아이콘
되게 심각한 사안같은데 그냥 넘어갈 것 같은 느낌이라.
파라슈
25/04/28 11:36
수정 아이콘
SKT 때문에 타 통신사 신원 인증도 복잡하게 되는거 아닌지 모르겠네요. 휴대폰 간편인증이 꽤 보편화되기도 했고, 참 편했었는데요
25/04/28 11:36
수정 아이콘
정치권이 별 반응 없어서 더 신기
25/04/28 11:37
수정 아이콘
본문 두번째 글이 핵심인데 꾹 입다물고 있는 저...삐리리
계산기 두둘겨보고 지들에게 덜 피해가 갈 유심교체로 몰고 있는거 아닌가 싶기도하고...
신창섭
25/04/28 11:49
수정 아이콘
이와중에 S25 번호이동에 단통법 이후 역대급 보조금 투하했죠

기존 사용자들 해킹당하든 알빠노?
타사에서 뺏아오면 그만이야
샤르미에티미
25/04/28 11:53
수정 아이콘
저는 욕하는 사람들이 이렇게 많은데도 대부분 SKT 유지하겠다고 하는 걸 보니 대기업들 대응이 그런 것도 당연해 보이긴 하네요. 물론 당장 옮겨버리자 이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어서 힘든 경우도 많겠지만, 이용자 반절은 날아가야 정상인 것 같거든요. 징벌적 손해 배상 있어서 SKT 망해야 한다 하는 목소리 작지 않지만 막상 이용자수 크게 안 빠지는 흐름이라 과연 그게 어울리는 나라인가? 하는 의문이 생기네요..
최종병기그녀
25/04/28 12: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지금 와이프 kt 알뜰폰 으로 이동하려고 유심까지 샀는데 그것도 지금 안됩니다.
skt 알뜰폰에서 사전동의 처리를 해줘야 넘어갈수 있는데 skt 알뜰폰 서버에서 처리가 안된다고 답변받고
kt 연락하니 지금도 그건때문에 넘어오려는 고객이 너무 많다 skt 전산망이 마비 상태인걸로 안다고 하며 계속 시도해보라고만 합니다.

결론은 skt 알뜰폰이면 지금 옮기고 싶어도 옮길수 없는 상태 입니다.
모드릿
25/04/28 12:58
수정 아이콘
SKT 처벌 좀 했으면 좋겠네요
체리과즙상나연찡
25/04/28 13:18
수정 아이콘
이 정도 사건을 일으켰으면 적어도 기업이 휘청이게 할 정도 과징금 물려야 앞으로 개인정보 소중한줄 알텐데.. 전국민 유심 바꿔줘도 얼마나 하려나
Rorschach
25/04/28 13:32
수정 아이콘
사실 이정도면 통신사 서비스 자격 자체를 빼앗아야 하는 건데...
지니팅커벨여행
25/04/28 14:25
수정 아이콘
가입자 수가 많이 남으면 틀림 없이 가입자 수를 낮출 겁니다 (진짜임)
앙겔루스 노부스
25/04/28 15:29
수정 아이콘
선경 25년째 써 오고 있는데, 진짜 정나미 떨어지네요. 어지간하면 엉덩이가 무거워 좀체 안 움직이는데, KT로 옮길까 진지하게 고민중입니다.
사부작
25/04/28 21:41
수정 아이콘
이번에 SKT 쪽 보안관리에 과실이 있었던 부분은 뭔지 드러난 게 있나요?
Dreamlike
+ 25/04/28 22:15
수정 아이콘
이건 진짜 제대로 본보기를 보여줘야 정신차릴텐데... 우리나라에서 절대 그럴 일은 없겠죠....
알바척결
+ 25/04/28 23:38
수정 아이콘
역시 기업하기 좋은나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28] jjohny=쿠마 25/03/16 16539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1232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5548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58234 4
104129 [일반] 나의 세상은 타인의 세상과 다르다는 걸 [14] 글곰2012 25/04/28 2012 19
104127 [일반] PGR21 대표 덕후들의 모임☆ 덕질방 정모 후기 (움짤있음) [27] 요하네스버그2971 25/04/28 2971 30
104126 [일반] SK텔 해킹 사태에 대응한 보안 강화 요령 [29] 밥과글6925 25/04/28 6925 17
104125 [일반] 종말을 마주하며 살아가기 [33] 잠봉뷔르5826 25/04/28 5826 18
104124 [일반] 역대 최악의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66] 나미르9214 25/04/28 9214 8
104123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3)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2 [2] 계층방정2029 25/04/27 2029 3
104122 [일반] 심히 유치하지만 AI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11] Love.of.Tears.4359 25/04/27 4359 0
104121 [일반] [팝송] 알레시아 카라 새 앨범 "Love & Hyperbole" 김치찌개3254 25/04/27 3254 0
104120 [일반] [독서 에세이] 정치의 종이 되는 생각 없는 과학 (『20세기 소년』) [5] 두괴즐3867 25/04/26 3867 8
104119 [일반] 일본 정부부채는 정말 심각할까? [53] 기다리다10035 25/04/26 10035 7
104118 [일반] 최근 chatGPT와 함께 놀다가 마지막에 나눈 대화 [34] Quantum219848 25/04/25 9848 6
104117 [일반] 미 공군의 A-10 썬더볼트 II는 올해 한국에서 철수합니다 [58] Regentag10031 25/04/25 10031 0
104116 [일반] 트럼프-달러패권 그 뉘앙스은 어떻게 잡는가 [20] Q-tip6895 25/04/25 6895 2
104115 [일반] 아래 간짜장 글을 보고 써보는 글입니다. [17] 덧물7262 25/04/25 7262 0
104114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9 [7] Poe4211 25/04/25 4211 23
104113 [일반] 챗gpt와 함께 읽는 "희랍어시간" [1] 아빠는외계인4362 25/04/24 4362 3
104112 [일반] 숙박앱에서 저에게 사기를 치려고 했던 것 같습니다? [18] 국힙원탑뉴진스9336 25/04/24 9336 3
104111 [일반] (스포일러 포함) 영화 <야당> - 빠르다... 진짜 빠르다!! [22] Anti-MAGE7899 25/04/23 7899 4
104110 [일반] 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8] meson4831 25/04/23 4831 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