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7/28 03:05:22
Name Amiel
Subject [일반] 전지적 독자 시점을 보고왔습니다 (스포 조심) (수정됨)

저는 우선 영화 일년에 두어편 볼까 말까 한 라이트한 일개 관람객에 불과하다는걸 미리 밝힙니다.. 전문적인 분석 이런거 아니에요.

그냥 웹소설을 좋아해서 많이 보는 편인데, 웹소설을 실사화한 작품이니 호기심이 생겨서 어쩌다보니 보게 됐네요.
근데 또 그 유명한 전독시는 안읽어봤습니다. 제가 보는 플랫폼이 아니다보니 나중에 유명하다는건 들었는데 그 방대한 분량때문에
손을 대지 않고 있다가 영화 개봉한대서 앞부분 (대략 80화 정도 까지? ) 만 읽고 영화를 봤습니다.


보기 전에 인터넷에서 안좋은 평들을 많이 봤습니다.

웹소설 영화화래서 기대했는데 그냥 제목만 따온 완전 다른 내용이다
감독?대표?가 원작팬들과 기싸움을 하고 있다(?)
이딴 영화가 손익분기점 600만이라니 무슨생각인지 모르겠다   따위의 이야기들요.


아무튼 기대반 걱정반으로 보고 왔습니다.


보고 난 제 느낌은


인터넷에서 가열차게 까이는것이 의아할정도로 각색이 괜찮게 됐다고 생각했어요. 원작에서 살짝 변형시키면서
원작의 느낌을 잘 가져왔다고 생각하고, 오히려 생각보다 더 세세하게 가져와서 놀랐달까요.

사실 그렇잖아요. 국내 웹소설은 어느정도 장르에 따라 정형화, 패턴화가 되어있고 세계관에 대한
기본적인 사전지식이 없으면 굉장히 난해하게 보일수 있는거.

ex) 무협소설로 치면 구파일방, 운기조식, 점혈, 절정이니 자연경이니 뭐니하는, 일반인이 보면 그게 뭔데 씹덕아 가 나오는 기본 설정

전독시 또한 성좌에 스탯에 게임식 진행과 아이템에.. 일반인이 보면 난해할수밖에 없는 세계관인데, 각색에 대한 비판이 있길래
그런걸 뭉뚱그려버리지 않았을까 했는데 생각보다 상세히 나오더라구요. 아무리 웹소설시장과 게임시장이 커지고 있다해도 600만이 손익분기점이면 대중성을 신경써야 하지 않을까 싶은데 이래도 되나? 할정도로요.  

  그냥 이 영화가 전독시 내용 전체를 시리즈로 실사화 할게 아닌 이상 영화 한편 내에 적당한 주제를 담아야하니까
약간 수정한 느낌입니다. 예를 들면 끝까지 읽고 감사 댓글로 시작하는게 비판적인 댓글을 달았다고 1화부터 엉터리인거 아니냐 하는데..
뭐 5700자 악플 달고 복수당하는게 아니라 완결까지 정주행 한 독자 답게 애정어린 비판을 담은 댓글 정도로 시작하는거고,
원작과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 주제의식에 적당히 걸치게 각색한거라 그런갑다 하고 넘어갈만 했어요.

제가 소설을 끝까지 안봐서 그런걸수도 있겠지만요. 적어도 앞부분과 영화는 굉장히 비슷하다고 느꼈습니다.
이지혜가 총을 쓰면 뭐 어때요. 이 영화 내에선 이순신이 배후성인게 나오지도 않을정도로 전혀 중요하지 않은 조연에 불과한데요.
힘들게 칼쓰는 액션 시키느니 대물저격총 드는게 개성도 생기고 멋지더라구요.


그냥 문제는 각색이 아니라..........


제가 영화에 대해 전문가는 아니다보니 딱 뭐가 문제다 하고 찝어서 말하진 못하겠는데 말이죠.
중반부까진 그럭저럭.. 딱 이 매니악한 장르물을 이렇게 실사화 하네 정도만 생각하며 보고 있다가..

후반부에 들어서면서 으악!!!

무슨 8~90년대 전대물? 아니 그 이하로 북두의권 실사화 오오~ 그것은 인생~ 그것은 외로움~ 같은 느낌이 들정도로..
실소가 터져나오는 장면들이 자꾸..

이게 CG의 문제인지 연기의 문제인지 연출의 문제인지 딱 찝어서 말하진 못하겠는데 말이죠.........
이현성... 군인아저씨 각성때였던가.. 영화보다가 친구랑 눈마주치고 낄낄 웃어버렸네요;; 몰입을 할 수가 없었어요.


그리고 몬스터 디자인?  이 약간 아쉬웠네요.

씨-커맨더 (해룡.. 초반에 김독자가 잡는) 랑 그 지하철 던전보스 는 괜찮았고,  인터넷에서 사람들이 많이들 뭐라 하는 도깨비들까진
전 나쁘지 않게 봤어요.

근데 땅강아쥐들 <- 얘네랑 액션이 엄청 많은데 너무 볼품없이 생겼고,
영화 마지막보스로 나오는 애... 뭔지도 모르겠네 화룡인가?
보스답게 좀 멋지게 디자인 해주지. 지하철 보스는 포스있게 멋졌는데. 예산이 부족했나....?







  뭐 아무튼 인터넷에서 억까당하는건 좀 억울해 보인다. 근데 문제가 없는건 아니다 정도가 제 결론입니다.

  보고나니 평론가들의 한줄 평들이 이해가 가더라구요.


중반을 지나기도 전에 이야기와 액션 모두에 무감해진다.
- 이동진 (★★)

이분은 중반도 못버티셨네! 중반까진 나름 괜찮지 않았...나?



너무 매니악한 장르 특성상 추천은 하기 쉽지 않네요. 웹소설 기법에 익숙한분들이라면 볼만할지도요?

근데 600만이 손익분기점??  전 2002년에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도 영화관에서 본 사람인데. 설마...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바보영구
25/07/28 06: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 재밌었습니다. CG퀄리티보다는 캐릭터 디자인이 아쉽지않았나 싶고, 화룡이 x나쎄 느낌이 약한것도 아쉬웠습니다. 작품이 재밌고말고는 개인 호불호영역이지만 원작팬들이 과도하게 후려치다 못해 남의 감상에도 영향을 주려는 모습이 많이 보입니다. 광장때부턴가?
lightstone
25/07/28 07:19
수정 아이콘
저도 어제 보고왔네요. 저는 재밌었어요. 누군가는 유치하다고 하는데 마블영화는 안유치한가(?) 싶더라구요. 인터넷에서 억까당하는 느낌입니다. 크크
은때까치
25/07/28 08:35
수정 아이콘
와 진짜 제가 느낀거랑 거의 비슷하게 느끼신거 같아요.
저도 딱 전독시 이름 들어봤고 웹툰 정도 가볍게 보다가 중간에 하차한 라이트(?) 유저인데......... 워낙에 "전독시 봤던 사람들한테는 개망작이다" 소리 많이 듣고 가서 기대 거의 없었거든요.

근데 보고나서 든 첫 생각. 뭐야 생각보다 꽤 재밌는데....?

저는 설정은 그냥 설정일 뿐이라고 생각하고 오히려 작품 내의 개연성, 핍진성 이런게 무너지면 확 식는, 어느정도는 전형적인 소비자거든요. 그래서 영화 10개 보면 재밌었다고 느끼는게 고작 2~3개고, 이런 류 영화 중에서는 아직까지도 엔드게임까지의 마블영화들 되게 좋아하구요. 그 중에서도 아이언맨이 제일 좋은 그냥 일반적인 라이트 유저인데..... 전독시 영화는 그런 관점에서 생각보다 좋았습니다. 일단 작품 내에서 이상한 사상 강요같은거 없고, 스토리 시원시원하고 말 안되는거 없고, 이민호 간지나고 채수빈 나나는 이쁘고. CG도 살짝 게임스러운 면이 있긴 했지만 일단 제가 게이머니까(...) 나쁘게 보이진 않았구요.

근데 재밌게 보고 나와서 리뷰 찾아보니까..... 거의 무슨 세상 최악의 영화가 되어 있던데요....?
전독시 원작 찐팬들은 그렇게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해요. 근데 적어도 라이트 팬들한테는, 전혀 그정도 아니고 오히려 재밌었다, 최소한 내가 재밌었다는데 "왜 재밌어하는데!!!!"하는 태클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최애의AI
25/07/28 08:4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재미없다는 평이나 CG나 연기가 별로다 라는 평은 별개로 하고, 원작팬들의 안좋은 평가 이야기 좀 해보겠습니다.
애당초 원작 팬들이 거슬려서 재미를 느낄 수가 없는 방향으로 각색을 한 게 문제라고 생각하는 입장이어서요.

원작팬들이 영화를 단순히 원작 웹소설과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원작의 핵심적인 요소와 캐릭터성을 훼손했기 때문이고, 이런 게 거슬리게 느껴지는 원작 팬들은 작품에 몰입하기도 힘들고 재미를 못 느낄 수 밖에 없습니다. 초기에 영화에 가장 관심을 가진 쪽은 원작팬일 수 밖에 없고, 잘 아는 만큼 가장 큰 안티가 될 소지도 있는 계층이겠죠.

원작에서 김독자는 세상에서 유일하게 자신이 읽은 소설의 결말을 아는 열혈 팬입니다. 그는 그 장편 소설을 유일하게 완독한 인물로, 그만큼 작품에 대한 깊은 애정과 이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김독자를 마치 양산형 판타지 소설의 '겜판소 징징충'처럼 묘사합니다. 주인공을 단지 소설에 불평불만을 늘어놓는 인물로 전락시켜 원작 팬들이 가진 김독자의 이미지와 크게 충돌시킵니다.
특히 소설의 핵심 주제의식과 연결되는 부분이 바뀌어 버리면서 제작자들이 원작을 끝까지 읽지 않았다는 의심마저 들게 합니다.

원작은 회귀/빙의물 클리셰를 비틀고 차별화하는 지점이 명확했습니다. 하지만 영화는 운영자가 게임 빙의시키기 같은 양산형 판타지 소설의 진부한 플롯으로 시작하여, 원작이 가진 독창성을 내다버립니다.

"오직 나만이 이 세계를 알고 있다" 같은 영화 캐치프레이즈도 원작 끝까지 안본 티 내나 싶은 지점. (원작은 "나만이 이 세계의 결말을 알고 있다")
원작에서는 김독자 외에도 소설을 꽤 많이 읽은 비중 있는 캐릭터가 존재하며, 김독자 혼자만이 모든 것을 아는 세계가 아닙니다. 이처럼 작품의 중요한 설정까지 변경하여 원작에서 드러내고 싶어하는 주제의식의 깊이와 의미를 퇴색시켰죠.

단순히 원작과 내용이 다르다는 이유를 넘어, 원작의 핵심적인 매력과 캐릭터 서사를 훼손하고 진부한 클리셰로 회귀시키는 방식으로 각색을 진행했고 이건 작품에 애정이 없는 수준이 아니라 끝까지 읽어보지도 않고 제작했다고 밖에 생각이 안드는 상황이어서 원작을 아는 사람이 좋은 평을 할 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괜찮게 만들었는데 원작 팬들이 억까한다' 라는 평도 원작팬들은 억까 당하는 기분일 겁니다.
닉네임뭐하지
25/07/28 09:43
수정 아이콘
사실 이렇게 각색할거면 제목부터 바꾸던가 원작팬 언급 안하고 지나가면 됩니다.
근데 지들 맘대로 바꾸고는 싶은데 원작팬들 효과는 또 얻고싶어서 제작사쪽에서 계속 원작팬들 지지를 바랍니다 이런소리를 하면 그냥 싸우자는거죠...
신과함께때처럼 숫자로 증명하던가
은때까치
25/07/28 09:54
수정 아이콘
괜찮게 만들었다 + 원작팬들이 싫어한다 이 둘은 너무 당연히 공존 가능한 얘기긴 하죠..... 그 반지의제왕도 원작 팬들은 초반에는 맘에 안들어했다는 얘기가 있으니까요.

써주신 댓글 읽고나니 제목을 바꾸던가 or 말로라도 원작에 대한 리스펙을 충분히 해주던가 둘 중 하나는 했었어야 하는데.... 라는 생각이 드네요.
25/07/28 08:56
수정 아이콘
엣지오브투모로우처럼 제목까지 바꿨으면 반발도 없을텐데... 원작 후광은 포기 못하고 각색은 해야겠고
거룩한황제
25/07/28 09:20
수정 아이콘
원작을 한 중반정도 보고 잠깐 쉬고 있는 사람인데...영화를 보고 왔습니다만...
이 사단이 나기까지는 감독의 인터뷰가 물의를 일으킨데 가장 큰 기여를 했다고 보고요...

그냥 마블과 MCU관계라고 생각하면,
전독시도 영화와 웹툰&소설이 그런 관계로 생각하면 그냥 볼만한 정도입니다.
나름의 줄거리를 따라가지만 조금씩 비틀어서 다른 그런 느낌으로 보면 좋은데...

그거보다 가장 큰 문제는...
카메라 액션 구도라던가 또는 특정씬 & 특정인의 연기가...좀 그래요;;;
액션 할 때 갑작스러운 얼굴 클로즈 업샷 같은게 너무 중국스러울 정도로 어색하고요...
또하나 빠르게 뛰어갈 때의 모습은...느리게 찍고 빨리 감기 하는 느낌처럼;;;;

그리고 채수빈씨의 연기는...아...초반엔 문제 없는데
액션 들어가면 집중도 확 깨지는게 문제라면 문제겠네요...;;;
허저비
25/07/28 09:59
수정 아이콘
600만이 손익분기점이면 투자자들은 그냥 돈 갖다 버린거 아니예요?
범죄도시 말고는 이제 어떤 한국영화도 가망이 없는 관객 숫자인데
크림샴푸
+ 25/07/28 10:16
수정 아이콘
원작의 존재도 몰랐던 사람이고, 그냥 슈퍼맨 보다가 예고편에 뜨길래 예고편자체는 킬링타임용으로 괜찮겠다 싶어서 여친님 동의후에
함께 봤습니다.

저는 원래 웹툰 웹소설을 거의 안보고 과거 어린시절 판타지 무협 은 엄청 본 세대인데, 제 여친은 더 무지하고
이런 라이트 유저 와 초 라이트 유저 입장에서는 상당히 재밌는 영화였습니다. 2탄이 좀 나왔으면 좋겠네~ 정도요

근데 손익분기점이 600만 ~ 700만 이라는 기사를 보고 마음을 접었습니다. 잘들어야 200만 한계는 300만 언더라고 봤습니다
딱 권상우 히트맨 급 영화이지 저정도 들어찰 영화는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즉, 그냥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 오오 ~ 스토리 좋네 액션 좋네 CG 한국영화치고는 나쁘지 않네~ 정도요


근데 원작의 중요한 요소들을 비틀고 훼손하면서 원작의 후광은 그대로 가져가고 싶었다... 에서 진짜 아직도 이바닥은 멀었구나 싶네요
감독님 작가님 왜 안되는 줄 알아요? 봉준호 감독 설국열차 인터뷰 좀 보고 오시길...

영화감독, 작가 는 드라마 감독 작가를 폄하하고 드라마 감독 작가 는 웹툰 웹소설 을 폄하하고
배우는 가수를 가수는 코미디언을 코미디언은 아이돌을...

현재 대중은 웹툰 웹소설 아이돌에 대해, 그들의 노력과 열정에 대해 찬사를 보내고 성원을 아끼지 않습니다

여러분들의 저열하고 오만한 선민의식 이 뼛속과 구조부터 바뀌지 않는 이상...
제2 제3 제4의 재벌집막내아들이 영원히 양산될 것이요

원작자에 대한 존중과 자신만의 세계관을 덧씌우기 위해 치열하게 고민하고 그에 대해 대중에세 솔직하게 다가가려고 노력하지 않는 이상
너무나 많은 소재들로 가득 들어찬 K 창작물의 바다속에서 한국판 제 2의 반지의 제왕은 어불성설 일 겁니다

케데몬에서 배우는게 있기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28411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8348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1975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6131 4
104624 [일반] 귀여운 녀석 [3] 소이밀크러버188 25/07/28 188 5
104623 [일반] 인공지능과 의료의 미래: 우리는 또 한번 갈등을 마주할 것인가? [38] 여왕의심복1211 25/07/28 1211 14
104622 [일반] 세계화에 대하여 — 저렴한 인재의 시대는 끝이 났다 [6] 번개맞은씨앗1483 25/07/28 1483 1
104621 [일반] 중세시대 사람들이 먹던 기괴한 요리들을 알아보자 [9] 식별2347 25/07/28 2347 4
104620 [일반] 전지적 독자 시점을 보고왔습니다 (스포 조심) [10] Amiel2409 25/07/28 2409 0
104619 [일반] 부산지하철요금 적자안보려면 얼마가되어야할까? [114] 오사십오6337 25/07/27 6337 0
104615 [일반] [팝송] 벤슨 분 새 앨범 "American Heart" [2] 김치찌개3184 25/07/27 3184 0
104614 [일반] 설사의 행복(중요한 자리는 미리 싸세요) [38] 만렙법사4746 25/07/27 4746 38
104612 [일반] [웹툰 리뷰] 무한레벨업 in 무림 심플리뷰 (스포주의!) [22] 일월마가5092 25/07/26 5092 1
104611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13) - 경시제, 공신들을 왕으로 [1] 계층방정3066 25/07/26 3066 2
104610 [일반] <판타스틱 4: 새로운 시작> - 미약하지만 준수한. (노스포) [19] aDayInTheLife3551 25/07/26 3551 1
104609 [일반] 신과 거인의 시대 (바이킹 신화를 알아보자) [2] 식별1832 25/07/26 1832 4
104607 [일반] AI시대에는 누가 노벨상을 수상할까요? [15] Categorization5744 25/07/25 5744 1
104605 [일반] 동기부여와 정신승리 번개맞은씨앗3713 25/07/25 3713 0
104604 [일반] 7월초 기준 미장/중국장/국장 개인투자자들 성적표 [34] 독서상품권6570 25/07/25 6570 0
104599 [일반] 이런저런 이야기 [10] 공기청정기2435 25/07/24 2435 6
104597 [일반] 얘, 느 집에는 이런거 없지? - Fig.1님 책 이벤트 인증입니다 [2] Broccoli2091 25/07/24 2091 4
104596 [일반] 판타스틱4 새로운 출발 리뷰[스포주의] [16] 메카즈하1751 25/07/24 1751 1
104595 [일반] 중요한 건 내가 우위에 서는 것이다. 도덕에서라도. [2] 223.321705 25/07/24 1705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