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7/08 14:50
하지만 휘문은 요즘 학생부종합전형을 제대로 케어해주질 못한다는 얘기가 돌면서 학부모들 사이에서 인기가 수직 낙하중이라고.....
25/07/08 16:36
단대부고 일반고라서 그런가요?
저 단대부고 출신인데, 저때는 말만 8학군이지 서울대 현역으로 거의 못갔는데.. 물론 요샌 일반고중에 탑급이긴한거 같은데..
25/07/08 17:08
요새 현황이 서울대 입학자 수를 보면 단대부고나 휘문이나 거의 비슷한 상황입니다. 그런데 입시정책이 또 각 대학에 내신비중을 더 올리겠다는 정책으로 바뀌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정시로 대학을 진학하는 휘문을 매년 돈 천만원 가까이 내면서 가려고 하지 않게 된거죠
25/07/08 15:49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저 다닐 때 기준으로 보면 애초 상위 5%는 특목고 커트라인에도 못 미치죠 공부 잘하는 애들만 모아놓으니 너무 당연한 결과.. 근데 웃긴 건 그중에서도 드라마틱하게 하락하는 애들은 꼭 생긴다는 거 중간까지는 튼실한데 꼴찌는 똑같이 전국구급 꼴지가 되는 ..
25/07/08 16:08
어우 ... 2003년 중산고등학교 졸업인데 반에서 14등인데 2등급이었네요
11등까진 1등급이었던거 같아요 요즘엔 중동에 밀려서 나락간 느낌이던데...
25/07/08 16:28
많은 분들이 수시 폐지 해야 한다고 하지만 수시 폐지 하고 정시만 남을 경우
강남 8학군 쏠림 심화 및 공교육 붕괴 시작이죠. 수시가 좋아서 한다기 보다 어쩔 수 없이 하는 거라 봅니다.
25/07/08 21:50
이미 음서제 역할 하고 있어요.
지방에서 수시는 언감생심입니다. 어떻게 알고 가야 할지 도무지 감이 잡히지 않아요. 정시가 깔끔합니다.
25/07/08 22:02
글쎄요. 정보의 접근성이 떨어지고 컨설팅 학원도 없는 지방에서는 더더욱 정시로 대학가기가 힘들겁니다. 저 위 표에서 보듯 상위권 학군지 학생들이 정시는 전부 휩쓸거에요. 저도 주변에 선생님들이 많아서 얘기 들어보면 시골 학교 1등이 명문대 수시 합격했는데 수능보고 나면 지거국 갈 점수도 안 나와서 최저 기준 못 맞춰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더군요.
25/07/09 01:17
(수정됨) 정시에 어떤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필요하고 컨설팅이 필요한가요?
교육과정 중에 수능장 입장하면 공개되는 히든 출제영역이라도 있어서 그걸 저격해주는 선생님 구하는 게 필요한건가요? 학창시절부터 늘 궁금했던 건데요, 아무튼 수능은 대한민국에서 고르고 고른 대학교수들하고 고교선생님들 모아서 감금해놓고 수십일동안 [대학 공부를 할 능력이 있는지]를 보기 위해 만들어진 거잖아요? 그건 최저도 못 맞추는 학생들이, 기껏해야 한개 고등학교 선생님이 만드는, 더더욱 [정보의 접근성이 떨어지고 컨설팅 학원도 없는] 지방의 선생님이 3년 간 출제한 시험을 잘 봤다는 게 도대체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증하길래 대학을 갈 수 있다는 거예요?
+ 25/07/09 07:45
저도 내신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수시의 폐단이 크다고 생각하는데, 말씀처럼 정시가 아무 도움이 필요없는건 아닙니다. 정시도 입시전형 분석과 전략이 필요하고, 사교육의 질이 너무 차이나고, 학업 분위기만해도 큰 요인이고요.
+ 25/07/09 08:18
1. 수능이 훌륭한 시험이라는 건 모두가 동의하지만 의외로 대학 성적과 가장 연관성이 높은 지표는 수능성적이 아니라 ‘고교 성적’입니다. 심지어 지역균형이나 배려전형을 통해 입학한 경우도 고학년이 되면 비슷한 성적을 내게 됩니다. 오히려 정시로 입학한 학생들의 자퇴율이 높습니다.
2. 윗 댓글에 썼다시피 수시가 많은 폐단을 가지고 있지만 정부나 교육당국이 피치 못해 늘려가고 있다고 봅니다. 교육의 목적이 선발과 배치에만 있는게 아니니까요. 당장 정시 비율이 올라가면 여러가지 원하지 않는 변화가 생길겁니다. 3. 이렇게 쓰면 제가 수시옹호파라고 보일수도 있는데 오래전이긴 해도 정시로 대입을 했고 정시가 제일 나은 교육방식이라 오래동안 생각했는데 시간이 지나다 보니 수시의 필요성이 이해가 되더군요.
25/07/08 17:33
일반고등학교 다니던 고3 시절, 열심히 공부하여 나름 성대 낮은 과에 합격했습니다. 근데 반 1~10등이 모두 서울대를 가서 대학 잘 갔다는 칭찬 한 마디 듣지 못했던게 아직도 억울합니다.
공부를 엄청 잘하는 학교도 아니었고, 전교에서 서울대 20여명 갔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그 중 10명이 우리 반이었던 것은 무슨 조화였는지 모르겠습니다. (한 명은 미학과, 한명은 예체능이었던 것은 기억나는데...;;;) 하여간 담임선생님이 1등부터 10등까지 이름 부르며 수고들했다 그러고, 반 11등인 저도 호명될까 두근두근했는데 완전 관심 밖이더라고요 (우리 세대 말로는 아오안이었음...;;;)
|